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환경/생태문제 > 환경실태보고
· ISBN : 9788998277000
· 쪽수 : 153쪽
· 출판일 : 2013-06-13
책 소개
목차
1장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질문1 - 3·11 일본 대지진 때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나요? 12
질문2 - 지진 다음날 1호기에서 왜 폭발이 일어났나요? 14
질문3 - 멜트다운(melt-down)은 어떤 상태를 말하는 겁니까? 16
질문4 - 1호기가 멜트쓰루(melt-through) 되었다는데 그건 어떤 상태인가요? 18
질문5 - 그렇다면 멜트쓰루 된 핵연료는 어떻게 되는 겁니까? 20
질문6 - 마지막에는 체르노빌처럼 석관을 만드는 수밖에 없나요? 22
질문7 - 일본 전체가 걱정해야 할 정도로 사고 영향이 큰가요? 24
질문8 -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는‘ 7단계’라고 하는데, 어느 정도가 7단계인가요? 26
질문9 - 이번 지진은 ‘예상외’였다고 하는데, 지진 대책이 있기는 있었나요? 28
질문10 - 4월에 도쿄전력이 오염수를 바다로 내보냈는데, 이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은 없었나요? 30
질문11 - 방사능 피해를 체르노빌과 비교하면 어느 정도인가요? 32
질문12 - 대기로 방출된 방사능의 양은 얼마나 됩니까? 34
질문13 - 후쿠시마 제1핵발전소 사고로 어떤 방사능이 방출되었나요? 36
질문14 - 정부와 도쿄전력은 자꾸 발표내용을 바꾸는데, 사실을 제대로 발표하고 있을까요? 40
질문15 - 지진 직후부터 멜트다운이 일어난 것을 도쿄전력은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요? 42
질문16 - 정부는 공정표에서 ‘원자로의 안정적 냉각’을 달성했다고 말하는데 정말인가요? 44
질문17 -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부족하지 않나요? 앞으로 작업할 사람이 있을까요? 46
질문18 - 오염이 심한 환경에서 사람이 일하고 있는데, 로봇을 더 쓸 수 없나요? 48
질문19 - 종이로 된 방호복을 입고 일한다고 하던데, 종이로 괜찮을까요? 49
질문20 - 원자로의 오염수를 정화하면 깨끗한 물이 되나요? 50
질문21 - 어떤 상태가 되면 수습되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52
2장 방사능오염과 어떻게 싸우는가?
질문22 - 대량 피폭을 당하면 어떻게 되나요? 56
질문23 - 피폭이 왜 위험합니까? 엑스레이와 비교해서는 얼마나 위험한가요? 58
질문24 - 피폭량이 적으면 괜찮지 않을까요? 60
질문25 - 왜 연간피폭량 기준이 자꾸 바뀌나요? 62
질문26 - 피폭되었는지 검사할 수 있나요? 코피가 나는 아이들이 있다고 들었는데, 혹시 피폭된 건가요? 64
질문27 - 후쿠시마에서 피난지역 바깥에 사는데, 불안해서 피난갈까 합니다. 후쿠시마에서 얼마나 떨어지면 안전한가요? 67
질문28 - 체르노빌에서 피폭된 사람들 중 죽은 사람은 얼마나 되나요? 70
질문29 - 오염수를 바다로 내보냈는데 바다는 어떻게 되나요?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정화하지요? 72
질문30 - 도쿄 하수처리시설에서 시간당 2.7마이크로시버트라는 높은 방사선량이 검출된 이유가 무엇입니까? 74
질문31 - 경계구역에 일시 귀가가 허락되었는데, 피폭되지 않을까요? 77
질문32 - 아이들은 방사선에 약하다고 하는데 왜 그런가요? 78
질문33 - 이미 피폭당한 것으로 판명된 아이가 있나요? 80
질문34 - 문부과학성은 시간당 피폭한도를 3.8마이크로시버트로 결정했는데, 아이들한테도 괜찮은 건가요? 82
질문35 - 피난구역 밖에 살고 있는데 아이들을 피난시키는 것이 좋을까요? 84
질문36 - 아이가 비를 맞았다면 어떻게 해 줘야 하나요? 눈을 가지고 놀아도 되나요? 86
질문37 - 외출할 때 마스크를 쓰는 게 좋을까요? 일상생활에서 조심해야 할 것을 가르쳐 주세요. 88
질문38 - 파도타기가 취미인데요, 후쿠시마가 아니라면 바다에 들어가도 괜찮나요? 90
질문39 - 가게에 진열된 채소는 안전할까요? 후쿠시마산 소고기에서 방사성물질이 나와 어떤 식품도 믿을 수가 없습니다. 92
질문40 - 체르노빌 사고 때 수입파스타가 문제가 됐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일본 가공식품은 안전한가요? 94
질문41 - 생선은 내장과 뼈를 제거하면 괜찮을까요? 96
질문42 - 시즈오카의 녹차에서 방사성물질이 검출되었습니다. 무농약재배였다고 들었는데 왜 그런가요? 98
질문43 - 채소는 잘 씻으라고 하는데, 씻으면 방사성물질이 빠집니까? 삶으면 더 뺄 수 있을까요? 100
질문44 - 수돗물 오염이 걱정이에요. 필터나 정수기로 방사성물질을 거를 수는 없나요? 102
질문45 - 오염된 운동장의 흙을 떼어내고 있는데, 그러면 방사선으로부터 아이들을 지킬 수 있나요? 104
질문46 - 떼어낸 학교운동장의 흙과 방사성물질이 검출된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106
질문47 - 앞으로도 오염된 농산물이나 해산물이 나올 텐데, 그것들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108
질문48 - 관서지역에 살고 있는데, 방사능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요? 111
질문49 - 계획적 피난구역에 남아 있는 사람들도 적지 않던데, 그 사람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112
질문50 - 후쿠시마 내 피난지역으로 지정된 곳에서 농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요? 114
질문51 - 피난민들은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요? 117
3장 핵발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질문52 - 하마오카 핵발전소는 위험하다고 안전성을 확보할 때까지 가동을 않기로 했는데, 안전성은 어떻게 확보할 수 있나요? 120
질문53 - 겐카이 핵발전소는 지자체가 일단 재가동을 허가했다가 정부가 내성평가를 도입하기로 하면서 허가를 철회했는데… 122
질문54 - 고속증식로 ‘몬주’에서 사고가 일어나면 어떻게 되나요? 124
질문55 - 일본은 피폭국인데도 왜 지금까지 핵발전소를 추진해 왔을까요? 126
질문56 - 도쿄전력이 운영하는 핵발전소가 왜 후쿠시마에 있습니까? 130
질문57 - “핵발전소는 CO2를 배출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진짜예요? 132
질문58 - 핵발전은 비용이 싸다는 것이 진짜예요? 134
질문59 - 여름에는 전력이 부족하다고 해서 절전이 시행되기도 했는데, 핵발전소가 없으면 정말로 전력이 부족한가요? 137
질문60 - 핵발전소를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자연을 이용한 발전으로 바꾸는 것은 어떻습니까? 139
질문61 - 원자로를 모두 정지시키면 안전을 되찾을 수 있습니까, 사용후핵연료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143
질문62 - 사용후핵연료가 저장수조에 차 있다고 들었는데 괜찮을까요? 145
질문63 - 후쿠시마 사고를 보고 우리 지역 핵발전소를 멈추게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하면 핵발전소를 멈출 수 있을까요? 147
질문64 - 이전과는 다른 세계에서 살아갈 각오를 하라고 말씀하고 계신데, 무슨 뜻인가요? 149
마치며 151
옮긴이 후기 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