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12037107
· 쪽수 : 912쪽
· 출판일 : 2025-08-06
목차
차 례
머리말 v
차례 vii
여 는 장 1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
2. 연구의 기본 명제?가설 3
3. 연구의 과제 4
4. 연구 방법 8
(1) 통섭적?융합적 연구 방법 8
(2) 선행연구와 국가이론의 가능성과 한계 9
(3) 인공지능 시대의 역사학, 사회과학 그리고 융합학문 10
제 I 부 한국근대국가의 국가이론적 접근 18
제 1 장 국가개념?국가위기?국가변동의 관계 18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18
(1) 한국근대국가에 대한 기존 학문과 접근들의 평가 종합 18
(2) 기존 학문 연구의 한계와 극복 19
(3) 융합?통섭?종합학문으로서의 국가학과 국가이론 19
(4) 역사 주체로서의 7가지 수준의 국가 개념 변수 21
2. 상위맥락으로서의 국가 22
(1) '나라'로서의 국가 22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25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 26
3. 중간맥락으로서의 국가 27
(1)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 27
(2)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28
(3)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 30
4. 하위맥락 구성부문으로서의 국가 32
(1)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리트'로서의 국가 32
5. 3차원과 7가지 개념 변수 수준의 종합 34
6. 국가와 세계체제 위기?사회계급 위기?국가위기 37
7.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일반이론: 46
8. 저자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62
9.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화 72
10. 행정과 행정의 변화 82
11. 정책과 정책의 변화 86
제 2 장 한국 근대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ㆍ통합적 방법 89
1. 한국 근대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ㆍ통합적 방법 89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 89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92
(3)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접근방법 94
(4) 국가, 국가위기, 국가변동, 및 국가능력의 상호관계 비교 개괄 98
2. 이 책의 분석틀 98
(1) 이 책의 거시적 분석틀 99
(2) [분석틀Ⅰ]: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분석 99
(3) [분석틀II]: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간 상호관계 분석틀 100
(4) [분석틀III]: 국가?위기?변동?성격변화?행정?정책의 분석틀 100
(5) [분석틀IV]: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의 상호활동 분석틀 101
(6) [분석틀 V] 세계체제와 사회계급 중심의 국가 유형 분석틀 101
3. 조선의 기?승?전?결 시대구분 102
(1) 조선의 시대구분 102
(2) 저자의 조선 시기구분의 기준과 기?승?전?결의 네 시기 109
4. 한국 근대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에 대한 가설검증 110
5. ChatGPT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117
6. Gemini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132
7. deepseek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146
제 II 부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162
제 3 장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 162
1. 사회계급세력의 변동이 조선 건국에 미친 영향 162
2. 고려말 신진사대부세력의 성장과 분화 185
3. 고려말 보수파 최영과 개혁파 이성계의 대결 195
4. 이상주의자의 요동정벌과 현실주의자의 위화도 회군 197
(1) 이상주의자 최영의 고구려 계승주의와 요동정벌 북진 정책 197
(2) 현실주의자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추진 198
(3) 이성계와 최영의 요동정벌 과정의 권력 다툼 200
5. 조선건국의 기반 조성 201
(1) 성리학 원리와 폐가입진론 201
(2) 유학?성리학 원리와 역성혁명론 201
(3) 전제개혁 203
6. 조선 건국 204
(1) 조선의 건국세력 204
(2) 조선 건국의 주역 정도전과 성리학 국가 건국 206
(3)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의 계승 207
7. 조선조 양반사회와 양반관료국가의 형성 207
(1) 조선조 양반사회의 성립 207
(2) 귀족관료국가에서 양반관료국가로의 전환 210
(3) 전제개혁과 양반의 토지소유형태 214
8. 조선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역대 국왕들의 역할 215
제 4 장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245
1. 여말 선초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246
(1) 여말선초 권문세족의 몰락과 신진사대부세력의 등장 및 분화 246
(2) 여말선초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연속성?단절성 246
(3) 여말선초 지배계급의 지속성과 지배층의 단절성 248
2.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251
3. ChatGPT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255
4. Gemini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269
[명제 4] 조선 건국에서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영향 269
[가설 4-1] 조선 건국 주도세력의 성격과 한계인 집단 271
[가설 4-2] 조선 건국 세력의 유교 성리학 기반 관료국가 운영 273
[가설 4-3] 조선의 국가 이념과 지배 원칙 276
[가설 4-4] 사회계급의 응집력과 국가의 지위 및 능력의 관계 279
5. deepseek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281
[명제 4] 조선 건국에서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영향 281
[가설 4-1] 조선 건국 주도세력의 성격과 한계인 집단 284
[가설 4-2] 조선 건국세력의 유교기반 관료국가 운영 노력 286
[가설 4-3] 조선의 국가 이념과 지배 원칙 289
[가설 4-4] 사회계급 응집력과 국가의 지위 및 능력의 관계 293
제 III 부 세계체제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296
제 5 장 세계체제의 변동과 고려ㆍ조선 296
1. 세계체제의 유형과 변동이 고려?조선에 미친 영향 296
(1) 세계체제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296
(2) 여말선초 근대사회의 주체성과 발전의 문제 299
(3) 14~15세기 세계체제의 성격과 변동 301
(4) 자본주의의 시작과 세계경제체제의 성격 304
(5) 세계문화체제의 성격 305
2. 세계국가체제의 변동 307
(1) 몽골의 세계지배와 고려의 주체적 항쟁 관계 307
(2) 원간섭기 홍건적의 침입과 고려의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