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피드백, 이렇게 한다

피드백, 이렇게 한다

낸시 프레이, 더글러스 피셔 (지은이), 강정임 (옮긴이), 이찬승 (감수)
교육을바꾸는사람들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900원 -10% 0원
1,050원
17,850원 >
18,900원 -10% 0원
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피드백, 이렇게 한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피드백, 이렇게 한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7724093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1-05-14

책 소개

'나는 지금 제대로 된 피드백을 하고 있는가?' 피드백의 원칙부터 실행까지, 한 권으로 끝내는 실전매뉴얼을 담은 책이다.

목차

제1장 형성평가 시스템 만들기
형성평가시스템 15
피드백만으론 충분하지 않다 19
학습에 대한 책임의 점진적 이양(GRR)
프레임워크 21
1. 목적의 확립 22
2. 교사가 시범보이기 23
3. 안내식 지도 24
4. 생산적 모둠활동 27
5. 독자적 과제수행 30
1장 요약 & 2장 미리보기 33

제2장 피드업: 어떤 목표를 향해 가고 있는가?

수업 사이클에서 피드업 38
목적확립 39
동기강화 45
목표설정 52
모든 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57
선택을 활용한 동기부여 58
개별화를 통한 동기부여 61
2장 요약 & 3장 미리보기 63

제3장 이해도 파악: 지금 어디에 있는가?

학생을 형성평가의 중심에 두기 68
구두언어를 활용한 이해도 파악 71
질문하기 72
바꿔 말하기 74
TPS 토론기법 78
글쓰기를 활용한 이해도 파악 80
요약문 쓰기 83
쓰기 길잡이 제공 86
RAFT 88
프로젝트와 수행성과를 활용한 이해도 파악 90
따라하며 배우기와 반복 91
프로젝트 체크리스트 92
발표 97
시험을 활용한 이해도 파악 100
짧은 퀴즈 100
스스로 교정하는 맞춤법 101
빈칸 채우기와 낱말 선택하기 102
QAR 기법 104
공동평가를 활용한 이해도 파악 105
3장 요약 & 4장 미리보기 111

제4장 피드백: 얼마나 잘하고 있는가?

피드백이 ‘피드배드(Feedbad)’가 되는 경우 117
피드백의 수준 118
과제에 대한 피드백 118
처리과정에 대한 피드백 120
자기조절에 대한 피드백 120
개인적 특성에 대한 피드백 121
비교대상 122
준거참조 124
규준참조 125
학생 자신 127
좋은 피드백의 기준 128
적시성 129
구체성 130
이해 가능성 132
실행 가능성 136
피드백의 형태 137
구두 피드백 137
서면 피드백 143
동료 피드백 146
교정적 피드백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155
4장 요약 & 5장 미리보기 157

제5장 피드포워드: 다음 단계는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오개념 165
오류분석 167
단서 오독 168
오류 코딩 169
안내식 지도 173
안내식 지도에서의 스캐폴딩 179
이해도 파악을 위한 철저하고 빈틈없는 질문 182
안내식 지도에서 질문의 유형 185
인지와 메타인지를 위한 길잡이 제공 188
배경지식 길잡이 제공 189
과정과 절차의 길잡이 제공 191
성찰 길잡이 제공 192
자기 발견 길잡이 제공 193
주의전환을 위한 단서 194
시각적 단서 195
언어적 단서 196
몸짓 197
신체적 단서 198
환경적 단서 198
혼동을 해소하기 위한 직접적인 설명과 시범 199
5장 요약 & 6장 미리보기 203

제6장 형성평가 시스템의 구축

GRR 수업프레임워크 208
GRR 수업프레임워크내에서의 개별화 211
형성평가시스템에서의 수업프레임워크 219
공고화의 기회 220
시범보이기 223
총괄평가와 홀로서기 225
형성평가시스템에 관한 질문과 답변 226
형성평가시스템과 리더십 229
생산적인 대화 232
변화의 확장 235
6장 요약 & 마무리 239

찾아보기 242
참고문헌 246

저자소개

더글러스 피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샌디에이고주립대 사범대학의 언어 및 문해력 담당 교수.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해 다수의 논문과 책을 저술했다. 대표 저서로는 낸시 프레이와 공저한 『Checking for Understanding: Formative Assessment Techniques for Your Classroom(이해를 위한 확인: 당신의 교실을 위한 형성평가 기법)』이 있다.
펼치기
낸시 프레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사교육 전문가이자 샌디에이고주립대 사범대학 교수. 문해력, 평가, 개입, 교육과정 설계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과 책을 집필했다. 대표 저서로는 더글러스 피셔와 공저한 『The Distance Learning Playbook, Grades K-12: Teaching for Engagement & Impact in Any Setting(원격학습 플레이북,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적극적 참여와 학습효과를 가능하게 하는 교수법)』이 있다.
펼치기
강정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 대학 강사와 연구원 생활을 거쳐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역서로는 『결국 당신은 이길 것이다』,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하드골: 어려운 목표가 성장을 이끈다』 등이 있다.
펼치기
이찬승 (감수)    정보 더보기
공익단체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 정의롭고 공정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교육을 위한 청사진을 만들고, 사회・경제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놓여 있는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교육프로그램을 연구・개발・보급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형성평가 시스템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피드업, 피드백, 피드포워드)가 모두 존재할 때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면서 학습이 촉진된다. 한 가지라도 누락되면 학습에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이 수업의 목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피드업 부재) 학업에 최선을 다하지 않을 것이다. 명확한 목적이 없는 상태에서 제대로 동기부여를 받지 못한 학생들은 달성해야 할 학습내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지 못한다. 만일 학생들이 평가를 못 받거나 혹은 평가결과를 전달받지 못한다면(피드백 부재), 자신의 학업 수행에 대한 확신 없이 그저 괜찮게 하고 있을 거라 추측만 할 것이다. 이 경우 학생들은 교수학습이 진행되는 동안에 학습과정과 이해수준을 수정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교사가 학생의 수행성과를 기반으로 수업을 계획하지 않으면(피드포워드 부재) 잘못 이해한 개념이 강화되고, 오류는 오류로 남게 되며, 지식의 격차는 지속된다. 학생들이 소극적인 자세로 수업을 관찰하는 동안 교사는 교과 운영계획에 따라 진도를 빼며 ‘가르치는 일’을 계속한다. 안타깝게도 이런 상황에서 교사들은 수업을 받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배움이 일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한다.
- 1장 형성평가 시스템 만들기 중에서


목적 확립은 학습자를 적극적 파트너로 보는 피드업 프로세스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다. 또 다른 요소는 동기부여인데 여기에는 내적동기와 외적동기가 모두 포함된다. 동기는 목적과 연결되어 있다. 확립된 목적에 따라 학생들의 흥미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해서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흥미를 보이는 것들만 학습해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특정 학년마다 특정 사항을 배워야 한다. 학년별, 과목별 성취기준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관련성 있게 만들어서 학생들이 수업내용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이 교사의 역할이다.
- 2장 피드업: 어떤 목표를 향해 가고 있는가? 중에서


이 부분에서 형성평가는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형성평가를 단지 학습자가 무엇을 알고 있는지 파악하는 문제라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교사는 일상적으로 형성평가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 각자가 스스로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줘야 한다. 목적을 확립하고, 동기를 부여하고, 목표를 설정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늘 학생을 중심에 두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형성평가를 진행하는 동안 일어나는 모든 일의 중심에도 학생이 있어야 한다.
- 3장 이해도 파악: 지금 어디에 있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