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심리치료
· ISBN : 9791127414214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18-04-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왜 잠을 잘까?
잠을 자지 않는 동물은 없다 / 잠은 무엇을 위해서? / 아밀로이드의 자각 / 과학연구 공장 / 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수면 / 나르콜렙시 / '가위눌림(수면마비)'은 왜 일어날까? / 또 하나의 무기 / 오렉신과 나르콜렙시의 관계 / 오렉신의 역할
제2장 잠을 못자면 어떻게 될까?
잠을 못자면 죽을까? / 수면억제 실험 장치 / 수면부족은 생활습관병의 리스크 / 수면과 혈압과의 관계 / 부정적 사고의 함정
제3장 수면을 측정한다
수면의 지표 / 수면측정법 / 수면 · 각성의 다섯 단계 / 렘수면단계 / 하룻밤 수면의 경과 / 졸음을 측정한다
제4장 우울증은 수면장애의 배후에
불면증과 수면부족 / 수면 부채 / 불면증 모델 / 불면증은 낮 시간 동안의 병 / 수면에 대해 돌이켜 생각해본다 / 다섯 가지 P(5P) / 세 가지 P(3P) / 잠을 잘 자는데도 불면증? / 인지행동요법은 어떤 불면증에도 효험이 있다? / 우울증이 있는 사람은 불면증에 걸렸다고 생각한다 / 만성 수면장애는 적신호
제5장 우울증과 생활습관병
우울증도 생활습관병? / 우울증 환자에게는 생활습관병이 많다 / 생활습관병 환자들에게도 우울증이 많다 / 뿌리는 동일? / 염증 / 우울증과 HPA-axis / 우울증과 교감신경 / 우울증과 산화 스트레스 / 양질의 수면이 가장 좋은 예방책
제6장 인지행동요법이란?
우울증과 수면장애의 인지행동요법 / 우울증에 대한 인지행동요법 / 불면증에 대한 인지행동요법 / 자칭 불면증 환자의 예 / 정말로 불면증인 환자의 예 / 심리교육 / 자극제어법 / 수면제한요법 / 근육이완요법 / 어디서 치료를 받을 수 있을까
제7장 수면으로 우울증을 치료한다
시간생물학적 치료란? / 생체시계의 구조 / 좀 더 빛을 / 철야의 의외의 효과 / 얼마만큼 효과가 있을까? / 도움이 된다면 뭐든지 쓰자 / 시간생물학적 치료의 보급은 가능할까?
제8장 악인을 권장함
수면과 식욕 / 우울증과 성격 / 나쁜 사람일수록 잘 잔다 / 상사 · 동료가 유념해주었으면 하는 것 / 황색 신호가 나타나면 / 수면 12개조로 당신도 수면 달인으로
후기
역자 후기
인용 · 참고문헌
책속에서
렘수면의 가장 큰 특징은, 그 시기에 선명하고 활발한 꿈을 꾼다는 것입니다. 또한 급격한 안구 운동이 보이는 것도 이 시기의 특징입니다. 실은 렘수면의 발견은 비렘수면보다 늦은 1953년의 일이었습니다. 한밤중이나 새벽녘, 뇌파 측면에서 보면 얕은 수면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각성시키려면 강한 자극이 필요한, 참으로 기이한 수면 상태가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 의하면, 하룻밤 철야하면 전두전야의 활동이 떨어지고, 그 결과 전두전야가 평소 억제하고 있는 편도체의 활동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편도체는 불쾌한 정동의 중추라고 간주되는 뇌 부위입니다.요컨대 수면부족이 되면 불쾌한 정동을 억누르기 어렵게 된다는 말입니다.
한 잔의 커피에는 카페인이 50~100밀리그램, 녹차나 홍차에도 수십 밀리그램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카페인을 매일 1,400밀리그램이나 계속 섭취하면 약 2주 만에 건강한 사람이라도 밤에는 수면장애가, 낮에는 초조감이 보이게 됩니다. 즉 불면증을 가진 사람은 만성적인 커피 과다 섭취 상태에 가깝다고 말할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