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철학 일반 > 교양 철학
· ISBN : 9791128840739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18-09-1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v
1부 철학상담의 이론과 실제
철학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 그 정체성은?
철학상담과 치료
철학상담의 방법,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철학상담의 패러다임
철학상담, 심리치료와 무엇이 다른가?
철학상담의 전망과 과제
2부 공감적 대화
01 감정과 철학상담
감정이란 무엇인가?
철학상담에서 감정의 역할
02 공감의 개념과 본질
공감이란 무엇인가?
셸러의 공감 개념
공감과 철학상담
03 사랑의 개념과 본질
사랑의 본질: 초월적 사랑
존재 개방과 사랑
04 관계 지향적 존재, 인간 그리고 사랑
타자인 자기를 찾는 고독한 존재
인격적 관계로서의 사랑
전인적 표현으로서의 사랑
05 철학상담의 기법으로서 ‘공감적 대화’
공감적 대화
공감적 이해
공감적 해석
3부 철학상담의 방법론
01 철학상담의 현상학적 방법
현상학, 철학상담에 어떻게 적용되는가?
현상학적 철학상담의 근본 목표
02 철학상담의 해석학적 방법
이해와 해석
해석학적 철학상담의 근본 목표
03 철학상담과 초월
전통 철학에서의 초월 이해
해석학적 지평에서의 초월 이해
철학상담에서의 초월 이해
04 철학상담의 초월 기법
인간의 초월성
의미의 초월성
초월 기법으로서의 전인적 영성 치유
초월 기법으로서의 3인칭 관점 치유
4부 사례 연구
01 개인 상담 사례 연구
사례 1. 실존적 불안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P
사례 2. 배우자와 갈등으로 이혼을 생각하는 B
02 집단 상담 사례 연구
사례 1. ‘치유의 행복학’
사례 2. ‘영성과 철학상담: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
사례 3. ‘감정 노동자를 위한 치유 프로그램’
참고 문헌
책속에서
인간과 인간의 삶을 문제 삼는 철학이 인간의 치유를 문제 삼아야 할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은 본래 병약한 영혼 혹은 정신을 지닌 존재이기 때문인가? 아니면 인간의 실존적 상황이 인간을 병약하게 만들기 때문인가? 철학상담에 앞서 키르케고르(S. Kierkegaard)나 야스퍼스(K. Jaspers)와 같은 실존철학자들은 인간의 병약한 면을 통찰하고 ‘치유’의 차원에서 인간 실존을 해명한 바 있다. ‘인간의 삶에 활력 주기’를 모토로 하는 현대의 철학실천 운동이 결국 철학상담으로 정향될 수밖에 없는 근거는 섬세하고 연약한 영혼을 지닌 인간이 ‘상처받기 쉬운 존재’요 그래서 ‘치유를 받아야 할 존재’라는 사실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