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서남아시아사
· ISBN : 9791127478698
· 쪽수 : 508쪽
· 출판일 : 2024-08-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도시와 국가의 성립과 발전 ―아라비아사의 여명
1 대상로의 개통에 따른 반도의 활성화
2 사바 왕국의 성립
3 제 왕국의 흥망
제2장 신구세력의 교체와 문명의 변질 ―기원전 천 년기 말의 변동
1 헬레니즘 시대의 아라비아
2 기원전 천 년기 말의 변동
3 신세력의 대두
제3장 오리엔트 세계의 삼극구조화 ―3세기의 변동과 그 후
1 오리엔트 세계의 세 강국
2 3세기의 남아라비아――통일을 향한 움직임
3 후세에서 본 3세기의 남아라비아――투바 왕조
4 3세기의 북아라비아――대상도시의 연이은 쇠망
5 아랍 부족들의 동향
제4장 아라비아의 고대 말기 ―여러 세력의 각축
1 오리엔트 3열강과 아랍 3왕국의 대립과 항쟁
2 아라비아의 일신교화의 진전
3 종교적 대립과 정치적 대립――나줄란의 기독교도 박해
4 마지막 영광
제5장 이슬람의 탄생과 발전 ―아라비아의 신세기
1 이슬람의 탄생
2 대정복의 시작
3 이슬람의 탄생과 발전을 어떻게 볼 것인가
제6장 침체와 혼미의 수백 년 ―중세 아라비아
1 정통 칼리파시대부터 우마이야조까지의 아라비아
2 압바스조 시기의 아라비아――비주류파들의 활동
3 향신료무역의 성황과 아라비아
제7장 유럽인의 내항과 오스만조의 지배 ―근세의 아라비아
1 포르투갈과 오스만조
2 오만과 예멘의 신정권
3 아라비아 중부와 동부의 새로운 정세
4 19세기 아라비아――우위에 선 영국
제8장 독립과 번영 ―근현대의 아라비아
1 제3차 사우드조의 성립
2 제1차 세계대전과 아랍의 반란
3 사우디아라비아의 패권 확립
4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각국 정세
후기
역자 후기
참고문헌
아라비아사 연표
색인
리뷰
책속에서
그런데 우리가 현재 아라비아로 칭하는 이 지역을 누
가 언제부터 이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을까? 또 그곳에 사
는 사람들이 자신들을 아랍으로 인식하고 넓은 의미의
동족으로 의식하게 된 것은 언제쯤부터일까.
그런 가운데 이 신전 유적을 조사하던 독일 팀이 2005년 12월에 또 하나의 석비를 발견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석비 바로 가까이에 그와 대칭되듯이 큰 석비가 또 하나, 백 년 이상이나 알려지지 않은 채 모래 속에 묻혀 있었던 것이다.
인도 원정에서 돌아온 알렉산드로스가 다음으로 남아라비아로 원정할 계획이었음은 잘 알려져 있다. 각종 향료를 생산하는 동화 속 낙원으로 지중해 세계에 선전되어 있던 이 지역을 정복하여 향료 산지를 손에 넣는 것이 대왕의 숙원이었다. 이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위해 그는 페르시아만과 홍해 양쪽에서 배를 보내 남아라비아에 이르는 항로를 조사시켰다. 그러나 페르시아만과 홍해의 출구 주변까지 조사가 진척되었을 시점에 대왕이 돌연 사망하여 그 후 왕의 후계 다툼이 발발하면서 원정계획은 좌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