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역주 예기정의 譯註 禮記正義 2

역주 예기정의 譯註 禮記正義 2

정현, 공영달 (지은이), 이상아, 조준호 (옮긴이), 성백효
전통문화연구회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1,350원
25,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역주 예기정의 譯註 禮記正義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역주 예기정의 譯註 禮記正義 2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9791157945474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22-12-30

책 소개

예가 ≪예기禮記≫라는 책으로 정리되어 전하게 된 유래는 명확하지 않다. 공자孔子와 그 제자, 후학들이 300년 동안 기록하여 전하다가, 전한前漢의 대성戴聖이 49편으로 정리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 5

禮記註疏 제3권
제1편 曲禮 上 / 11

禮記註疏 제4권
제2편 曲禮 下 / 136

[附 錄]
1.≪禮記正義≫에 인용된 주요 注釋家 / 271
2.≪禮記正義 2≫ 參考書目 / 273
3.≪禮記正義 2≫ 參考圖版 目錄 / 276
4.≪禮記正義≫ 總目次(QR코드) / 278
5.≪禮記正義≫ 解 題(QR코드) / 278

저자소개

정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27년(후한 순제順帝 2)에 태어나 200년(후한 헌제獻帝 12)에 별세하였다. 자는 강성康成이고 북해 고밀현高密縣(현재 산동성 고밀高密시) 출신이다. 『후한서』 「정현전」에 따르면, 젊어서 향색부鄕嗇夫의 일을 하다가 태학에 들어가 제오원선第五元先에게 『경씨역京氏易』, 『공양춘추公羊春秋』, 『삼통력三統歷』, 『구장산술九章算術』을 공부하였고, 장공조張恭祖에게 『고문상서古文尙書』, 『주례周禮』,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배웠다. 정현이 산동 집으로 돌아갈 때 마융은 “나의 도가 동쪽으로 가는구나!”라고 탄식하였다고 한다. 귀향한 뒤에 소작을 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쳤는데 천 명이 넘었다. 당고黨錮의 화禍가 발생하자, 정현도 금고禁錮를 당하여 두문불출하고 저술에 몰두하였다. 정현은 고문경학을 위주로 금문경학의 설을 함께 채택하여 『주역』, 『모시毛詩』, 『의례』, 『주례』, 『예기』, 『논어』, 『효경』 등을 주석하였고, 「건상력乾象歷」, 「천문칠정론天文七政論」, 「상서대전尙書大傳」, 「상서중후尙書中侯」, 「노례체협의魯禮禘袷義」, 「육예론六藝論」, 「모시보毛詩譜」, 「박허신오경이의駁許慎五經異義」, 「답임효존주례난答臨孝存周禮難」 등을 지었다. 정현의 주석은 제도와 명물의 훈고가 간명하면서도 상세하고, 고문경학과 금문경학을 종합하여 한대 경학을 집대성하였다. 당 태종은 정현을 22명의 “선사先師”의 반열에 올리고 공자묘孔子廟에 배향하였다. 송대에 이르러 고밀백高密伯에 추봉追封되었다. 정현이 『주례』, 『의례』와 『예기』에 대하여 주석을 가하면서 “삼례三禮”라는 명칭이 생겼다. 오늘날 전하는 『의례』는 정현이 정한 본이다. 『예기』는 대성이 찬집한 이후 유향劉向(기원전77~기원전6)의 『별록別祿』본을 비롯하여 여러 본이 존재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현은 노식盧植과 마융馬融의 본을 활용하여 여러 이본을 참고하면서 정본을 편성하였고, 정현본이 오늘날까지 기준본이 되었다. 정현의 저작은 『모시전毛詩箋』, 『주례주周禮注』, 『의례주儀禮注』, 『예기주禮記注』 등만 전하고 나머지는 산일되었다. 마국한馬國翰(1794~1857)의 『옥함산방집일서玉函山房輯逸書』에 일부가 전하고, 돈황燉煌에서 『논어주』 사본 일부가 발굴되어 복원되었다.
펼치기
이상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상임연구부 졸업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석사과정 졸업(문학석사) 성균관대학교 한문고전번역 박사과정 졸업(문학박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수석연구원(현) 논문 및 역서 논문 <茶山 丁若鏞의 ≪家禮酌儀≫ 譯註> <茶山 丁若鏞의 ≪祭禮考定≫ 譯註> 역서 ≪無名子集7, 8,15,16≫ 공역 ≪記言1≫ ≪日省錄≫(영조,정조) ≪校勘學槪論≫ ≪注釋學槪論 1, 2≫ ≪사고전서이해의 첫걸음≫ ≪譯註 禮記正義≫ ≪譯註 禮記集說大全≫ 등
펼치기
조준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 한림원 수료 성균관대 한문고전번역협동과정 박사 졸업 한국고전번역원 연구원(現) 論文 및 譯書 論著 <≪東儒四書解集評≫의 寫本과 그 가치> <柳健休 ≪東儒論語解集評≫의 硏究 및 譯註> 譯書 ≪大學衍義≫1~5, ≪校勘學槪論≫, ≪注釋學槪論 1~2≫, ≪사고전서 이해의 첫걸음≫
펼치기
성백효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5월 22일 충남(忠南) 예산(禮山) 출생. 아명(兒名)이자 자는 동영(東英), 호는 한송(寒松), 본관은 창녕(昌寧).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 수학.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 사사.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 수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실 전문위원,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사전편찬원,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군사연구소) 책임편찬원. 국방부 공로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고전번역상 수상.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교수, 한국국학진흥원 고전국역자 양성과정 강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경희대학교 겸임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및 사범대학 국사교육과 한문 지도(약 15년).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문화재 전문위원, 서울시청 쓴소리단 위원.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 현)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유원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고문, 김해 월봉서원 원장.
펼치기

책속에서

사신使臣의 도리
무릇 군주를 위하여 사신으로 가는 자는 이미 군주의 명을 받은 뒤에는 군주의 말씀을 자기 집에서 하룻밤이라도 묵혀서는 안 된다.
- 제3권 <곡례 상曲禮 上> 중에서


군자君子의 정의
견문이 넓고 기억을 잘하면서도 겸양하며, 선행을 돈독히 실천하면서도 게을리하지 않는 사람을 ‘군자君子’라 이른다.
- 제3권 <곡례 상曲禮 上> 중에서


거상居喪하는 예
거상居喪하는 예는, 수척해지더라도 뼈가 드러날 정도로 하지 않으며, 시력과 청력이 쇠하지 않게 하며, 오르내릴 때 부모가 생전에 오르내렸던 동쪽 계단을 사용하지 않으며, 나가고 들어올 때 문 중앙의 길을 사용하지 않는다.
- 제3권 <곡례 상曲禮 上>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