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씨책] 메타포 워즈, 삶 속의 은유적 사유활동

[큰글씨책] 메타포 워즈, 삶 속의 은유적 사유활동

레이몬드 깁스 (지은이), 나익주, 김동환 (옮긴이)
커뮤니케이션북스
6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0,000원 -0% 0원
1,800원
58,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씨책] 메타포 워즈, 삶 속의 은유적 사유활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씨책] 메타포 워즈, 삶 속의 은유적 사유활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2892
· 쪽수 : 726쪽
· 출판일 : 2022-03-25

책 소개

사람들이 은유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방식을 둘러싸고 일어난 수많은 논쟁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이 분야를 발전시킬 목적으로 개념적 은유 이론을 포괄적으로 재평가한다. 개념적 은유 이론의 고전적인 연구는 물론 일차 은유 이론과 신경언어이론 같은 최근 이론도 개관한다.

목차

옮긴이의 말  

01 은유전쟁이란?  
개념적 은유 이론의 폭넓은 영향력  
개념적 은유 이론에 대한 공격  
은유 전쟁과 나  

02 개념적 은유 분석  
관습적 표현의 체계성  
일차 은유 이론  
은유 신경 이론  
개념적 은유는 얼마나 많은가?  
개념적 은유의 보편성  
관용어와 속담  
다의성  
환유  
색다른 은유  
담화 속 은유  
개념적 은유 관련 연구의 범위
결론  

03 언어 속 은유 식별  
은유 식별의 목표  
어떤 관습적 표현은 정말로 은유적인가?  
신뢰할 만한 은유 식별은 가능한가?  
코퍼스 연구와 전산 연구
어떤 은유는 고의적인가?  
은유적 언어가 없는 은유적 사고  
은유 식별을 위한 큰 목표  
결론  

04 언어로부터의 개념적 은유 추론  
개념적 은유와 언어적 은유의 연결  
영역횡단 사상 또는 범주화  
시간을 이해하는 데 정말 개념적 은유가 필요한가?  
논쟁의 언어적 은유에 대한 개념적 동기  
코퍼스언어학의 필요성  
개념적 은유 이론은 어휘적·문법적 요인을 무시하는가?
개념적 은유 이론은 사회문화적 힘을 무시하는가?
개념적 은유 이론은 시적 이해의 비결정성을 무시하는가?
문화모형은 부분적으로 은유적인가?  
수학은 은유적인가?  
개념적 은유는 언어로부터 발생하는가?  
행위성과 개념적인 은유적 사고  
정치와 사업, 질병 속의 은유  
은유적 사고의 경쟁하는 전망들  
개념적 은유의 토대는 개인 심리학인가, 집단 심리학인가?

05 언어적 은유 사용 속 개념적 은유 심리학  
가능한 가설  
은유적으로 말한 뒤에 우리의 사고를 기술하기  
은유적 의미에 대한 성찰  
은유적 사상의 생성  
추론과 문제해결  
심적 영상  
삽화적 기억  
언어적 은유의 빠른 처리와 생산  
은유적 함의 추론하기
언어적 은유 이해 속의 신체화  
신체화된 개념적 은유에 관한 인지신경과학의 증거
개념적 은유 이론에 반하는 실험적 증거  
예비 결론
미래로 향하는 길: 언어적 은유 사용 속 상호작용 제약

06 다중양상 경험 속 개념적 은유  
범주화와 창의성 속의 개념적 은유  
사회적 인지 속의 개념적 은유  
제스처  
정적 영상과 동적 영상  
음악  
컴퓨터 사용 경험 속의 은유  
무용 속의 개념적 은유  
예술적 과정에 대한 개념적 은유  
물질문화 속의 개념적 은유 실연  
결론  

07 결론과 전망  

참고문헌

저자소개

레이몬드 깁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Cruz)의 심리학과 명예교수다. 1980년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인지심리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은유와 상징(Metaphor and Symbol)≫의 편집장이고, ≪인지언어학(Cognitive Linguistics)≫, ≪화용론 저널(Journal of Pragmatics)≫, ≪시학(Poetics)≫ 등을 비롯한 다수의 학술 저널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신체화된 인지, 화용론, 비유 언어에 관심을 갖고 『마음의 시학(The Poetics of Mind)』(1994), 『의미의 경험에서 의도(Intentions in the Experience of Meaning)』(1999), 『신체화와 인지과학(Embodiment and Cognitive Science)』(2006), 『은유 전쟁(Metaphor Wars)』(2017)을 집필하고, 『비유적 의미의 해석(Interpreting Figurative Meaning)』(2012)과 『비유 언어와 사고(Figurative Language and Thought)』(1998)를 공동 집필했으며, 『은유와 사고의 케임브리지 핸드북(Cambridge Handbook of Metaphor and Thought)』(2008)과 『은유 섞기(Mixing Metaphor)』(2016)를 엮고, 『인지언어학에서의 은유』(Metaphor in Cognitive Linguistics)』(1999)와 『언어와 사고에서의 아이러니(Irony in Tanguage and Thought)』2007)를 공동으로 엮었다.
펼치기
나익주 (감수)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와 전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학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 언어학과에서 객원학자로 은유와 인지언어학을 공부했다. 전남대학교와 충남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에서 강의했고 한국담화인지언어학회의 연구이사를 지냈다. 현재 학술지 [담화와 인지] 편집위원회의 인지분과위원장을 맡고 있으며 한겨레말글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지 레이코프의 은유 이론과 정치적 프레임 이론을 소개한 『조지 레이코프』(2017)를 썼고,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과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을 공저했으며, 『나는 진보인데 왜 보수의 말에 끌리는가』(2018), 『인간의 살림살이』(공역, 2017), 『이기는 프레임: 진보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법』(2016), 『정신 공간』(공역, 2015), 『폴리티컬 마인드: 21세기 정치는 왜 이성과 합리로 이해할 수 없을까』(2012), 『자유는 누구의 것인가』(2010), 『프레임 전쟁: 보수에 맞선 진보의 성공 전략』(2007), 『개념·영상·상징: 문법의 인지적 토대』(2005), 『몸의 철학』(공역, 2002), 『문법과 개념화』(2001),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1997), 『삶으로서의 은유』(공역, 1995/2006) 등을 옮겼다. 그리고 「은유의 신체적 근거」, 「개념적 은유: 사랑」, 「성욕의 은유적 개념화」, 「‘정’과 ‘한’의 은유적 개념화」, 「삶을 지배하는 교육 은유」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개념적 은유의 사상은 단일 방향적이다. 우리는 [여행]을 통해 [인생]을 이해할 수 있지만, [인생]에서 [여행]으로의 사상은 그다지 수긍이 가지 않는다. 관습적인 은유적 서술은 이러한 상이한 추론이 구체적인 언어로 발현된 것이다. 실제로, 추상적인 개념을 가리키는 서로 다른 관습적 표현들의 체계적인 관계를 분석하면 개념적 은유의 존재가 드러난다.
“02 개념적 은유 분석” 중에서


열정적인 은유 연구자들은 낱말이나 구, 표현의 맥락상 구체적인 사용이 은유적 의미를 지닌다고 인식해야 하는지를 두고 오랫동안 격심한 논쟁을 벌여왔다. 이러한 논쟁은 말이나 글의 특별한 실례를 은유로 간주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안을 만들어 내려는 몇몇 시도로 이어졌다. 언어에서 은유를 식별하려는 노력은 경쟁하는 수많은 은유 이론뿐만 아니라 개념적 은유 이론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03 언어 속 은유 식별” 중에서


심리학자와 많은 다른 연구자들은 언어적 패턴의 분석에만 의존하는 인간의 사고에 관한 여러 주장에 회의적이다. 그들은 사고 속의 은유를 찾는 일이 사람들이 은유적으로 이야기할 때나 진부한 관습적 표현을 사용할 때 정확히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가나, 어떻게 보통 상이한 주제를 이해하는지를 보여 주는 증거를 동반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05 언어적 은유 사용 속 개념적 은유 심리학”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