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CSI IN 모던타임스

CSI IN 모던타임스

(재즈 시대 뉴욕, 과학수사의 탄생기)

데버러 블룸 (지은이), 장세현 (옮긴이)
어크로스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CSI IN 모던타임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CSI IN 모던타임스 (재즈 시대 뉴욕, 과학수사의 탄생기)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법의학
· ISBN : 978899737926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3-06-21

책 소개

퓰리처상 수상 과학 저널리스트 데버러 블룸이 재즈 시대 뉴욕을 휩쓴 ‘독살의 광풍’을 소재로 전에 없던 지식 논픽션을 선보인다. 세계 정치사와 과학사의 주요사건들이 불러온 핏빛 현실에 대한 이야기이자 미국 과학수사의 탄생기이다.

목차

프롤로그: 재즈 시대 뉴욕, 독살 게임이 시작되었다
chapter 1. 1915년 | 클로로포름(CHCl3)
무법 도시를 깨운 8구의 시체
chapter 2. 1918~1919년 | 우드알코올(CH3OH)
노리스와 게틀러, 집요하고도 집요한 콤비의 출현
chapter 3. 1920~1922년 | 시안화물(HCN, KCN, NaCN)
금주법의 시대-뛰는 과학, 나는 독, 눈 감은 법
chapter 4. 1922~1923년 | 비소(As)
가장 확실한 독은 약국에 있다
chapter 5. 1923~1925년 | 수은(Hg)
뉴욕을 뒤집어 놓은 머큐리 로망스
chapter 6. 1926년 | 일산화탄소(CO) PART I
자동차의 출현과 법의학의 성년식
chapter 7. 1927년 | 메틸알코올(CH3OH)
정부 화학자 vs 암시장 화학자
chapter 8. 1928~1929년 | 라듐(Ra)
마담 퀴리의 영광 속에 사라진 여공들
chapter 9. 1930~1932년 | 에틸알코올(C2H5OH)
금주법의 패망사-“행복한 시절을 다시 한 번”
chapter 10. 1933~1934년 | 일산화탄소(CO) PART II
세 번 죽은 마이크의 원통함을 없게 하라
chapter 11. 1935~1936년 | 탈륨(Tl)
새로운 시대가 쉽게 오지 않아도
에필로그: 뉴욕이 빚진 두 사람-노리스와 게틀러

저자의 말 | 감사의 말 | 참고 문헌 | 주석 | 찾아보기

저자소개

데버러 블룸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92년 영장류 연구로 퓰리처상을 받은 저자는 <뉴욕 타임스New York Times>, <월스트리트 저널Wall Street Journal>,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os Angeles Times>, <슬레이트Slate>, <사이콜로지 투데이Psychology Today>, <머더 존스Mother Jones>등에 과학 칼럼을 써왔다. 또한 전미 과학 저술가 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cience Writers) 회장을 지내고, 세계 과학 저널리스트 연합 북미 위원(the North American Board member of the World Federation of Science Journalists)을 지내는 등 미국의 대표 과학 저널리스트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은 위스콘신 대학교에서 과학 저널리즘을 가르치고 있다.
펼치기
장세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 옮긴 책으로 《지금, 경계선에서》 《온워드》 《현실을 상상하라》 《행복의 가격》 《CSI IN 모던타임스》 《어떻게 따르게 만들 것인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18년, 뉴욕 시는 독살 게임에 일대 혁명을 일으키고 독성학의 입지를 드높일 파격적인 개혁을 단행한다. 부패한 검시관들과 미해결 살인사건이 뒤얽힌 일련의 스캔들이 개혁의 계기였다. 뉴욕 시는 처음으로 전문 교육을 받은 검시관을 채용했다. 카리스마 넘치는 그 병리학자의 이름은 찰스 노리스Charles Norris였다. 노리스는 직무를 시작하자마자 열정과 재능을 겸비한 알렉산더 게틀러Alexander Gettler라는 화학자를 고용해 그에게 뉴욕 시 최초의 독성학 실험실을 설립하고 감독하도록 했다.
-프롤로그


모스가 가장 먼저 사용한 것은 비소였다. 하지만 실험 대상이 된 노인은 깔끔하게 죽지 않았다. 처음에는 흉측한 모습을 보이며 앓더니 그다음엔 몸이 서서히 마비되면서 며칠 동안 비참하게 연명하다 숨을 거두었다. 그 바람에 모스는 고된 간호 일에 시달려야 했다.……모스는 다시 조제실을 뒤졌다. 두 번째로 선택한 독은 클로로포름이었다. 그가 클로로포름을 고른 것은 어쩌면 공기 중에 퍼지는 그 달착지근하고 자극적인 향기, 그 감미롭고 유혹적인 가능성에 매료되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그는 두 번째 선택에 만족한 듯 미소를 지으며 이야기했다. “노인에게 클로로포름을 쓰는 건 아이를 재우는 것하고 비
슷해요.”
-chapter 1. 1915년 | 클로로포름(CHCl3) | 무법 도시를 깨운 8구의 시체


6개월간의 논쟁 끝에 주 의회는 뉴욕의 금주법 시행법을 폐지한다는 결의문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
은1923년5월에 스미스에게 전달되었다. ……민주당의 유력자이자 주 의회 의원인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Franklin Delano Roosevelt는 스미스에게 마음속에 품은 큰 뜻을 잊지 말라고 충고했다. 스미스는 주지사를 거쳐 대선에 출마하겠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주점 반대 연맹의 리더들은 뉴욕이 국가 정책을 방해할 경우 남북전쟁에 필적하는 무력 충돌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편 민주당 내
주류 세력은 스미스에게 금주법을 물리치지 못하면 다시는 뉴욕 주에서 공직을 맡을 수 없을 거라고 통보했다.
-chapter 4. 1922~1923년 | 비소(As) | 가장 확실한 독은 약국에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