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커리큘럼
· ISBN : 978899772414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2-04-28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 5
제2판 서문 9
1단계 주의끌기 21
2단계 되돌아보기 74
3단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기 117
4단계 학습강화하기 155
5단계 시연활동하기 193
6단계 복습활동하기 236
7단계 인출활동하기 275
제대로 알기 312
부록 A 꼭 알아야 하는 기초 용어들 333
부록 B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종류 356
참고문헌 362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루 동안 감각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자극은 수없이 많다. 매초 2천 비트의 정보가 우리 뇌의 여과시스템을 통해 들어온다. 우리 뇌는 유입되는 정보량의 단 1퍼센트 정도만을 기억한다. 수많은 의미정보는 물론, 감각정보까지 기억할 수 있게 하려면 교사는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 연구에 따르면 “관련 주제에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 그리고 해당 사건이나 정보가 극적으로, 정서적으로, 시청각적으로 주는 영향력의 크기에 따라” 기억 여부가 결정된다. - p. 24, ‘1단계 주의끌기’ 중에서
코미디에서 잘 웃기려면 타이밍이 중요한 것처럼, 잘 가르치기 위해서도 타이밍이 중요하다. 교사의 반응이 너무 빠르거나 느리면 학습효과가 기대에 못 미칠 수 있다. 교사가 너무 빠르게 반응하면 학생들은 잘 배우지 못한다. 교사는 기다려야 하는 순간, 침묵해야 하는 순간이 언제인지 알아야 한다. 교사가 침묵함으로써 학생들이 되돌아볼 시간을 갖도록 장려하면 학생들은 학습내용을 장기기억에 저장하기 쉬워진다.
- ‘2단계 되돌아보기’ 중에서
말 그대로 ‘자신만의 언어나 방식으로 재구성하기’는 정보를 해석하는 것, 즉 정보를 하나의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업내용을 필기할 때, 학생들은 교사의 말을 똑같이 따라 쓰기보다는 나름대로 해석해서 자신의 말로 옮겨 적는다. 이러한 해석의 하위범주로는 자기 말로 바꿔쓰기, 명확하게 하기, 다른 형식으로 표현하기가 있다. 그중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것이 자기 말로 바꿔쓰기인데, 수업자료에 제시된 단락 중 하나를 자기만의 표현으로 옮기면서 본래 의미를 최대한 살리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자신만의 언어나 방식으로 재구성하기’란 교사의 설명을 자기 말로 바꿔 표현하는 것이다.
- ‘3단계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구성하기’ 중에서
학생들은 이해를 통해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고, 스스로 통제한다는 느낌을 가진다. 피드백을 포함한 학습상황에는 뇌의 정서적 영역이 관여하는데, 많은 기억 관련 연구자들은 감정이 연계될 때 더욱 강력한 기억이 형성된다고 말한다. 피드백을 빈번하게 주면 학업성취도가 29퍼센트 향상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 ‘4단계 학습강화하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