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98408268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0-03-21
책 소개
목차
서문 … 5
Ⅰ. 머리말: 왜 가족주의인가? … 13
1. 한국사회 역동성의 동력, 가족주의 … 15
2. 가족주의의 그늘 … 20
3. 가족주의를 이해해야 할 필요성 … 25
Ⅱ. 가족과 가족주의의 개념, 이론 및 접근방법 … 27
1. 가족, 가족주의의 개념 … 29
(1) 가족이란 무엇인가? … 29
(2) 가족주의란 무엇인가? … 37
2. 가족주의 강화의 메커니즘 … 50
Ⅲ. 한국 근대 가족과 가족주의의 형성 … 67
1. ‘근대 가족’의 탄생 … 69
(1) 한국 ‘전통사회’의 가족과 가족관계 … 69
(2) 한국 가족의 변화, ‘전통’의 ‘현대’적 변형과 재탄생 … 82
2. 가족주의 강화 (1): 식민지적 근대, 분단, 전쟁과 보호적 가족주의 … 102
(1) (씨족/친족) ‘가족’ 거부와 탈출(exit) … 102
(2) ‘가족’ 회귀: 보호와 지위추구의 그릇으로서 가족 … 117
3. 가족주의 강화 (2): 인정투쟁으로서 가족주의 … 139
4. 가족주의 강화 (3): 제도적 가족주의(familialism) … 150
Ⅳ. 한국 가족주의의 표출 양상과 역동성 … 161
1. 가족지위 상승 전략의 입시열 … 163
2. 기복(祈福) 신앙… 181
3. 소유권 절대주의와 재산 지위 세습 … 192
4. 기업가족주의 … 204
Ⅴ. 한국 가족주의의 특징: 비교론적 관점에서 … 211
1. 한국의 가족, 개인, 그리고 공공성 … 213
(1) 개인의 탄생? ‘가족 개인’으로서 한국인 … 213
(2) 전통가족주의와 현대가족주의 … 218
(3) 한국 가족주의의 앙면성: 공공성 부재와 역동성의 기반 … 223
2. 동아시아와 한국의 가족주의 … 229
3. 가족주의는 한국과 동아시아만의 특수한 현상인가? … 246
Ⅵ. 맺음말 … 255
1. 근현대 한국 가족주의 강화의 메커니즘 … 257
2. ‘가족’의 해체, 가족주의의 해체? … 267
3. 가족주의를 넘어서 … 274
참고 문헌 … 283
찾아보기 … 299
저자소개
책속에서
필자는 한국 가족주의를 ‘보호적 가족주의’와 ‘지위유지(상승)적 가족주의’로 구분하였다. 가족주의는 상속을 통한 지위유지, 자녀 교육을 통한 지위 상승의 받침, 지렛대이자 생존의 단위로서 가족에 엄청난 열정과 기대를 쏟는 행동이며, 근대 이전에 차별받던 여성과 상민(常民) 층의 ‘인정투쟁’이기도 했다는 점을 발견했다. 즉 한국의 근대는 서구와 달리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개인’, 독자적 의무와 책임을 한 몸에 지닌 ‘개인’의 탄생사가 아니라, 가족이라는 유기적 단위 속의 개인, 즉 ‘가족 개인’의 탄생사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가족주의를 통해 우리는 한국 근대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볼 수 있다.
한국의 현대 가족주의 혹은 신가족주의는 유교적 가부장주의 혈연적 가족 관념이 일제 강점기 이후 근대국가의 수립,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확산 과정에서 새롭게 구축된 것이다. 동아시아 근대화 과정의 특수성, 제국주의에 의한 식민지화와 전쟁, 개발독재, 급속한 도시화와 압축 산업화 등이 보호 방어, 재생산의 단위로서 가족적 유대나 응집이 필요했고, 지위의 유지와 상승을 위해 가족 동원을 객관적으로 요청했기 때문에 한국에서 근대라는 시기는 개인을 탄생시킨 것이 아니라 ‘가족 개인’을 탄생시켰다. 이 ‘가족 개인’은 계급, 직업집단 결속 등의 사회적 응집을 대신해 나타난 것이었다.
수년 전에 개봉하여 크게 히트한 영화 「국제시장」(윤제균 감독, 2014)은 가족 이야기로 많은 한국 사람의 눈물을 자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