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고전의 서사문법

우리 고전의 서사문법

허원기 (지은이)
고반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500원 -5% 0원
860원
27,64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고전의 서사문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고전의 서사문법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고전문학론
· ISBN : 9788997169429
· 쪽수 : 631쪽
· 출판일 : 2018-10-11

책 소개

우리나라는 이야기의 전통이 매우 풍부한 나라이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은 문학의 좁은 관점을 벗어나 이야기인문학의 관점에서 우리 고전 서사문학 작품들의 서사문법을 폭넓게 조명하고 고민하는 과정에서 탄생하였다.

목차

서문 _ 5

제1부_판소리의 서사문법
1. 정리(情理)적 합리성의 서사 _ 21
1. 문제 제기 _ 21
2. 정리(情理)적 합리성 논의의 바탕 _ 25
3. 정리적 합리성 추구 사례와 양상 _ 30
4. 남은 문제들 _ 47

2. 울리고 웃기기의 서사_ 51
1. 머리말 _ 51
2. 판소리 관련 옛 문헌에 나타난 울리고 웃기기 _ 53
3. 울음과 웃음의 정서적 의미 _ 59
4. 울리고 웃기기의 범주와 소재 _ 67
5. 울리고 웃기기의 서사적 생성방식 _ 74
6. 맺음말 _ 97

3. 놀이와 잔치의 서사_ 99
1. 머리말 _ 99
2. 놀이형식의 서사적 추이 _ 101
3. 전반부 놀이와 후반부 놀이의 대비적 성격 _ 123
4. 전반부 놀이를 통한 이질적 서사 자질들의 융합 _ 127
5. 후반부 대동잔치를 통한 신명풀이의 완성 _ 137
6. 맺음말 _ 145

4. 생명을 지향하는 담론_ 147
1. 판소리 담론과 신명풀이 _ 147
2. 판소리의 신명풀이 기제 _ 150
3. 신명풀이와 생명지향담론 _ 156
4. 사상사적 의미 _ 169
5. 맺음말 _ 182

제2부_중국과 한국의 서사문법
1. 『장자(莊子)』와 <호질(虎叱)>의 서사 방식 _ 185
1. 머리말 _ 185
2. 「우언」과 <호질> _ 187
3. 「거협」과 <호질> _ 195
4. 「도척」과 <호질> _ 208
5. 『장자』와 <호질>의 거리 _ 216
6. 맺음말 _ 221

2. 악비(岳飛)와 임경업(林慶業)의 인물 형상 _ 223
1. 머리말 _ 223
2. 자료 현황, 그리고 사실과 허구 _ 227
3. 인물 형상의 공통점 _ 231
4. 인물 형상의 차이점 _ 248
5. 임경업 인물 형상의 동아시아적 확장가능성 _ 256
6. 맺음말 _ 262

3.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와 <적벽가(赤壁歌)>의 서사적 거리 _ 265
1. 머리말 _ 265
2. 삭제된 것 _ 268
3. 첨가된 것 _ 271
4. 인물 형상의 변모 _ 277
5. 나관중의 시대와 신재효의 시대 _ 282
6. 양 담론의 전술과 전략 _ 286
7. 맺음말 _ 289

4. 어린아이가 지은 시 이야기_ 291
1. 머리말 _ 291
2. 자료의 성격과 등장인물 _ 294
3. 서사 전개의 방식 _ 302
4. 아동의 시를 바라보는 시선 _ 313
5. 맺음말 _ 319

제3부_사상담론과 서사문법
1. 이류중행(異類中行)의 서사_ 339
1. 머리말 _ 339
2. 이류중행 담론의 의미와 자장 _ 341
3. 이류중행 사상의 서사문학적 변용 _ 347
4. 이류중행 사상의 서사문학적 의미 _ 357
5. 맺음말 _ 364

2. 인간과 동물이 관계를 맺는 서사적 방식 _ 367
1. 머리말 _ 367
2. 인간과 동물의 관계 양상 _ 369
3. 생태적 의미 _ 393
4. 맺음말 _ 398

3. 질병치유의 서사관습과 생명의 의미 _ 403
1. 머리말 _ 403
2. 자료의 양상 _ 404
3. 질병과 환자 _ 417
4. 치유 주체와 치유 방식 _ 427
5. 생명과 건강의 의미 _ 437
6. 맺음말 _ 439

4. 조선시대의 심성지식장과 소설문학 _ 441
1. 조선 사회를 지배한 심성지식장 _ 441
2. 심성지식의 서사적 길 찾기 - 심성우언소설 _ 444
3. 정리(情理)서사문법의 완성 - 판소리계소설 _ 449
4. 감정처세의 백과사전 - 가정소설과 대장편가문소설 _ 459
5. 도덕감정공동체를 향한 서사적 발자취 _ 466

제4부_소설작품의 서사문법
1. 인성 논쟁으로 읽는 <흥부전> _ 473
1. 문제 제기 _ 473
2. 자본주의적 인간론과 <흥부전> _ 476
3. 심성적 인간론과 <흥부전> _ 483
4. 장부적 인간론과 <흥부전> _ 489
5. 인성의 향방과 그 의미 _ 496
6. 맺음말 _ 500

2. 심학(心學)의 눈으로 바라본 <옹고집전> _ 503
1. 머리말 _ 503
2. 심학의 눈 _ 505
3. ‘고집’의 심학적 해석 _ 512
4. 인심과 도심의 대립과 갈등 _ 519
5. <옹고집전>의 심학적 의미 _ 528
6. 맺음말 _ 534

3. <손천사 영이록>의 도교적 상상력 _ 537
1. 문제 제기 _ 537
2. 도교적 배경의 형상화 _ 541
3. 도교적 인물의 형상화 _ 550
4. 도술 중심의 사건 형상화 _ 558
5. 도교적 영웅의 자기실현과 주제 의식 _ 565
6. 맺음말 _ 569

4. <호질(虎叱)>의 생태담론(生態談論) _ 573
1. 머리말 _ 573
2. 인물성동론과 생태담론 _ 575
3. 담론의 전개과정 _ 581
4. <호질> 생태담론의 의미 _ 599
5. 맺음말 _ 606

참고문헌 _ 609
찾아보기 _ 623

저자소개

허원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남한강이 보이는 충청북도 충주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나서 그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건국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한국 고전문학을 공부했다. 조동선의 이류중행 사상과 관련해 《삼국유사》의 구도 이야기를 분석한 논문을 써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신명풀이로 판소리의 서사구조와 미의식을 분석한 논문을 써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오랫동안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의 연구원으로 왕실 고문헌을 조사하고 연구하는 일을 했으며, 한동안 다산학술문화재단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하며 《다산학사전》 편찬 작업을 담당했다. 현재는 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에 재직하며 고전 서사문학과 스토리텔링을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우리 서사문학의 본령을 찾아서 그 사상과 미학을 탐구하는 작업을 줄곧 수행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논문들을 다수 발표했다. 이와 함께, 《판소리의 신명풀이 미학》, 《고전서사문학의 사상과 미학》, 《고전산문자료연구》, 《고전문학과 인성론》, 《고전서사문학의 계보》, 《우리 고전의 서사문법》, 《충주, 옛 문학과 민속의 풍경》 등 다수의 저서를 집필했다. 한편으로 《낙성비룡》, 《정수정전》, 《홍백화전》, 《화문록》, 《영이록》, 《양문충의록》, 조선 시대 한글간찰 등 여러 고전 작품의 번역 주석 작업을 수행했다. 동서의 문사철을 융합하는 인문고전학의 길을 탐색하며, 그 융합의 지점에서 서사적 이야기를 발견했다. 틈틈이 헬라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와 같은 고전어들을 공부하며 보편적 융합학문으로서 이야기 인문학의 길을 조심스럽게 탐색하고 있다. 때로는 강호의 선지식을 찾아다니면서 구도 이야기를 수집하기도 한다. 이야기의 사상사와 글쓰기의 사상사를 정리하는 것을 필생의 과업으로 삼고 있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부분 대체하게 될 새로운 시대에는, 대중이 모두 고전어로 성인의 말씀을 읽으며 저마다 심신을 수양해, 대중이 모두 성인이 되는 시대가 와야만 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