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12037114
· 쪽수 : 872쪽
· 출판일 : 2025-08-06
목차
머리말 v
차례 vii
여 는 장 1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
2. 연구의 기본 명제•가설 3
3. 연구의 과제 4
4. 연구 방법 8
제 V부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8
제 10 장 조선의 기와 승의 단계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18
1.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8
(1) 관련 이론과 분석틀 18
(2)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 상호활동의 변동 19
2. 기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성립 23
(1) 15~16세기 세계속의 조선 23
(2) 서양세계의 부상과 서유럽 국가군의 흥망성쇠 28
(3) 중국 세계의 위상 약화와 병자호란 28
(4) 조선과 일본의 역사적인 관계의 전개 32
(5) 동북아세계 준패권국으로 등장한 조선 40
3 승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위기 극복 56
(1) 세계속의 조선의 위상: 1600년 조선과 세계 각국의 인구 비교 56
(2) 세계의 패권이동과 해외진출 및 세계체제 태동 57
(3) 중국 명의 흥망성쇠와 청의 등장 59
(4) 일본의 부상과 임진왜란•정유재란 도발 62
(5) 임진왜란 72
(6)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102
제 11 장 조선의 전과 결의 단계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123
1. 전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문화대국 조선의 융성 123
(1) 세계속의 조선의 위상 123
(2) 서양세계의 부상과 근대국가로의 발전 124
(3) 중국 청나라의 등장과 번성 128
(4) 일본 막부정치의 문치화와 조선멸시론 131
(5) 조선 전의 단계 17~18세기의 조선의 왕조중흥 135
2. 결의 단계 세계체제의 전개와 조선의 대응 153
(1) 서양 세계체제의 형성과 전개 153
(2) 서양 세계체제의 형성과 전개 157
(3) 중국 청의 쇠퇴와 서양세력의 중국진출 174
(4)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정한론의 부상 178
(5) 역동적인 조선의 대응 188
제 12 장 조선의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 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28
1.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 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28
(1)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 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28
(2) 서유럽 국가군의 부상과 자본주의세계체제 형성 및 서세동점 230
(3) 조선의 시기별 위기,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35
(4) 조선의 시기별 위기,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241
(5) 조선의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48
(6) 조선의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48
(7) 조선의 위기와 국가변동의 전개 요약 254
2. [명제 12]와 [가설 12-1~10]의 내용과 검증 257
(1) [명제 12]와 [가설 12-1~10]의 내용과 검토 257
(2) ChatGPT4o+, Gemini, deepseek에 의한 검증결과표 260
(3) [명제 12]와 [가설 12-1~10]의 검증 261
3. ChatGPT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268
4. Gemini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298
[명제 12] 조선과 중국 및 일본의 세계체제 내 상호관계 298
[가설 12-1] 세계군사체제의 변동과 몽골·원·명의 위상 변화 300
[가설 12-2] 조선·명의 문치와 임진왜란 및 일본의 몰락 303
[가설 12-3] 명·청교체기 조선의 친명반청정책과 병자호란 304
[가설 12-4] 조선의 중립외교·북벌정책·나선정벌과 국가위상 306
[가설 12-5] 조선의 세계체제의 문명충돌과 자본주의세계체제로의 편입 308
[가설 12-6] 조선과 중국 군주들의 역 자주성 관계 309
[가설 12-7] 조선과 일본 군주의 역 상관관계 311
[가설 12-8] 역대 국왕들의 사대교린정책과 자주성·종속성 312
[가설 12-9] 조선 역대 국왕들의 자주성과 종속성 평가 314
[가설 12-10] 사대주의에 대한 중화사학, 노론사학, 식민사학의 주장 316
5. deepseek에 의한 명제와 가설의 검증 317
제 VI 부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339
제 13 장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특성 339
1. 문화국가와 문화대국 339
(1) 문화국가의 특성과 유형 339
(2) 문화국가 분석틀 352
(3) 지식문명국가 조선의 성격 353
(4) 유교문화대국론 359
2. 사회계층별 문화대국 362
(1) 사대부계층의 지식기반 문화대국론 362
(2) 중인계층의 성장과 중인문화 384
(3) 서민문화론•평민문화론 389
(4) 기층문화론•무속문화론 391
3. 문화대국 조선의 특성 393
(1) 문화대국 조선의 독창성과 자주성 393
(2) 언어와 문자의 독창성과 자주성 394
(3) 군자국가, 선비국가, 문화국가, 및 문화대국 395
(4) 역대국가의 주역과 문화대국 조선의 역사적 배경 - 선비의 나라 398
(5) 조선의 선비문화와 문화대국의 성격 400
(6) 문화국가, 문화대국의 세계문화비교적 관점 426
4 세계적인 문화대국, 조선 427
(1) 세계유산 427
(2) 세계무형문화대국, 조선 428
(3) 세계기록문화대국 조선 429
5. 문화대국 조선의 세계기록문화유산 433
(1) 《훈민정음해례》 433
(2) 《조선왕조실록》 434
(3) 《승정원일기》 435
(4) 《조선왕조의궤》 436
(5) 《일성록》 437
(6) 《난중일기》 438
(7) 한국의 유교책판 439
(8) 조선 왕실의 어보와 어책 440
(9)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441
(10) 조선통신사 기록물 443
(11) 《동의보감》 444
(12) 현대 세계기록유산들 3건 등 446
6 세계문화유산 446
(1) 세계문화유산 446
(2) 조선 문화의 일본 전파 446
제 14 장 기승전결의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의 특성 451
1. 기의 단계 조선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 451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451
(2) 조선 전기 정치사상 456
(3)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