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중리허 단편집

[큰글자책] 중리허 단편집

중리허 (지은이), 고운선 (옮긴이)
지식을만드는지식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중리허 단편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중리허 단편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중국소설
· ISBN : 9791128826726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23-10-18

책 소개

타이완의 대표적인 향토문학 작가 중리허의 작품집이다.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일본 식민지 경영의 희생물이됐던 타이완. 그러나 그 결은 우리의 그것과 상당히 달랐다. 이 책이 수록하고 있는 세 작품에는 타이완 피식민지인이 갖는 복잡한 민족적 · 사회적 무의식이 직간접적으로 투영돼 있다.

목차

원향인

협죽도

도망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중리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5년 11월 6일 타이완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사숙에서 배운 한문을 바탕으로, 중국 고전소설을 즐겨 읽었으며, 5·4신문학운동의 영향을 받아 소년 시절부터 백화(白話)로 글쓰기를 하기 시작했다. 1938년 같은 성씨를 가진 연상의 농장 여공과 사랑에 빠졌는데, 당시 타이완 하카 사회에서는 동성(同姓)끼리의 결혼을 금지하는 풍속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사회적 분위기와 집안의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중국 대륙 둥베이(東北)의 선양(瀋陽)으로 도망갔다가 2년 뒤인 1940년에 타이완으로 잠깐 돌아와 중핑메이와 결혼한 뒤 선양으로 돌아갔다. 이러한 어려웠던 결혼 과정과 아내와의 추억은 <동성 결혼(同姓之婚)>, <도망>, <가난한 부부>(≪목어 소리?현대타이완소설선 2≫, 한걸음더, 2009 수록), <문(門)>과 같은 작품에 반영되었다. 1941년 아내와 어린 아들을 데리고 베이징으로 다시 거처를 옮겼는데, 석탄 소매업을 하면서 독서와 습작을 이어 나갔다. 1945년 그의 첫 번째 문집이자 생전에 출판된 유일한 소설집인 ≪협죽도≫가 베이징 마더쩡서점에서 출판되었다. 이 문집에는 중편소설 <협죽도> 외에도, 단편소설 <아지랑이(游絲)>, <새로운 탄생(新生)>, <억새풀(薄芒)>이 함께 수록되어 있었다. 중일전쟁이 종결된 뒤 타이완으로 영구 귀국했다. 1947년 폐병으로 3년 동안 치료를 받았는데, 결핵균이 위와 장에까지 침투해 죽을 고비를 넘겼고, 갈비뼈를 잘라 내는 큰 수술을 두 차례나 받았다. 이후 주로 휴양을 하며 지냈는데, 이 와중에도 창작에 힘써 그의 대다수 작품이 이 10년 동안 창작되었다. 다년간의 병치레로 인해 가산을 모두 팔아야 했으며, 최종적으로 땅 몇 마지기밖에 남지 않아, 생활이 극도로 빈곤해졌다. 게다가 척추결핵에 걸린 큰아들은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쳐 곱사등이가 되었고, 건강했던 둘째 아들은 아홉 살의 나이에 갑작스럽게 병에 걸려 요절했다. 평생 시달렸던 병마와 어린 자식을 먼저 보내야 했던 고통스러운 경험은 <부활(復活)>, <삶과 죽음(生與死)>과 같은 작품 속에 반영되어, 중리허의 삶과 죽음에 대한 사색을 보여 주고 있다. 그의 많은 작품들은 타이완 사회의 주목을 받지 못해서, 장기간 발표와 출판의 기회를 얻을 수 없었다. 그의 유일한 장편소설 ≪리산농장≫이 1956년 ‘중화문예상금위원회(中華文藝?金委員會)’ 장편소설 부문에서 1등이 없는 2등 상을 받음으로써 사회에 알려지는 듯했다. 하지만 그해 상금위원회와 그 기관지 <문예창작(文藝創作)>이 잇달아 문을 닫고 정간되면서, 중리허의 작품은 원활하게 발표될 수 없었다. 1960년 8월 4일, 병상에서 중편소설 <비(雨)>를 수정하는 데 무리하다 지병이 도져 각혈을 하고 죽었다. 당시 나이 45세였다.
펼치기
고운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한문학과에서 학사를, 중어중문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저우쭤런 산문에 나타난 문학 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동안 20세기 초반 동・서양 지식 교류의 역사 및 세계사적 지식 담론의 보급과 유통에 관심을 가지고 5・4신문학을 연구했으며, 문학작품 번역을 계기로 현재 타이완문학과 동남아시아 화문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역서로 『원향인(原鄕人)』, 『혼수로 받은 수레(嫁粧一牛車)』, 『물고기 뼈(魚骸)』(공역), 『타이완신문학사』(공역)가 있으며, 공저로는 『길 없는 길에서 꾸는 꿈』, 『부산미각』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

할아버지의 할아버지는 타이완에 정착한다. 손자의 손자는 중국을 찾아간다. 고향에서 그는 이방인이다. 전쟁과 재해, 수탈과 가난은 기억, 곧 고향을 지워 버린다.

학교를 파하고 돌아와서 나는 곧장 할머니께 이 일에 대해 말씀드렸다. 할머니는 다 듣고 나서 웃으면서, 우리들도 원래는 원향 사람이며, 우리들은 원향에서 이곳으로 이사 온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이 사실은 내 예상을 크게 벗어나는 것이었다. 나는 한참 동안 멍하니 있었다.

“그럼, 우리 아빠도 이사 온 거예요?” 나는 잠깐 멈칫했다가 할머니에게 물었다.

“아니란다! 네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때란다.” 할머니께서 말씀하셨다.

“왜 이사 온 거예요?”

“이 할미도 잘 모르겠구나.” 할머니는 한탄하시며, “아마 그곳에서 사람이 살아갈 수 없어서였겠지”라고 대답하셨다.

“할머니.” 나는 잠깐 생각을 하고 나서 다시 말했다. “원향은 어디에 있어요? 아주 멀어요?”

“서쪽에 있지. 아주아주 멀단다.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어서, 여기로 올 때 배를 타야 한단다.”

원향, 바다, 배! 이것은 정말이지 일종의 거대한 학문이었다. 나는 입을 딱 벌리고 말문이 막혀서 또 멍하니 있었다. 할머니는 예전에 나에게 이러한 사실들을 가르쳐 주신 적이 없었다.

-<원향인(原鄕人)> 중에서


2.

사합원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은 간단하게 말하자면 바로 이와 같았다. 그들은 척박한 자갈과 그늘진 잡초 속에서 나고 자랐기 때문에, 햇빛의 따스함을 받을 수 없었고, 비와 이슬의 자양분도 받을 수 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반쯤 죽은 듯한 생명을 붙들어 두기 위해, 최후의 승부를 걸 만한 그리고 모든 것을 걸 만한 운명과 기회를 늘 기다리고 있었다.

-<협죽도(夾竹桃)> 중에서


3.

그녀는 굳세게 버티고 있었지만, 쇠약한 몸 때문에 자주 고개를 늘어뜨렸다. 나는 그녀의 팔을 꽉 잡았다. 말 없는 격려가 내 손에서 그녀의 마음으로 전해졌다. 그녀는 깜짝 놀라며 머리를 들고는, 이로 더 깊이 아랫입술을 깨물었다.

“안심하세요.” 그녀가 가냘프게 말했다. “나는 잘 갈 수 있을 거예요.”

줄을 선 곳에서 배에 오르기까지 몇 시간이 걸렸다. 이 몇 시간이 우리에게 준 고통과 초조함은 비할 바가 없었다. 우리가 선창에 들어섰을 때, 나 자신은 벌써 수세기를 보낸 것처럼 느껴졌다.

-<도망(奔逃)>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