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워싱턴 룰

워싱턴 룰

(미국은 왜 전쟁을 멈추지 못하는가)

앤드루 바세비치 (지은이), 박인규 (옮긴이)
오월의봄
1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워싱턴 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워싱턴 룰 (미국은 왜 전쟁을 멈추지 못하는가)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방 일반
· ISBN : 9788997889266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3-09-05

책 소개

2차 세계대전 이후 현재까지 미국의 안보 정책은 확고한 초당적 합의에 의해 운영되어 왔으며 해리 트루먼에서 버락 오바마에 이르기까지 모든 미국 대통령이 이 합의에 충성맹세를 했다는 것이다. 그 합의의 요체는 미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유지해야 한다는 믿음이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 6

들어가는 말 · 12

1장 CIA와 SAC, 준전쟁의 전사들 · 35
대통령을 움직이는 세력들|제국의 건설자들|앨런 덜레스: 위대한 백인
담당관|커티스 르메이: 우리는 지금 전쟁 중|새로운 안보국가의 음과 양

2장 냉전 용사들의 환상 · 87
케네디, 워싱턴 룰을 더 강화하다|누가 통제권을 갖는가|냉전 용사들의 치
욕|낭떠러지를 향해|베트남과 케네디의 죽음|베트남전쟁은 왜 일어났나

3장 되살아난 신조 · 151
전쟁을 반대하는 사람들|명예로운 평화|베트남을 망각하다|올브라이트
의 등장과 퇴장

4장 성 삼위일체가 재편성되다 · 199
미군의 세계 주둔은 더 확대됐다|전쟁의 재발명|속도는 최고의 무기|수
렁에 빠진 이라크 원정

5장 여전히 전쟁은 계속됐다 · 245
부시도 오바마도 똑같은 공범일 뿐|워싱턴 룰의 궤도 수정|퍼트레이어스
의 전쟁 교훈|증강, 질문을 지워버리다|반란진압작전 세력의 어젠다|오
바마의 아프가니스탄전쟁|오바마의 현상유지 결정

6장 워싱턴 룰, 누가 이익을 보는가 · 297
워싱턴 룰, 이익 보는 세력들|돌아오라 조국으로|새로운 성 삼위일체|대
중의 책임도 있다|선택을 해야 할 시점

감사의 말 · 334
옮긴이의 말 · 336
미주 · 349

저자소개

앤드루 바세비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7년 미국 일리노이 주 출생. 1969년 미국의 육군사관학교인 웨스트포인트를 졸업한 뒤 23년간 미 육군 장교로 복무했으며 예편 후 프린스턴 대학에서 미국 외교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1998년부터 보스턴 대학에서 미국 외교사와 대외 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스스로 ‘가톨릭 보수파’를 자처하는 바세비치는 2000년대 초까지만 네오콘과 비슷한 입장이었으나 2001년 9·11사태 이후 부시의 이라크 침공을 겪으며 미 안보 정책에 대한 비판적 입장으로 돌아섰다. 많은 비판적 지식인들이 미국의 일방적 군사주의의 원인을 부시나 딕 체니, 도널드 럼스펠드 같은 네오콘 세력으로 지목하였으나, 바세비치는 미국의 시스템 자체가 원인이라고 진단하며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또한 그는 미국의 안보 정책이 19세기 말 이후 줄곧 전 세계에서 미국 기업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정책 목표에 따라 추진되었음을 폭로하기도 하고 현재 미국이 모든 문제를 군사적으로 풀려고 하는 군사주의가 어디서 비롯되었는지,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파헤치며 미국 안보 정책 비판가로서 대중적 명성을 얻게 된다. 그의 저작으로는 《미국 제국: 미국 외교의 실상과 결과American Empire: The Realities & Consequences of U.S. Diplomacy》(2002), 《미국의 새로운 군사주의: 미국은 어떻게 전쟁에 유혹됐나The New American Militarism: How Americans are seduced by War》(2005), 《힘의 한계: 미국 예외주의의 종말The Limits of Power: The End of American Exceptionalism》(2008)가 있으며 《힘의 한계》는 2007년 이라크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그의 외아들에게 헌정되었다.
펼치기
박인규 ()    정보 더보기
서울대 해양학과를 졸업하고 경향신문 생활과학부에서 본격적인 기자 일을 시작했다. 1986년부터 국제부에서 일했으며 1988년 경향신문 초대 노동조합 전임으로 활동했다는 이유로 1989년 12월 강제해직됐다. 6공화국 최초의 언론인 해직이었다. 1990년 5월부터 2년간 기자협회보 편집국장으로?일하다가 1992년 7월 복직해 워싱턴특파원, 매거진X부장, 미디어 팀장 등으로 활동했다. 2001년 9월 독립, 중도, 심층을 지향하는 새 언론을 만들어 한국 언론을 개혁하겠다는?각오로 언론계 선후배들과 함께?인터넷신문 <프레시안>을 출범시켰으며 초대 편집국장을 맡았다. 2003년부터 <프레시안> 대표로 일해왔고, 2013년 6월 <프레시안>이 한국 최초로 언론협동조합으로 전환함에 따라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오늘날 미국인들은 한반도에서 전투가 중단된 지 6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머나먼 동북아시아에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이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사실 미국 국민은 미군이 일본과 몇몇 서유럽 국가들에 한국보다 더 오랜 기간 주둔하고 있다는 사실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대다수 미국인들에게 미군 병사를 해외에 보내는 것은 미국 영화를 수출하는 것만큼이나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것은 그저 미국이 하는 일 중 하나일 뿐이다.


취임 직후 즉각 오바마 대통령과 그의 주요 보좌관들은 이 컨센서스와 여기에서 도출된 네 가지 주장에 충성을 맹세했다. 해리 트루먼 이래 모든 대통령이 이 주장들에 충성을 맹세해왔으며 오바마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첫째, 누군가 세계를 조직해야만(또는 형성해야만) 한다. (…) 둘째, 오직 미국만이 세계 질서를 처방하고 집행할 능력이 있다. (…) 셋째, 미국에게 주어진 임무 중에는 국제 질서를 규정할 원칙들을 정교하게 만드는 것도 포함된다. 그 원칙들은 당연히 미국적 원칙일 수밖에 없으며 이것들은 보편적 타당성을 지닌다. (…) 마지막으로 (국제사회의) 극소수 깡패국가들이나 불평꾼 국가들을 빼놓고는 모든 국가들이 이와 같은 현실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다.


해리 트루먼이 히로시마에 원폭 투하를 결정했다는 것은 가장 명목적인 의미에서만 그럴 뿐이다. 1945년 여름쯤이 되면 원자폭탄을 사용해야 한다는 모멘텀이 너무도 강력해서 누구도 거부할 수 없을 지경이 됐다. 1961년 존 F. 케네디의 (쿠바의 카스트로 제거를 위한) 피그만 침공 결정, 1965년 린든 존슨의 미 지상군 베트남 파병 결정, 그리고 심지어 2003년 조지 W. 부시의 이라크전쟁 결정에 대해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각 경우에서 대통령은 그저 다른 사람들이 이미 결정해놓은 것을 추인했을 뿐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