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88997305186
· 쪽수 : 486쪽
· 출판일 : 2019-11-28
책 소개
목차
1부 <과학적 문화론과 주체 위치>
1. 유물론적 문화론 정초를 위하여 ∙ 강내희
2. 문화연구의 종말과 생성: 비판이론과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1 ∙ 이동연
3. ‘통치양식’의 문제설정과 새로운 주체이론의 탐색: 푸코-맑스-칸트-벤야민-인지과학의‘ 변증법적 절합’ ∙ 심광현
4. 파시즘과 ‘해방의 정치’의 딜레마―사회적 약자의 해방의 에너지와 생존 ∙ 권명아
5. 현대사회의 괴물인 다중에 관한 해부학―문화사회에서 실천적 다중의 구성 ∙ 김성일
2부 <한국 문화지형의 새로운 구성>
6. ‘1987년형 민주주의’의 종언과 촛불항쟁 이후의 한국 민주주의: 대중민주주의의 문화정치를 중심으로 ∙ 천정환
7. 북한 연구에서 북한 문화연구로 ∙ 오창은
8. 퇴행의 시대와 ‘K문학/비평’의 종말 ―2015년 문학권력 논쟁 및 문학장의 뉴웨이브를 중심으로 ∙ 오혜진
9. 합리적 보수는 언제 올까?: 한국 우파의 혁신 가능성에 대한 탐색 ∙ 조형근
10. 생태문화 민주주의의 페미니즘적 재구성을 위하여 ∙ 태혜숙
11. 페미니즘 리부트: 한국영화를 통해 보는 포스트-페미니즘, 그리고 그 이후 ∙ 손희정
3부 <파국의 시대, 문화론의 조건들>
12. 오토포이에시스와 마음의 정치학 ∙ 이득재
13. 정동의 이론적 갈래들과 미적 기능에 대하여 ∙ 박현선
14. 이데올로기와 어펙트, 혹은 ‘인간학적 조건’을 어떻게 사유할 것인가?: 루이 알튀세르와 브라이언 마수미 사이 의 쟁점을 중심으로 ∙ 정정훈
15. 역사적 자본주의의 시각에서 본 신자유주의 금융세계화 ∙ 백승욱
16. 플랫폼 위에 놓인 자본주의 이후의 삶 ∙ 김상민
17. ‘인류세’ 논의를 둘러싼 쟁점과 테크노-생태학적 전망 ∙ 이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