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2741478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8-05-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양육 방식에 어떤 이변이 일어났을까
1 옹알이에서 말하기 단계로 넘어가는 시기의 지체와 발육의 난조
2 활동량의 저하가 초래하는 무기력화
3 ‘보통 아이’의 자폐아동화 경향
4 확산되어가는 인간혐오
제2장 사회를 성립시키는 인간의 조건이란 무엇인가
1 서로 부대끼는 관계로서의 사회와 인간
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가능케 하는 조건
3 인간의 사회적 특성의 재확인
4 사회력이란 무엇인가
5 사회력 쇠약이 초래하는 사회적 위기
제3장 아이의 사회력은 어떻게 형성될까
1 고도의 능력을 가진 아이
2 아이들이 갖추고 있는 상호작용 능력
3 사회력의 본바탕이 형성되는 구조
4 사회적 본바탕이 형성되지 못한 아이의 사례
제4장 성장 환경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1 변화된 가정환경과 가족 기능
2 잃어버린 지역 커뮤니티 기능
3 공동성을 상실한 학교생활
4 인간 배제가 진행되는 생활공간
제5장 아이들의 사회력을 어떻게 길러줄까
1 ‘아이를 기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2 육아에 임하는 어른들의 책임이란 무엇일까
3 가정과 지역에서의 어른들의 책임
4 지역의 아이를 지역에서 기른다
5 지역 활동의 거점으로서의 모험 놀이터
후기
역자 후기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가사 일 때문에, 너무 바쁘다는 핑계로, 아이들을 텔레비전 앞에 앉히고 스위치를 켜준 채 그대로 방치하는 어머니들이 적지 않다. 이른바 “텔레비전한테 아이를 봐달라고 하는” 육아다. 이 순간 어머니들은 아이들이 잠시 텔레비전을 본다고 별일이야 있겠느냐고 안이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텔레비전을 보라고 하는 것은 아이들 입장에서 생리적으로 커다란 부담을 강요받는 셈이다.
언어 습득 과정에서 보이는 이변, 텔레비전에 젖은 생활이 초래하는 ‘넋을 잃은 증상’이나 무기력화, ‘보통 아이’에게도 보이는 자폐증적 증상, 그리고 젊은 세대 사이에서 번져가는 인간혐오 현상. 이런 사태나 현상들을 ‘사회화 이변’이라고 파악한다면, 그 이변들의 공통점은 바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사회력 형성 부전’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사회력 부전을 발생시키는 근본적 원인은 성장 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타자와의 상호작용 부족’일 것이다.
아이의 상호작용 능력을 발휘시킨다는 것은 그 아이 주변에 있는 어른들이 아이가 보내는 메시지 하나하나에 제대로 응답해주는 것이다. 응답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아기가 자신 쪽을 향해 웃음을 건네면 자기도 웃음으로 답해주며 아기를 안아주거나 말을 걸어주는 것이다. 아기가 손이나 손가락으로 뭔가를 가리키며, “이건 뭐야?”라고 물어온다면, 확실하고 약간 높은 목소리로(모성어로) 그 이름을 말해주며 구체적으로 설명해주어야 한다. 당연하다면 너무나 당연한 일이지만 그런 당연한 일에 소홀하지 않는 것, 그렇게 하는 것이 사회적 풀을 배양시키는 데 가장 소중한 일이라는 점을 진심으로 헤아릴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