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중세사
· ISBN : 9788998746124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5-09-21
책 소개
목차
저자의 말 - 서민들이 살아간 풍경, 뒷골목의 문화사
프롤로그 - 중세를 이해하는 첫걸음, 길거리의 장사꾼 이야기
◆1. 길거리의 장사꾼, 아우스루퍼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기록에 존재|직업군만 4000개 이상|유럽 문화사의 일부를 차지
◆2. 이동 변소가 왔어요
길거리에서 볼일을 보다|서양 변소의 역사|
오물과 악취로 뒤덮인 거리|귀족의 변소| 손님을 찾아가는 이동 변소
◆3. 특정 시간에만 물건을 파는 장사꾼
밤거리의 과자 장수|새벽의 우유 장수|화주를 파는 남녀들|커피 팝니다|굴 사시오|
목욕사의 종들이 거리에|환등 장수와 초 장수가 거리에 나타나다
◆4. 길거리에서 음식 파는 사람들
과일과 채소 사세요|와인 한 잔에 1수|우리들의 청어 팝니다|
물이 왔습니다, 물|향신료로 많은 돈 벌어|살찐 오리 팔아요
◆5. 잡화를 팝니다
잡동사니 파는 행상인|헌 옷 왔어요, 헌 신발 왔어요|유행의 최전선, 가발|화덕과 땔감, 성냥팔이|
솔 왔어요, 솔|털 장수|우산 팝니다|먼지 터는 빗자루 팔아요|고무줄 사시오|
예뻐지고 싶은 여인들은 장미물을 사세요|목청 큰 유리그릇 장수|바구니와 양탄자 장수
◆6. 소금과 후추 전쟁
소금의 역사|소금길|소금 무역으로 유럽의 패권을 차지하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소금 전쟁|청어 절임|부자의 상징 후추
◆7. 넝마주이와 고물상
거리의 쓰레기통은 넝마주이의 보물창고|고물상|잡동사니와 고철 수집가
◆8. 거리의 매스컴, 공문을 전달하는 사람들
밤거리를 지키는 야경꾼 |부고를 거리에서 알리는 사람 |거리의 책장수
◆9. 기타 장사꾼들
소음의 도시 파리 |일일 노동자와 거지 |땜장이 |구두닦이 |굴뚝청소부 |
새 모이 파는 사람 |암표상 |의자 빌려주는 사람 |기타 잡화상
◆10. 동물과 관련된 장사꾼
페스트의 주범 쥐|곰 |코끼리|진기한 동물들|동물과 인간을 거세해 주는 사람
◆11. 런던의 길거리 장사꾼
문학과 그림에 남아 있는 런던의 장사꾼|해산물을 좋아한 런던 시민들
◆12. 독어권 및 다른 유럽의 길거리 풍경
마르크트슈라이어|그림 파는 사람|치즈 파는 사람| 칼 가는 사람|바구니에 물건을 담아 파는 행상인|
재단사|우체부|생선 파는 여인|가난을 관찰하는 사람|조각품을 팔러 다니는 사람|신발 닦는 사람|
헌책 장수|채소 파는 여인|유모|식초에 절인 오이 파는 남자|심부름 해주는 사람|담배 파는 사람|
베를린의 요리사|빨래하는 여인|오물 버리는 여인|안경과 우유, 엉겅퀴를 파는 사람|
취리히의 잡동사니를 파는 사람|배와 석탄을 파는 장사꾼|소시지 파는 사람|고물 줍는 여인|
이쑤시개 파는 여인|월계수 잎과 나무 시계 파는 사람|이야기 나누는 여인들|
그림과 노래 파는 사람|코펜하겐의 생선 장수|버터 통 장수|사랑의 편지를 팝니다|
양파 장수|잡화를 파는 사람|노래하는 새 사세요|유리 트럼펫 파는 사람|다용도 끈 사세요 |
살찐 오리 팔아요|죽음을 알리는 여인|성냥팔이 소년|거리에서 연주하는 사람|땜장이|
복권 파는 사람|개털 깎는 사람|빗자루 장수|과일과 꿀 파는 여인|레몬주스 팔아요|
물장수|함부르크의 생선 장수|함부르크의 뱀장어 장수|빈의 신발 장수|빈의 우유 장수
◆에필로그 - 과거는 미래를 보는 창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특별한 대중매체가 없던 당시를 떠올려 보면 경찰을 대신해 부고를 전하고 공지를 전달하는 사람들이 라디오나 TV 역할을 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문화사가들은 당시 거리에서 공지를 전달하러 다니는 이들을 오늘날로 치면 ‘거리의 선전가’라고 평하고 있다. 당시는 교육 수준이 낮아서 글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고 대중매체도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거리의 선전가’들은 제 역할을 톡톡히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동 변소’는 오늘날로 치면 간이 변소와 비슷하다. 오늘날의 간이 변소가 돈 내고 들어가 스스로 용변을 해결하고 나오는 곳이라면, 중세의 그곳은 사람이 직접 대소변 통을 들고 다녔다는 차이가 있다. ‘이동 변소’ 장사꾼들은 커다란 통을 끌고 다니며 갑자기 용변을 볼 손님을 찾아다녔다. 마스크를 낀 이 여인들은 뚜껑이 달린 통 두 개를 어깨에 걸치고 그 위에 커다란 망토를 걸치고 다녔는데, 손님이 오면 이 망토로 용변을 보는 손님을 가려주었다.
헌 옷 장수들은 왕족이나 귀족이 입다 버린 화려한 옷들을 사서 다시 수선해 팔았다. 헌 옷 장수들은 깨끗한 옷보다는 얼룩이 묻었거나 찢어진 부분, 혹은 땟자국이나 불에 탄 자국이 있는 옷들을 더 선호했다. 일부러 이런 옷을 구입한 뒤 멋지게 수선하여 새로운 옷을 내놓을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재주와 감각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헌 옷을 사고파는 일에서 파리의 유행이 시작되었다고 말하는 학자들도 있다. 이들이 헌 옷을 감쪽같이 새 옷과 비슷하게, 때로는 더 뛰어나게 수선해 판다고 소문이 나자 일부러 헌 옷을 찾는 사람들도 등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