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사라져 버린 사용자 책임

사라져 버린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대안)

조돈문, 손정순, 남우근 (엮은이)
매일노동뉴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사라져 버린 사용자 책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사라져 버린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88997205189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13-06-13

책 소개

상대적으로 사회적 관심과 학술적 연구에서 주변화됐던 직종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구직자와 사용업체를 매개하는 노동시장 중개기구들의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해 간접고용 비정규 노동자의 실태를 분석한다.

목차

책머리에 4

1장 머리말 (조돈문 외) 15
1. 비정규직 노동자 문제와 간접고용 16
2.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8

2장 간접고용 노동자 현황과 쟁점 (남우근) 21
1. 간접고용 노동자 현황 22
2. 간접고용의 개별적 근로관계 쟁점 32
3. 간접고용의 집단적 노사관계 쟁점 47

3장 직종별 간접고용 노동자 실태 (남우근 외)
1. 간접고용 전반적 실태 56
2. 간접고용 직종별 실태 65
3. 간접고용 고용특성 및 개선 과제 140

4장 민간 노동시장 중개기구와 간접고용 비정규 노동(손정순 외)
1. 들어가며 148
2. 노동력 중개기구의 기능. 역할과 중간 착취 151
3. 한국의 노동력 중개기구의 전개 과정과 실태 161
4. 맺은말 189

5장 해외 법. 제도 실태와 함의
Ⅰ. 노동시장 중개기구에 대한 국제노동기구(ILO)의 규율 원칙(손정순)
1. 들어가며 194
2. 민간 노동시장 중개기구에 대한 ILO의 규율 원칙 195
3. 특수고용직 노동자의 노동권 보호를 위한 권고안 203
4. 맺음말 : 한국에 대한 함의 206
Ⅱ. 스페인의 간접고용 사용에 대한 사회적 규제 : 파견노동의 규제 방식 및 효과를
중심으로 (조돈문)
1. 들어가며 208
2. 간접고용 사용 관련 법적 규제 209
3. 파견업 단체협약과 파견노동자 보호 219
4. 제6차 단체협약과 단체교섭 과정 225
5. 토론 및 맺음말 234
Ⅲ. 스웨덴의 간접고용 사회적 규제와‘관리된 유연성’: 파견업 단체협약을
중심으로 (조돈문)
1. 들어가며 244
2. 간접고용 비정규직 사용과 법적 규제 246
3. 단체협약에 의한 파견업 규제 251
4. 행위주체들의 전략적 선택과 관리된 유연성 256
5. 맺음말 270

Ⅳ. 프랑스의 노동력공급에 대한 규율 (조임영)
1. 개관 274
2. 직업소개사업에 대한 규율 275
3. 노동력공급에 대한 규율 276
4. 프랑스 노동력공급에 대한 규율의 주요 특징 297
Ⅴ. 미국 노동시장 중개기구 규제 역사적 형성, 현재의 과제(김진희)
1. 노동시장 중개기구 규제와 미국적 시스템 300
2. 사설 고용중개업체의 생성과 규제 302
3. 노조직영 직업소개서의 쇠퇴와 파견업체의 등장 307
4. 파견업체와 파견노동자의 특징들 3 1 1
5. 현행 연방정부의 법과 규제 밖에 있는 파견업체 316
6. 노동시장 중개기구 규제를 위한 노력과 한계들 321
7. 맺음말 325
Ⅵ. 일본의 간접고용과 법규제 일본의 직업소개, 근로자공급,
파견노동에 대한 규율 (노상헌)
1. 개관 328
2. 직업소개제도 330
3. 근로자공급 사업 333
4. 파견노동 336
5. 위장도급의 문제 341
6. 일본 법제도의 주요 특징 346

6장 간접고용 비정규직 사용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조돈문)
I. 간접고용 비정규직 사용의 문제점 350
1. 간접고용 비정규직의 실태 350
2. 사용업체의 비정규직 사용 문제점 352
3. 노동시장 중개기구의 문제점 355
II. 간접고용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대안 359
1. 간접고용 비정규직 관련 정책의 목표와 전략 359
2. 비정규직 전반에 대한 사용 규제 362
3. 간접고용 비정규직 사용에 대한 추가적 규제 368
4.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중심 노동시장 정책 강화 376

참고문헌 386

색 인 394

[표차례]
<표 1> 피고용자의 고용형태 유형화 - 17
<표 1-2> 조사연구 대상 직종의 유형 - 19
<표 2> 임금노동자 고용형태 분류 - 24
<표 3> 임금형태에 따른 건설업 고용분류 - 24
<표 4> 제조업 고용형태 - 25
<표 5> 금속노조 소속 사업장내 비정규 노동의 규모 추이 - 25
<표 6> 연도별 고용형태 규모 변화 - 26
<표 7> 간접고용 노동자 산업별 분류 - 28
<표 8> 간접고용 노동자 직종별 분류 - 29
<표 9> 고용형태별 월평균임금 - 30
<표 10> 고용형태별 최저임금미만자 - 31
<표 11> 고용형태별 사회보험, 복지 적용률 - 32
<표 12> 고용형태별 취업동기 - 32
<표 13> 외환위기 당시 중앙정부 인력감축 현황 - 38
<표 14> 2011년 공공부문 기관별 비정규직 현황 - 39
<표 15> 정부가 조사한 비정규직 규모 - 39
<표 16> 공공기관 민간위탁 이유 - 40
<표 17> 서울메트로 시설물관리용역 총괄내역서 - 41
<표 18> 청소용역 계약조건 중 단체행동권을 제약하는 사례 - 51
<표 19> 고용형태별 개념 정의 - 55
<표 20> 실태조사 대상 직종 - 56
<표 21> 응답자 직종별 분포 - 57
<표 22>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OES) 상 조사 직종 인원 수 - 58
<표 23> 고용형태별 취업경로 - 59
<표 24> 직종별 월 통상임금 분포 - 62
<표 25> 고용형태/직종별 인적특성 및 만족도 - 63
<표 26> 직종별 힘든 점 - 64
<표 27> 2011년 상반기 파견 근로자수 및 평균임금 - 71
<표 28> 콜센터 상담원 현황 - 77
<표 29> 2012년 서울대 농생대 청소용역 인건비 내역 - 87
<표 30> S대학교 단과대학별 용역계약서상 업체이윤 - 90
<표 31> 2009년 일반 음식점업 업체 수 및 종사자 현황 - 111
<표 32> 가사도우미 노동시장 현황 - 117
<표 33> 간병인 노동시장 현황 - 121
<표 34> 퀵서비스 종사자 및 업체 수 현황 - 129
<표 35> 연도별 대리운전 업체수 및 대리운전기사수 - 134
<표 36> 간접고용 고용 특성 정리 - 141
<표 37> 중간착취 특성 구분 - 142
<표 38> 직업소개와 파견의 구분 - 151
<표 39> 민간 노동시장 중개기구 사례조사 개요 - 160
<표 40> 민간 직업소개 사업체를 이용한 취업자의 종사상 지위, 1999~2007년 - 168
<표 41> 파견 사업체 현황 - 169
<표 42> 연도별-파견 규모별 파견사업체 현황 - 174
<표 43> 상시?일시 파견 업무별 파견노동자 수 - 175
<표 44> 민간 직업소개업체를 이용한 취업자 중 여성 비중 및 상위 직종 분야 - 187
<표 45> 사내하도급근로자 노동인권 개선을 위한 법령 및 정책 개선 권고 내용 - 209
<표 46> 스페인 노동시장 개혁과 법제도 변화 - 211
<표 47> 스페인 간접고용 사용 규제 법제도 변화 - 213
<표 48> 파견노동 관련 지표들의 변화 추이, 1994~2011년 - 219
<표 49> 제6차 단체협약 교섭과정의 쟁점 - 230
<표 50> 주요 사회적 규제 변화와 정책 효과 - 235
<표 51> 파견노동자 규모 및 비율 변화 추이, 2007~2011년 - 267
<표 52> 도급, 근로자공급 및 파견과의 법률관계 - 330
<표 53> 2중파견의 금지 - 340
<표 54> 2중파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341
<표 55> 도급과 파견의 관계 - 343
<부표 1> 19대 국회 개원 직후 발의 법안, 2012년 5월30일~9월30일 - 385

[그림차례]
<그림 1> 연도별 간접고용 규모 추이 - 26
<그림 2> 고용형태별 월평균임금 비교 - 30
<그림 3> 고용형태별 간접고용 특성 - 55
<그림 4> 간접고용 비정규 노동의 삼각 고용관계 - 149
<그림 5> 공공/민간 부문 직업소개 업체 수 추이, 1968~1980년 - 162
<그림 6> 직업 소개 기구를 통한 취업자중 공공/민간 취업자 추이, 1983년~1998년 - 165
<그림 7> 공공/민간 직업소개 사업체 수 - 168
<그림 8> 파견업체의 파견 대상 업무 및 파견 기간 추이 - 176
<그림 9> 파견노동자 규모 변화 추이, 1994~2011년 - 266

저자소개

조돈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9년 8월 퇴임했다. 주요 관심 영역은 불평등과 이데올로기, 평등 사회와 이행의 정치, 사회 양극화와 비정규직, 계급 관계와 노동계급 형성, 유럽의 사회적 모델과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변혁 실험 등이다. 노회찬재단 이사장, 민교협 상임의장, 대안연대회의 운영위원장, 삼성노동인권지킴이 상임대표,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정책자문위원장, 사회공공연구원 이사장, 민주노동당 평가혁신위원장,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로서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사회경제개혁을 위한 지식인선언네트워크 공동대표,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동운동과 신사회운동의 연대》 《노동계급의 계급형성: 남한 해방 공간과 멕시코 혁명기의 비교연구》 《브라질에서 진보의 길을 묻는다: 신자유주의 시대 브라질 노동운동과 룰라 정부》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 《비정규직 주체형성과 전략적 선택》 《베네수엘라의 실험: 차베스 정권과 변혁의 정치》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을 위한 실험》 《함께 잘사는 나라 스웨덴: 노동과 자본, 상생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공저 및 편저로는 《구조조정기 노동조합의 개입전략》 《한국 사회의 계급론적 이해》 《한국 사회, 삼성을 묻는다》 《217, 한국 사회를 바꿀 진보적 정책대안》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의 길》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본 지역 일자리·노동시장 정책》 《다시 묻는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다시 촛불이 묻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경제개혁》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