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134205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1-10-01
책 소개
목차
Ⅰ. 음성학 및 음운론적 접근
1. 음성음향학으로 본 한글의 위대성
2. 한국어 ‘ㅎ’과 ‘ㄹ’의 발음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 연구
3. 한국어 명사의 라트비아어로의 올바른 전사에 대한 제언
4.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성 연구
Ⅱ. 의미론 및 화용론적 접근
1. Acquisition of figurative languages for a higher linguistic proficiency
2. 한국 드라마와 영화에 나타난 추측 표현의 화용적 기능
Ⅲ. 문법 및 어휘교육
1. 품사 범주의 주변과 한국어 문법 교육
2. 한국어의 한자어 특징과 어휘 교육에 있어서 한자어 학습 원리와 방법
3. 중국어원 한국어 학습자의 신체 관용어 습득 과정 연구
Ⅳ. 교육과정 및 교재연구
1. 동영상 제작을 통한 협동 학습
2.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MSLQ) data and students’ reading and listening test outcomes
3.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보고서 쓰기 교재 개발
4. 학습자 문법 교재의 구성을 위한 사고
Ⅴ. 교수방법론 및 온라인 기반과 한국어 교육
1. 과업 중심 교수법에 기반한 대학 내 비즈니스 한국어 수업 사례
2.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을 위한 특수 목적 한국어 실제 수업방안
3. 최신 언어 생활의 동향을 반영하기 위한 수업 방안
4. 동료 지도와 첨삭 지도를 결합한 한국어 초급 쓰기 수업의 절차적 지도 방안
5. 한국어 말하기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한 ‘미디어 활용 수업’ 사례
6.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의 실재감 구현 방안
Ⅵ. 문학·번역·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1.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활용 한국어 문법 학습과 한국어 시 낭송
2. 번역교육 시 제기되는 언어적 오류, 용어법
3. Culturality through Gosijo for advanced students
4. 팬덤의 언어 및 문화교육 영향 연구
책속에서
한국어는 형태소별 띄어쓰기 원칙에 따라 표기를 하는 언어로 실제 표기와 발음 사이에 차이가 있으며, 그 차이는 대부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발생한다. 한 단어 내에서만 그러한 표기와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이 생긴다면 사전을 이용해서 발음을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발음 공부를 할 수도 있겠으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사전에 실려 있지 않지만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도 많으며, 단어 차원이 아닌 구 차원에서 표기와 발음이 달라지는 것은 사전으로는 절대로 발음을 알아낼 수 없다. 또 단어가 아닌 구의 발음을 하나하나 제시한다는 것은 무한에 가까운 것이므로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적절한 발음 규칙을 제시해야만 하는 것이다.
-「한국어 ‘ㅎ’과 ‘ㄹ’의 발음 교육의 내용 및 교육 방안 연구」 중에서
과거 시제, 현재 시제와 달리 ‘미래 시제’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국어학계에서 오랫동안 미래 시제 형태소 ‘-겠’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고 제시된 문법 항목이 ‘-겠-’이 아닌 ‘-을 것이-’임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한국어 문법 교육은 문법론이 아니라 한국어를 정확하고 유창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시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면 미래 시제 역시 사용해야 한다고 본다.
-「학습자 문법 교재의 구성을 위한 사고」 중에서
한류가 세계인의 관심을 사로잡은 사실에도 불구하고 한류 콘텐츠를 수업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어 그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고 부분적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오늘날 한국어 교육의 현실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비해 정형화된 교재에 대한 애로사항으로는 “내용이 한국의 현실과 많이 다르”거나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에는 부족한 면이 많”을 뿐만 아니라 “난이도 조절이나 선-후행 활동 제시 면에서 부족하고 아쉬운 점이 많”다는 것이 있다. (중략) 위와 같은 상황과 요구에 힘입어 학습자의 학습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수업 설계를 고민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한류 콘텐츠를 보충자료로 여기지 않고 그것을 주된 학습 제재로 활용해서 본격적이며 온전한 수업의 연습문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을 위한 특수 목적 한국어 실제 수업방안(한류 콘텐츠를 중심으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