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88997729869
· 쪽수 : 406쪽
· 출판일 : 2017-06-2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5p
제1부 수 평가하기
개연성 29p
재미있는 대푯값 39p
좌표축 속임수 56p
흥미진진한 수치 보고 방식 76p
수치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116p
확률 144p
제2부 말 평가하기
우리는 어떻게 아는가? 177p
전문성 식별하기 185p
간과되고 경시되는 대안적 설명 215p
허위 지식 236p
제3부 세상 평가하기
과학의 원리 251p
논리적 오류 271p
우리가 무엇을 모르는지 알기 287p
연구실과 법정에서 베이즈식으로 생각하기 293p
4가지 사례 연구 301p
결론 342p
감사의 말 347p
부록 350p
용어 사전 352p
후주 359p
찾아보기 392p
리뷰
책속에서

통계 자료는 숫자이다 보니 우리에게 엄연하고 명백한 사실로 보인다. 그런 자료는 마치 자연적으로 발생한 사실을 나타내는 듯하며, 관건은 그런 자료를 찾아내는 데 있는 듯싶다. 하지만 ‘사람’이 통계를 낸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무엇을 계산할지, 어떻게 계산할지, 계산 결과 중 어떤 수치를 우리에게 말해줄지, 그런 수치를 설명하고 해석하는 데 어떤 말을 사용할지는 사람이 선택한다.통계 자료는 사실이 아니다. 해석이다. 그리고 어쩌면 당신의 해석이 통계 자료를 알려주는 사람의 해석 못지않거나 그보다 나을지도 모른다. (…) 통계치를 분석하는 데 있어 사람들 중 상당수는 그래프에 어떤 수치가 나와 있고 좌표축이 무엇을 나타내며 그래프 전체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살펴보지 않는다.
「제1부 수 평가하기」
대안적 설명은 사이비 과학계와 허위 지식계에서 아주 많이 논의되지만, 진짜 과학계에서도 종종 논의된다. 유럽원자핵공동연구소(CERN)의 물리학자들은 중성미자가 빛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그것은 한 세기나 된 아인슈타인 이론을 뒤집을 만한 발견이었다. 하지만 알고 보니 선형 가속 장치의 케이블 하나가 헐거워져서 측정 오차가 발생한 것일 뿐이었다. 이 사례는 극도로 복잡한 실험에서는 우주의 본성에 대한 기존 지식을 완전히 뒤엎을 만한 어떤 것보다 방법론적 결함이 원인일 가능성이 대체로 더 높다는 점을 강력히 시사한다.
「제2부 말 평가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