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예기정의 譯註 禮記正義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69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12-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69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예학은 ≪예기정의≫에 근거하여 크게 발전하고, 송나라 주희 및 제자들의 기록인 ≪예기집설대전≫과 함께 동아시아 정신문화의 기틀이 되었다. 우리나라는 주자학의 영향으로 ≪예기집설대전≫을 주목하였으나, 이를 편찬한 원元나라 진호가 대전을 구성하며 활용한 자료가 ≪예기정의≫인 점에서 원류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東洋古典現代化와 十三經注疏 譯註
凡 例 / 5
禮記註疏 제5권
제2편 曲禮 上 / 11
禮記註疏 제6권
제3편 曲禮 下 / 155
[附 錄]
1.≪禮記正義≫에 인용된 주요 注釋家 / 287
2.≪禮記正義 3≫ 參考書目 / 289
3.≪禮記正義 3≫ 參考圖版 目錄 / 292
4.≪禮記正義≫ 總目次(QR코드) / 293
5.≪禮記正義≫ 解 題(QR코드) / 293
저자소개
책속에서
걸어갈 때의 몸가짐
천자天子는 위의가 많은 모습으로 걷고, 제후諸侯는 장엄하고 성대한 모습으로 걷고, 대부大夫는 천천히 절도 있게 걷고, 사士는 몸을 펴고서 서둘러 걷지 않고, 서인庶人은 빠른 걸음으로 걷는다.
- 제5권 <곡례 하曲禮 下> 중에서
신하의 도리
신하 된 자의 예는 군주의 잘못을 드러내어 간하지 않으니, <의리로 만난 관계이므로> 세 번 간하여도 <군주가> 듣지 않으면 떠난다.
- 제5권 <곡례 하曲禮 下> 중에서
부모상을 치르는 자식의 예禮
부모가 처음 죽었을 때는 몹시 애통해하여 모든 것이 끝난 듯이 하며, 빈殯을 하고 나서는 눈을 들어 이리저리 보아 찾아도 찾지 못하는 듯이 하며, 장례하고 나서는 황황해하여 다시 살아오시기를 바라도 오시지 않는 것처럼 하고, 소상小祥을 지내고서는 세월의 빠름을 서글퍼하며, 대상大祥을 지내고서는 쓸쓸해 한다.
- 제6권 <단궁 상檀弓 上> 중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