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나카츠카 아키라 (지은이), 박현옥 (옮긴이), 전라남도립도서관 (기획)
모시는사람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작가론
· ISBN : 978899747268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4-06-15

책 소개

일본의 국민작가라고 불리는 시바 료타로의 대표적인 소설 <언덕 위의 구름>에 나타난 그의 역사관을 통해서, 현대 일본인의 역사인식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목차

제1장 왜, 지금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을 묻는가?
1. ‘메이지백년 기념사업’과 <언덕 위의 구름>
2. ‘한국 병합 백년’에 즈음하여 왜 <언덕 위의 구름>인가?

제2장 시바 료타로는 근대 일본의 역사를 어떻게 보았는가?
1. 일본 근대사를 보는 눈
2. 패전 전의 쇼와는 일본 역사상 ‘비연속의 시대’라는 설
3. ‘러일전쟁 후 이상해진 일본’이라는 설

제3장 시바 료타로의 ‘조선관’
1. 시바 료타로는 조선 문제를 잘 알고 있었을까?
2. ‘고대의 조선’을 말하며 ‘근대의 조선’을 말하지 않는다
3. <언덕 위의 구름>의 시대 ― 일본의 발흥·조선의 몰락
4. <언덕 위의 구름>으로 보는 조선론 ― 세 개의 논점

제4장 ‘근대의 조선’을 말하지 않고 ‘메이지의 일본’을 말할 수 있는가?
1. ‘러일전쟁 후에 일본 육군은 변질했다’는 시바의 설
2. 시바 료타로의 주장은 성립하는가?
3. 러일전쟁 하의 조선의 군사 점령
4. 전사의 위조―진실은 쓰지 않는 공간 전사

제5장 역사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1. 한 한국 지식인의 물음
2. 메이지 초기의 정한론 비판과 러시아의 조선관
3. 사실을 알고 인정한다는 그 용기를 가지고 싶다
4. 역사 연구와 국가권력
5. 역사가 말하는 것

저자소개

나카츠카 아키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오사카 출신으로 교토대 사학과를 졸업하였고, 일본근대사를 전공했다. 1960년대부터 근대 일본 역사에서 ‘조선 문제의 중요성’을 자각하여, 청일전쟁을 비롯한 근대 일본의 조선침략사 등 한일관계 역사를 연구했다. 1963년부터 나라여자대학 문학부 강사, 조교수, 교수로 근무하였고 1993년에 정년퇴임하였다. 조선사연구회 간사, 역사과학 연구회 대표위원, 일본학술회의 회원 등을 지냈다. 나라여대 명예교수이며, 일본의 역사왜곡을 비판하는 대표적 지성이다. 저서에 <청일전쟁연구日淸戦爭の硏究>(1968), <근대일본과 조선近代日本と朝鮮>(1969), <건건록의 세계蹇蹇錄の世界>(1992), <근대일본의 조선인식近代日本の朝鮮認識>(1993), <날조된 역사 바로잡기歷史の偽造をただす>(1997), <역사가의 일歷史家の仕事>(2000), <이것만큼은 알아두자 일본과 조선・한국의 역사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日本と韓国・朝鮮の歷史>(2002),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그의 조선관과 메이지 영광론을 묻는다司馬遼太郞の歷史観- その‘朝鮮観’と‘明治栄光論’を問う>(2009) 등이 있다.
펼치기
박현옥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포대학교 일어일문과를 졸업하고 일본 나고야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근·현대일본문학을 전공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논문은 일본에 있어서 그리스도교 수용을 다룬 엔도 슈샤쿠 문학을 일본의 독자는 어떠한 시점에서 수용하였는지를 종교와 사회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종교문화 전반에 관하여 관심을 갖고 있다. 현재는 목포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전라남도립도서관 (기획)    정보 더보기
펼치기

책속에서

저는 이 책에서 시바 료타로의 역사관 특히 <언덕 위의 구름>에서 시바는 ‘메이지를 어떻게 쓰고 있는가?’ 그것은 ‘메이지 이후의 일본 근대사에 대한 시바의 견해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의견을 기술하겠습니다. 그리고 시바 료타로의 일본의 근·현대사에 대한 견해가 그 한 사람만이 아닌, 왜 일본인에게 폭넓게 지지받고 있는 것인가, 그것에 의해 지금의 일본은 어떤 문제로 끌려가게 되는 것인지를 생각하고 싶습니다.
‘메이지 이야기’는 ‘옛날이야기로 지금 우리와는 관계가 없다.’고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일본의 시민 각자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우리가 내일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것과 깊이 연결되어 있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시바 료타로는 일본의 근대사를 어떻게 보고 있었는지 단적으로 말하면, “전전(戰前: 1945년 이전-역자)의 쇼와는 매우 싫다, 메이지는 매우 좋다.”라는 것입니다. … 시바 료타로가 말하는 ‘전쟁 전의 쇼와’는 쇼와1~9년(1926-1934) 사이에서 20년(1945)까지, 특히 1931년(쇼와6)의 이른바 만주사변(일본이 중국 동북부로 진출한 새로운 전쟁)에서 중국과의 전면 전쟁으로(1937-1945) 확전하고, 그리고 미국·영국·네덜란드 등 세계 대부분의 나라들과 싸운 1941년 이후, 1945년(쇼와20) 8월 패전에 이르기까지의 일입니다.


일본이 메이지유신으로 자립의 길을 선택하였을 때, 조선의 운명은 그 지리적 위치와 주체적
무능력에 의해 일본에 종속하고 그 지배하에 놓인 것은 정해져 있었다는 것이 시바 료타로의 조선론의 골자인 것입니다. 이것은 러일전쟁을 전후로 하여,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지배하려고 했을 때 활발하게 배포된 조선정체론, 조선낙오론과 조금도 다르지 않은 주장입니다. 이와 같은 주장이 일본에 의한 조선 지배 정당화로 나아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