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97970728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21-05-27
책 소개
목차
발간사 (성백효)
일러두기
《의례》 에 대하여 (楊天宇)
1. 《의례》의 서명
2. 《의례》의 유래와 공자의 《예》 編定
3. 《의례》의 漢代에서의 流傳과 鄭玄의 《의례》 注
4. 《의례》의 편차에 대하여
5. 《의례》는 士禮가 아니다
6. 漢代 이후의 《의례》學
7. 《의례》의 오늘날에 있어서의 의의
사관례士冠禮
一. 冠禮前
1. 관례일을 점침(筮日)
2. 賓에게 관례일을 알림(戒賓)
3. 賓을 점치고(筮賓), 빈과 贊者에게 거듭 청함(宿賓ㆍ宿贊冠者. 2일전)
4. 관례 시간을 정함(爲期. 1일전)
二. 冠禮當日
5. 의복과 기물의 진열(陳器服)
6. 자리에 나아감(卽位)
7. 賓을 맞이함(迎賓)
8. 첫 번째 관을 씌워줌(始加)
9. 두 번째 관을 씌워줌(再加)
10. 세 번째 관을 씌워줌(三加)
11. 冠者에게 醴酒를 써서 醮禮를 베풂(醴冠者)
12. 어머니를 알현함(見母)
13. 冠者에게 字를 지어줌(字冠者)
14. 賓이 묘문 밖의 次에 나아감(賓出就次)
15. 형제, 고모, 손윗누이를 알현함(見兄弟ㆍ姑姊)
16. 군주, 경대부, 鄕先生을 알현함(見君ㆍ卿大夫ㆍ鄕先生)
17. 賓에게 醴禮를 베풂
18. 賓을 전송하고 俎를 보내줌
三. 變例 및 賓主 致辭
19. 冠者에게 淸酒를 써서 醮禮를 베푸는 경우(醮禮)
20. 醮禮에 희생을 쓰는 경우
21. 孤子의 관례
22. 庶子의 관례
23. 어머니가 부재중일 경우
24. 賓에게 참여해주기를 청하는 말
25. 賓에게 참여해주기를 재차 청하는 말
26. 첫 번째 冠을 씌워줄 때의 축사(始加祝辭)
27. 두 번째 冠을 씌워줄 때의 축사(再加祝辭)
28. 세 번째 冠을 씌워줄 때의 축사(三加祝辭)
29. 醴酒를 사용하여 醮禮를 행할 때 내려주는 말(醴辭)
30. 청주를 사용하여 첫 번째 醮禮를 행할 때 내려주는 말(初醮辭)
31. 청주를 사용하여 두 번째 醮禮를 행할 때 내려주는 말(再醮辭)
32. 청주를 사용하여 세 번째 醮禮를 행할 때 내려주는 말(三醮辭)
33. 字를 내려줄 때 하는 말(字辭)
34. 관례 때 신는 신발(冠屨)
四. 記
35. 緇布冠의 의미
36. 適子의 관례의 의미
37. 세 차례 冠을 씌워주고 字를 지어주는 의미
38. 夏ㆍ殷ㆍ周 三代의 冠制
39. 대부 이상의 관례
40. 고금의 시호 제도
사혼례士昏禮
一. 昏禮前
1. 채택의 예를 보냄(納采)
2. 신부의 성씨를 물음(問名)
3. 賓에게 醴禮를 베풂(醴賓)
4. 점친 결과를 들임(納吉)
5. 성혼의 예물을 들임(納徵)
6. 혼인날을 청함(請期)
二. 昏禮當日
7. 기물과 음식을 진설함(陳器饌)
8. 신부를 맞이함(親迎)
9. 신부가 신랑의 집에 와서 同牢의 예를 이룸(婦至同牢)
10. 시부모를 알현함(婦見舅姑)
11. 신부에게 醴禮를 베풀고(贊醴婦) 신부집에 포를 보냄(歸脯)
12. 시부모에게 식사를 올리고(婦饋) 대궁을 먹음(餕)
13. 신부에게 연향을 베풀고(饗婦) 신부집에 俎를 보냄(歸俎)
14. 신부를 호종해온 사람들에게 연향을 베풂(饗送者)
15. 시부모가 계시지 않을 경우 禰廟에 알현함(三月奠菜)
三. 記
16. 六禮의 거행 시간, 주인과 賓이 주고받는 말, 六禮에 쓰는 예물과 희생
17. 혼인을 허락한 뒤 행하는 笄禮
18. 問名 때 기러기를 받는 예
19. 醴酒를 고수레하는 법과 賓이 포를 취하는 법
20. 納徵 때 예물로 들고 간 사슴 가죽을 잡는 법과 주고받는 예
21. 친영하는 날 부모가 딸에게 醴禮를 베풀고 당부하는 예
22. 친영 때 신부가 수레에 오르는 법
23. 신부가 신랑 집의 寢門에 들어간 뒤 贊者가 玄酒를 단지에 붓는 예
24. 婦見舅姑, 醴婦, 饗婦에 관련된 예
25. 며느리가 제사에 참여하는 시기
26. 庶婦가 시부모를 알현하는 예
27. 納采 때 오가는 말
28. 問名 때 오가는 말
29. 問名 후 使者에게 醴禮에 참석해줄 것을 청하는 말
30. 納吉 때 오가는 말
31. 納徵 때 오가는 말
32. 請期 때 오가는 말
33. 신랑의 使者가 돌아가 복명하는 말
34. 아버지가 아들에게 醮禮를 베풀어줄 때 하는 말
35. 신랑이 親迎 가서 하는 말
36. 부모가 시집가는 딸을 전송할 때 하는 말
37. 신부의 姆가 신랑의 綏를 사양하는 말
38. 신랑의 使者에게 명을 내리는 사람
39. 親迎하지 않았을 경우 신랑이 신부의 부모를 알현하는 예
• 참고문헌
• 부록
1. 내용 분석표
2. 주요범례
3. 淩廷堪의 《禮經釋例》
4-1. 張惠言의 《儀禮圖》 卷1 〈宮室〉
4-2. 張惠言의 《儀禮圖》 卷2 〈士冠禮〉
4-3. 張惠言의 《儀禮圖》 卷2 〈士昏禮〉
5-1. 黃以周의 《儀禮圖》 卷48 〈禮節圖一 冠〉
5-2. 黃以周의 《儀禮圖》 卷48 〈禮節圖一 昏〉
6. 용어색인
번역자 후기
이 책을 번역하고 엮은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