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206476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16-11-0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
1장. 관성의 틀을 넘는 유연한 수업디자인 · 12
1. 우리 나름의 수업디자인 철학 · 14
2. 수업디자인을 할 때 고려하는 요소들 · 22
3. 수업모임을 통한 수업디자인의 변화 · 30
2장. 공감과 울림이 있는 수업 · 40
- 기술 1학년 ‘기술 발달의 영향’ - 서동석
1. 아이들 실생활과 가까운 주제 찾기 · 42
2. 아이들이 자기 경험을 공유하는 시간 설정 · 48
3. 활동지 과제 안내 문구의 세밀한 수정 · 54
4. 적극적인 되돌리기 - 피드백의 중요성 · 61
5. 다른 수업 참관을 통한 자기 수업 성찰 · 66
6. 솔직하고 진지한 대화를 나눈 공개수업 · 71
3장. 전공 지식을 털어내고 낯선 곳에서 다시 시작하는 · 76
- 과학 1학년 ‘판구조론의 이해’ - 전경아
1. 아이들의 눈높이로 파학에 다가서기 · 78
2. 장황한 설명 대신 질문으로 징검다리 놓기 · 88
3. 지형도와 판 경계의 연계성을 찾기 위한 참관 교사들의 1인 3역 · 96
4. 수업을 통해 성장하는 아이들 · 106
4장. 가르쳐야 한다는 고집을 내려놓으니
서로 배우는 아이들 모습이 들어온다 · 106
- 국어 1학년 갈등과 성장, 〈하늘은 맑건만〉- 박미경
1. 소설의 내용, 민낯 보기 · 118
2. 소설의 뼈대, 갈등에 집중하기 · 125
3. 새로운 과제: 외적 갈등 만들기 · 133
4. 사전 공개수업과 교사들의 피드백 · 139
5. 소설의 갈등 상황을 묘사하는 ‘나도 소설가’ · 150
5장. 소곤거림을 넘어 소통으로 · 160
- 수학 1학년 ‘통계’ 단원 - 이경은
1. 아이들 일상을 담는 통계 수업 · 162
2. 자료를 근거로 누군가를 설득해보자 · 172
3. ‘많다’, ‘적다’를 넘어 다른 설득 방법을 찾도록 하는 아이들과의 소통 과정 · 188
4. 서로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소통이란 · 195
6장. 내 수업의 터닝 포인트 · 206
- 영어 1학년 8단원 전 차시와 9단원 공개수업 - 서은지
1. ‘영어’라는 수업에 대한 나의 ‘공식’ · 208
2. 스펠링과 뜻, 스토리 이해 · 218
3. 양보다 질이 중요한 본문 독해 · 228
4. 물음표가 느낌표로 변하는 문법과 독해 · 237
7장. 무거운 사회 교과 개념에 가볍게 다가가기 · 252
- 사회 1학년 ‘경제활동과 희소성’ - 조윤성
1. 자원의 희소성 개념을 활동지로 풀어내기 · 254
2. 자원의 희소성 개념을 더 구체화하기 · 262
3. 수업 교사의 수업의 한계를 짚어보기 · 269
4. 아이들의 작은 반응까지도 살펴보기 · 276
8장. 원자설 수업은 어떻게 변해갔나 · 286
- 과학 2학년 ‘물질의 구성’ - 남경운
1. 수업의 주제부터 과제까지 함께 만들기 · 288
2. 예상하지 못한 아이들의 실험 해석 · 298
3. 아이들과 교사 사이의 거리 · 308
4. 아이들이 잘할 수 있는 것을 하는 수업 · 317
에필로그 · 331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둘째, 수업모임에서의 수업 참관은 마치 실험처럼 진행되는 구조이다. 사전에 수업을 같이 설계할 때, 우리는 학생들의 반응 및 수행 과정을 예측한다. 그리고 참관을 하며 우리의 예측이 얼마나 잘 맞아떨어졌는지를 확인하고, 예측대로 되지 않았다면 그 원인을 찾아 활동지나 발문, 진행 과정을 수정한 뒤 다시 참관하기를 반복한다. 수정이 작고 소소한 것들일지라도 이를 통해 아이들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며 또다시 자신을 돌아보고 점검한다.
범교과 수업모임에서 공개수업을 구성할 때 학습목표를 탐색하고 나면, 이를 구현하기 위해 활동지에 명시하지는 않지만 ‘개인별 활동’, ‘모둠 활동’, ‘전체 공유’로 디자인한다. 각 과정은 독립적으로도 의미가 있고 서로 유기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범교과 수업모임에서의 논의는 크게 활동지 과제 수정과 수업 운영 방법 검토로 구분된다. 수업모임 초반에는 주로 활동지 과제 수정에 집중하다가 공개수업이 가까워지는 후반에는 사전 수업을 참관하면서 과제 수정과 더불어 수업 운영 방법으로 논의가 옮겨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