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K-스토리텔링 1](/img_thumb2/979112886335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3356
· 쪽수 : 638쪽
· 출판일 : 2022-10-21
목차
서론: 스토리텔링에 관한 여섯 가지 물음 / 서성은
왜 지금 스토리텔링인가
K-콘텐츠의 퀀텀 점프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스토리텔링의 지형도
노티 스토리텔링
이 책의 구성
1부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01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 박진
광의의 스토리텔링이 지닌 전략 이상의 함의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문화콘텐츠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연구 동향과 그 관점
산업적 관점을 넘어서는 스토리텔링 연구의 방향
사회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을 위하여
02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 박기수ㆍ안숭범ㆍ이동은ㆍ한혜원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영역
스토리텔링의 원형
스토리텔링 환경
스토리텔링 전망
2부 스토리텔링, 어떻게 하는가
03 문화원형과 이야기 소재 / 김기덕
머리말
문화콘텐츠 산업과 창작 소재
창작 소재로서의 문화원형
맺음말
04 신화와 스토리 구조 / 최민성
시작하며
신화형 스토리 구조
통합적 스토리텔링 구조와 실제
마치며
05 캐릭터, 스토리의 필수 요소 / 안숭범
스토리텔링 창작 방법론을 만든다는 것
‘캐릭터 동기화 이론’ 모델화 과정과 체계
방법론 적용을 통한 <도둑들> 스토리텔링 분석
기획·창작자와 동행하는 방법론
06 플롯, 문제 기반 스토리텔링 / 윤혜영
서론
‘스토리헬퍼’의 문제 기반 플롯 구조
인물 문제 해결에 따른 결말 유형
결론
07 기호학적 분석 방법 / 백승국
파리 기호학파의 서사 연구
스토리텔링 기호학
브레몽의 ‘분기식 서사 모델’
그레마스의 행동자 모델과 서사 도식
이미지텔링과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결론
3부 스토리텔러는 누구인가 : 창작자와 사용자
08 디지털 스토리텔링과 여성의 창작 / 한혜원
가상성과 서사성의 상관관계
여성 주체의 온라인 공동체 형성
로맨스 웹소설 기반의 텍스트 장 구축
가상세계 속 ‘자기만의 방’
09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 / 류철균ㆍ윤혜영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두 유형
디지털 서사 창작 도구의 CBR 모델 활용의 쟁점
민스트럴의 CBR 모델
스토리헬퍼의 CBR 모델
디지털 서사 창작과 CBR 모델
10 팬픽션과 2차 창작 / 김유나
서론
창작 주체의 대중화와 데이터베이스적 환경
사용자 스키마 기반의 조합 서사
자기 복제자로서의 캐릭터와 팬원전
생성적 문학으로서의 팬픽션
4부 왜 K-스토리텔링인가
11 한국 아이돌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 조민선ㆍ정은혜
아이돌, 스토리, 그리고 팬덤
아이돌 콘텐츠의 서사 유형과 재현 방식
아이돌 콘텐츠의 트랜스미디어 구조
따로 또 함께, 팬덤의 스토리월드
12 봉준호 장르 / 박진후ㆍ임대근
서론: ‘봉준호 장르’ 속 크로노토프의 역할과 기능
‘길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 전략
‘살롱의 크로노토프’에서의 서사 전략
한국적 장르 영화 탄생의 가능성
13 한류 드라마·영화의 몽유 서사 / 권도경
문제 설정의 방향
한국 몽유고전서사원형의 두 가지 계열과 타임슬립형 몽유의 네 가지 패턴
몽유고전서사원형의 재매개화 유형에 따른 이본 산생의 통시적 맥락과 차별적 향유 의식
나오는 말
책속에서
정보화 시대 이후 데이터는 인간의 인지 능력을 넘어서 도처에 편재하고 무료로 취할 수 있다. 어디에나 있고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것은 가치가 높지 않다. 스토리텔링은 데이터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방식 중의 하나다. 데이터를 원인과 결과로 연결하고 통합해서 시간 속에 꿰어 놓는다. 어지럽고 무의미한 데이터의 세계에서 의미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서론: 스토리텔링에 관한 여섯 가지 물음” 중에서
스토리텔링에서 이야기하는 행위의 현장성과 상호작용성은 텍스트의 구조나 서사의 체계보다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차원으로 이행한다. 스토리텔링의 청자는 스토리를 구성하고 이끌어 가는 데 직접 참여할 뿐 아니라, 들은 이야기를 변형하고 재구성하여 다른 청자에게 다시 이야기하는 화자의 자리에 서기도 한다. 스토리텔링은 이처럼 이야기를 생성·변형·재창조하면서 향유하고 유통시키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화자와 청자의 구분을 해체할 뿐 아니라 권위 있고 종결 가능한 서사의 닫힌 체계를 거부한다.
“01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중에서
‘캐릭터 동기화’란 등장인물이 스토리의 맥락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선택과 실천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캐릭터 동기화’의 결정적 순간에는 스토리의 흐름에 질적 차이를 만드는 심리적 전환 혹은 결단이 전제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캐릭터 동기화 이론’이란 캐릭터의 유형을 입체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성격적 특성을 밝히는 작업을 넘어선다. 캐릭터 유형을 구별 짓는 동인으로 등장인물의 심리적 토대, 추구(활용) 가치, 부정적 태도, 방어 기제, 일상적 행동 패턴, 의식 경향, 자기 인식 왜곡 양상, 그림자의 발현 양상 등을 살펴볼 수 있다.
“05 캐릭터, 스토리의 필수 요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