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삶의 지혜와 무기가 되는 철학의 ABC

삶의 지혜와 무기가 되는 철학의 ABC

아나톨리 일리치 라키토프 (지은이), 황세연 (엮은이), 김신현 (옮긴이)
중원문화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900원 -5% 0원
630원
20,2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6,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삶의 지혜와 무기가 되는 철학의 ABC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삶의 지혜와 무기가 되는 철학의 ABC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88997759002
· 쪽수 : 466쪽
· 출판일 : 2019-09-15

책 소개

아마존 랭킹 100위 안에 드는 스테디셀러로 보기 드문 철학도서이다. 컴퓨터와 인간, 그리고 인공지능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서 최초로 해답을 제시한 책이다.

목차

■ 엮은이 서문

■ 이 책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 17

서론-철학이란 무엇인가 · 21

● 누가, 그리고 왜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 22

001 현대세계 속에서의 인간 002 ‘그 시대의 정수’ 003 철학과 세계관 004 철학과, 행위와 인식의 일반적 방법론 005 철학과 이데올로기 006 철학의 주요 과제

● 철학이 문제로 삼는 것은 무엇인가? 39

007 철학이 문제로 삼는 것은 무엇인가? 008 철학이 문제로 삼는 첫 번째 측면인 관념론과 유물론 009 유물론자와 관념론자 사이의 대화 010 철학이 문제로 삼는 두 번째 측면 011 세계의 인식 가능성에 관한 대화 012 철학하는 방법 : 변증법과 형이상학의 개념 013 철학의 주제 014 철학에서 말하는 당파성이란 무엇인가?

● 철학의 기원과 발전은 언제부터인가? · 63

015 고대철학 016 동양철학 017 중세철학 018 르네상스기의 철학과 문화 019 부르주아 사회의 철학 020 철학의 사회적 전제조건들 021 변증법의 출현 : 철학의 발전에서의 근본적인 전환 022 철학의 새로운 발전단계

제1부 물질과 의식 · 83

● 물질과 세계란 무엇인가? · 84

101 사고와 범주 102 물질이란 무엇인가? 103 물질에 대한 견해들은 어떻게 발전했는가? 104 현대의 과학적인 세계상 105 세계의 물질적 통일성 106 체계, 구조, 요소 107 필연성과 우연성 108 객관세계의 법칙들

● 운동, 시간, 공간이란 무엇인가? · 108

109 물질과 운동 110 운동과 정지에 관한 대화 111 형식과 내용 112 물질운동의 형태들 113 시간과 공간 114 시간과 공간에 대한 이해에서의 관념론과 유물론의 화해 불가능성 115 시간과 공간에 대한 현대의 과학적 관념들 116 원인과 결과

● 물질의 일반적 성질로서의 반영 · 127

117 ‘IT시대’에서의 철학의 근본문제 118 반영이란 무엇인가 119 무생물계에서의 반영 120 생물계로의 이행과정에서의 반영의 복잡화 121 생명의 진화와 신경계의 기원 122 실재의 능동적 반영과 수동적 반영 123 심리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관념적인 것과 물질적인 것

● 인간의식 · 143

124 정신활동의 물질적 기관으로서의 두뇌 125 의식의 토대로서의 노동 126 언어와 사고 127 물질과 의식의 대립의 상대성에 관하여 128 컴퓨터는 사고할 수 있는가 129 몇 가지 결론. 철학의 종합기능

제2부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 159

● 사회와 역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160

201 사회에 대한 관념론적 이해와 유물론적 이해 202 인간과 활동. 유물론적 역사이해의 전제조건 203 자연사적 과정으로서의 사회의 발전 204 사회의 발전 및 작동의 토대인 생산양식 205 토대와 상부구조 206 계급과 계급투쟁 207 상부구조 체계 속에서의 존재와 사회적 의식 208 상부구조 체계 속에서의 정당 209 상부구조 체계 속에서의 사회조직들 210 사회적 존재와 사회적 의식 211 사적 유물론의 기본법칙과 원리

● 사회구성체란 무엇인가? · 196

212 개별, 특수, 보편 213 사회경제구성체란 무엇인가? 214 사회혁명 215 사회혁명의 구조 216 인류사회의 형성 217 원시공동체 218 노예소유제적, 구성체 219 봉건적 구성체 220 자본주의 구성체 221 공산주의 구성체 222 ‘사회경제구성체’ 범주와 역사적 실재

● 사회적 의식의 기능과 형태 · 223

223 사회적 의식과 사회의 발전 224 사회적 의식의 체계 속에서의 이데올로기 225 사회심리와 일상의식 226 정치의식과 정치 227 법의식과 법 228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서의 도덕성 229 경제의식 230 사회적 의식의 한 형태로서의 종교 231 예술적 의식과 예술 232 개인적 의식과 사회적 의식 233 사회적 의식의 상대적 독립성에 관하여 234 사회주의 하에서의 주체적 요인의 역할의 성장

제3부 자연과 사회 · 259

●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하여 · 260

301 자연과 사회 302 자연과 사회에 관한 대화 303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맑스주의 이전의 견해 304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관한 변증법적 유물론

● 환경. 사회발전에서의 생물학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 272

305 환경의 구조 306 인류의 자연환경 307 인간의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 308 인종과 민족 309 사회발전에서의 인구의 역할 310 인공적 거주지

● 과학기술 시대에서의 자연과 사회 · 293

311 과학기술의 진보 또는 과학기술혁명이란 무엇인가? 312 과학기술 진보와 그 결과 313 생태학적 의식과 이데올로기 투쟁

제4부 변증법의 주요 법칙 · 307

● 발전의 여러 원천 · 308

401 발전의 관념 402 발전의 원천은 무엇인가 403 ‘대립’과 ‘모순’ 범주 404 대립물의 통일과 상호전화 405 대립물의 투쟁과 모순의 해결 406 모순의 여러 형태 407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각종 모순의 해소 408 대립물의 투쟁과 통일

● 발전의 여러 형태 · 335

409 발전의 제형태에 관하여 410 발전과정에서의 연속적인 것과 단절적인 것, 점진적인 것과 급진적인 것에 관한 대화 411 양, 질, 한도 그리고 도약 412 진화와 혁명 413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사이의 변증법적 연관 414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로의 이행 법칙, 그리고 그 역의 법칙 415 사회주의 혁명의 구조에 있어서의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416 사회주의 발전의 현 단계에서의 양과 질의 변증법

● 발전의 방향 · 358

417 발전의 방향에 관한 대화 418 발전의 나선형적 성격 419 변증법적 부정과 연속 420 가능성과 현실성 421 혁명적 상황에서의 가능태와 현실태의 변증법 422 사회적 진보란 무엇인가 423 부정의 부정에 관한 변증법적 법칙

제5부 인식론 377

● 인식의 변증법 · 378

501 인식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502 반영으로서의 인식 503 인식의 제원천에 관한 대화 504 인식에 있어서 감각의 역할 505 인식에서의 추상적 역할 : 추상에서 구체로의 상승 방법 506 관념론의 인식론적 근원 507 진리란 무엇인가 508 인식에 있어서 실천의 역할 509 현상과 본질, 인식의 변증법
● 과학적 인식의 형태 및 방법들 · 408

510 이론과 가설 511 과학적 인식에서 실험과 관찰 512 몇몇 일반적인 과학적 인식방법들 513 과학적 인식에서 모형과 모형화 514 수학의 응용과 현대과학 515 과학과 사회

제6부 인간과 사회 429

● 인간과 사회 · 430

601 인간의 본질과 삶의 의미에 관한 대화 602 자유와 필연 603 사회의 발전과 사회생활에서의 개인 및 대중의 역할 604 사회주의 사회에서의 개인과 대중 605 사회주의적 민주주의와 공산주의적 교육 606 사회경제적 진보의 가속화. 재조직화(페레스트로이카)와 인간적 요인 607 새로운 문명으로의 길 608 평화를 위한 투쟁과 인류의 운명 609 미래에 대한 예측

■ 독자와의 마지막 대화 · 464

저자소개

아나톨리 일리치 라키토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러시아출신으로 금년 5월 90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그리고 러시아 철학자 중 영미권은 물론이고,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철학자이다. 이 책의 원저『철학의 원리』(The principles of philosophy)도 미국의 Imported by Imported Publications에서 1989년에 처음 출판되면서 아마존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유명한 철학서이다. 그 뒤 더욱 여러 나라 언어로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스테디셀러 반열에 올랐다. 현재도 본서는 아마존 랭킹 100위 안에 드는 보기 드문 철학도서이다. 현재까지 13,546,921권이 아마존에서 팔렸다. 또한 이 책보다 먼저 알려진『역사적 지식』(Historical knowledge : A systems­epistemological approach, 1987)이 있는데 이 책만큼 유명세를 타지는 못했다. 그리고 이외에『정보화 기술의 의미』(Informatsionnye Tekhnologii I Obrazovanie, 1996)라는 도서 등이 있다. 라키토프는 특히 인공지능, 또는 컴퓨터와 인간관계에 대하여 많은 부분을 할애하는 철학자로 보인다. 이 책「제3부 자연과 사회」이후부터는 과학기술과 인간의 관계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리고 본서는 서울대학교 미학과 출신 김신현이 처음에 1, 2권으로 나누어 번역한 것을 황세연이 다시 한 권으로 통합하여 엮었음을 밝혀둔다.
펼치기
황세연 (엮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 전북 김제에서 출생. 이리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철학과를 중퇴하였다.「한독 리포트」한국지사장을 역임하고, 현재「도서출판 중원문화」대표로 일하고 있다. 일찍이 민주화운동 중 수차례 구속 및 수감된 바 있으며 지금은 평론가 및 사설 강사로도 활동 중이다. 이 책 외에도『세계철학사(전5권 세트)』(2023년),『변증법이란 무엇인가』(2023년),『걸어 다니는 논술』(2007년) 등의 저서가 있고, 기타 번역서로 『헤겔』(2012년),『헤겔 정신현상학과 논리학 강의』(1984) 등 다수의 철학도서가 있다.
펼치기
김신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미학과 졸업, 같은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지금 복잡하고 급변하는 세계 속에 살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