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 대안)

조돈문, 김기선, 조경배, 이남신, 손정순, 남우근, 최혜인, 정홍준, 심재진, 황수옥, 김직수, 박종식, 송용한, 노성철 (지은이), 조돈문, 조경배, 정홍준 (엮은이),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매일노동뉴스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 대안)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노동문제
· ISBN : 978899720535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6-08-25

책 소개

특수고용 노동자는 비정규직 가운데서도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비정규직이다. 근로기준법과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의 협애한 근로자 개념 정의와 법원의 보수적 법해석으로 인해 노동기본권 사각지대에 방치된 노동자 집단이 바로 특수고용 노동자다.

목차

책머리에 4

1장 들어가는 말 (조돈문·정흥준)
1. 특수고용 노동자 연구의 필요성 14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7
3. 특수고용 노동자 관련 법제도 및 노동권 보호 과제 21
4. 특수고용 노동자의 근로자성 및 노동조건 실태조사 : 연구방법과 과제 23

2장 특수고용 노동자 규모 추정 (박종식)
1. 특수고용 노동자 확산 배경 34
2. 특수고용 노동자의 정의와 판별 기준 37
3. 선행연구들의 특수고용 노동자 규모 추정과 한계 44
4. 특수고용 노동자 규모의 새로운 추정 시도 46

3장 특수형태근로의 법제도 실태 및 변화 (조경배)
제1절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관련 법제도 및 판례
1. 법령상의 근로자 개념의 상대성 70
2.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직종별 법적 지위 72
3. 특수형태근로종사자에 대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적용 81
제2절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노동자성 판단기준과 쟁점
1. 개별적 노동관계법상의 노동자성 판단기준 84
2.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노동자성 판단기준 90
3. 사회보험법상의 노동자성 판단기준 108
제3절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법제도 개선 논의 과정 및 쟁점
1. 법제도 개선 논의의 과정 110
2. 법 해석론 및 입법론상의 쟁점 111

4장 특수고용 노동자 직종별 실태의 양적 분석 (조돈문)
1. 조사연구 방법 및 자료 설명 132
2.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직종별 종속성 정도 145
3. 직종군 내 직종범주별·고용형태별 종속성 정도 152
4. 직종별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조건과 조직화 171
5. 소결 180

5장 특수고용 노동자의 업종별 인권침해 실태 심층분석 (정흥준 외)
1. 조사대상, 방법 및 조사내용 190
2.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과정 193
3. 종속성을 기준으로 한 노동자성 219
4.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조활동 불인정 229
5. 사용자에 의한 종속성 은폐 실태 233
6. 소결 237

6장 특수고용 노동자 보호를 위한 해외 법제도의 실태와 함의
제1절 특수고용 노동자 보호를 위한 국제기준 (황수옥) 242
1. 국제노동기구(ILO)의 제95차 고용관계 권고 244
2.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251
3. 유럽연합 (EU) 255
4. EU 회원국들의 고용관계에 대한 판단지표 258
제2절 영국 노동법에서의 특수고용 노동자 보호 (심재진)
1. 들어가며 288
2. 영국 노동법에서의 적용대상 규정 289
3. 노무제공자와 노무공급자 개념에서의 특수고용 노동의 보호 298
4. 노무제공자 여부에 관한 주요 판례 304
5. 소결 314
제3절 독일의 특수고용 노동자 관련 법제도 및 보호 실태 (김기선)
1. 독일에서의 근로자성 판단 316
2. 독일에서의 근로자 유사한 자 320
3. 소결 335
제4절 오스트리아에서의 특수고용 노동자의 법률문제 (김기선)
1. 오스트리아에서의 근로자성 판단 337
2. 오스트리아에서의 근로자 유사한 자 339
3. 소결 348

7장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실태와 정책대안 (조돈문·조경배)
1. 특수고용 비정규직의 실태와 사회적 보호의 절실함 350
2.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종속성과 사회적 보호의 과제 354
3. 특수고용 비정규직의 보호방안 364

참고자료 378

부록 :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실태 및 인식 설문조사 387

저자소개

조돈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9년 8월 퇴임했다. 주요 관심 영역은 불평등과 이데올로기, 평등 사회와 이행의 정치, 사회 양극화와 비정규직, 계급 관계와 노동계급 형성, 유럽의 사회적 모델과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변혁 실험 등이다. 노회찬재단 이사장, 민교협 상임의장, 대안연대회의 운영위원장, 삼성노동인권지킴이 상임대표,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정책자문위원장, 사회공공연구원 이사장, 민주노동당 평가혁신위원장,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로서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사회경제개혁을 위한 지식인선언네트워크 공동대표,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동운동과 신사회운동의 연대》 《노동계급의 계급형성: 남한 해방 공간과 멕시코 혁명기의 비교연구》 《브라질에서 진보의 길을 묻는다: 신자유주의 시대 브라질 노동운동과 룰라 정부》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 《비정규직 주체형성과 전략적 선택》 《베네수엘라의 실험: 차베스 정권과 변혁의 정치》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을 위한 실험》 《함께 잘사는 나라 스웨덴: 노동과 자본, 상생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공저 및 편저로는 《구조조정기 노동조합의 개입전략》 《한국 사회의 계급론적 이해》 《한국 사회, 삼성을 묻는다》 《217, 한국 사회를 바꿀 진보적 정책대안》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의 길》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본 지역 일자리·노동시장 정책》 《다시 묻는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다시 촛불이 묻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경제개혁》 등이 있다.
펼치기
조경배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경배의 다른 책 >
이남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손정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비정규노동센터 부소장
펼치기
최혜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비정부기구학을 전공했다. 사회복지사에게 노동조합이 필요하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첫 직장이었던 한국비정규노동센터에서 정책 담당으로 일했다. 주로 비정규직의 노동 실태 파악, 문제 개선을 위한 대안 제시 등의 거시적 측면의 일을 맡았다. 그러다 지금의 법과 제도가 노동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야 실용적인 대안을 고민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노동자와 가까워질 수 있는 노무사가 됐다. 직장갑질119에서 직장 내 괴롭힘과 각종 부당한 대우를 당하는 노동자를 상담하고, 현재 민주노총 법률원(법무법인 여는)에서 노동 사건을 대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 저서로는 《이런 시급 6030원(공저)》이 있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정책연구위원, 직장갑질119 법률 스태프, 노동인권실현을 위한 노무사 모임 회원, 서울시 마을노무사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정홍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심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직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송용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돈문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 학위를,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다 2019년 8월 퇴임했다. 주요 관심 영역은 불평등과 이데올로기, 평등 사회와 이행의 정치, 사회 양극화와 비정규직, 계급 관계와 노동계급 형성, 유럽의 사회적 모델과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변혁 실험 등이다. 노회찬재단 이사장, 민교협 상임의장, 대안연대회의 운영위원장, 삼성노동인권지킴이 상임대표, 한국산업노동학회 회장, 비판사회학회 회장, 한국스칸디나비아학회 회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정책자문위원장, 사회공공연구원 이사장, 민주노동당 평가혁신위원장,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가톨릭대학교 명예교수로서 한국비정규노동센터 이사장, 사회경제개혁을 위한 지식인선언네트워크 공동대표,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노동운동과 신사회운동의 연대》 《노동계급의 계급형성: 남한 해방 공간과 멕시코 혁명기의 비교연구》 《브라질에서 진보의 길을 묻는다: 신자유주의 시대 브라질 노동운동과 룰라 정부》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 《비정규직 주체형성과 전략적 선택》 《베네수엘라의 실험: 차베스 정권과 변혁의 정치》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을 위한 실험》 《함께 잘사는 나라 스웨덴: 노동과 자본, 상생의 길을 찾다》 등이 있다. 공저 및 편저로는 《구조조정기 노동조합의 개입전략》 《한국 사회의 계급론적 이해》 《한국 사회, 삼성을 묻는다》 《217, 한국 사회를 바꿀 진보적 정책대안》 《위기의 삼성과 한국 사회의 선택》 《노동자로 불리지 못하는 노동자: 특수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의 길》 《해외사례를 중심으로 본 지역 일자리·노동시장 정책》 《다시 묻는 사용자 책임: 간접고용 비정규직 실태와 정책대안》 《다시 촛불이 묻는다: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경제개혁》 등이 있다.
펼치기
조경배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조경배의 다른 책 >
정홍준 (엮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한국비정규노동센터 (기획)    정보 더보기
비정규직 노동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조직화를 촉진하기 위해 2000년 5월 설립되었다. 비정규노동의 문제는 ‘노동문제’를 넘어 ‘인권문제’이자 ‘사회문제’로 복합적 성격을 띤다. 비정규노동 문제 조사 연구와 정책 개발을 바탕으로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노동기본권을 보장받을 수 있고, 삶의 질이 좀 더 나아질 수 세상을 만들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