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97252
· 쪽수 : 260쪽
· 출판일 : 2023-08-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01 스토리텔링의 개념
스토리텔링의 등장
스토리 vs 내러티브 vs 스토리텔링
스토리의 특성
스토리텔링의 특성
왜 지금 스토리텔링인가?
02 스토리텔링의 역사와 지형도
미디어의 발전과 스토리텔링
구술미디어와 옛 이야기
‘쓰기’ 기술의 발전과 인쇄 미디어의 혁명
전기 문화, 영상 미디어의 등장
디지털 미디어와 참여적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의 지형도
비주얼 스토리텔링: 작가와 감독의 이야기 예술
디지털 스토리텔링: 사용자가 만드는 나의 이야기
공간 스토리텔링: 온몸으로 체험하는 공간적 상상력
기능성 스토리텔링: 교육, 언론, 치료, 마케팅의 스토리텔링
멀티플랫폼 스토리텔링 : 각색과 트랜스미디어
03 스토리텔링의 맥락, 콘텐츠와 사용자
작품에서 콘텐츠로
작품, 텍스트, 콘텐츠
내용물을 넘어, 콘텐츠 개념의 확장
수용자에서 사용자로
사용자의 탄생
창작 주체로서의 사용자
콘텐츠 유니버스의 시대
콘텐츠 플랫폼과 데이터베이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난 사용자
경계를 넘나드는 콘텐츠
2부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
04 모티프
이야기의 도식성
모티프의 개념
오래된 미래, 모티프
모티프의 기능과 특성
모티프의 원형과 변형
변하지만, 변하지 않는 모티프
마음을 사로잡는 205가지 모티프
‘모티프’의 현재
05 캐릭터
캐릭터의 개념과 특성
캐릭터인가, 플롯인가
캐릭터의 유형
캐릭터를 위한 도구들
욕망의 삼각형
행위자 모델
진입점으로서의 캐릭터
06 플롯
스토리와 플롯의 차이
캐릭터와 플롯의 관계
좋은 플롯의 특성
플롯의 유형
중심 플롯과 보조 플롯
영웅서사의 귀환
3부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07 영화 · 드라마
영상콘텐츠와 스토리쇼잉(Storyshowing)
눈으로 보는 감독의 언어, 미장센
편집을 통한 제 3의 의미 창조, 몽타주(montage)
영상콘텐츠 스토리텔링의 특성
영화의 특성: 고도로 정제된 몰입적 스토리텔링
드라마의 특성: 대중적이며 분산집중적 스토리텔링
영상콘텐츠 산업의 미래와 스토리텔링의 변화
08 OTT
OTT의 개념과 특성
선형에서 네트워크로
OTT를 둘러싼 생태계, CPND
OTT가 가져온 변화① 사용자
개인화와 데이터베이스 소비
몰아보기와 함께 보기
OTT가 가져온 변화② 콘텐츠
09 웹툰 · 웹소설
한국형 콘텐츠, 웹툰 · 웹소설의 등장과 발전
웹툰의 스토리텔링 특성
웹 인터페이스와 이미지 텍스트의 결합
일상 콘텐츠와 장르의 다변화
웹소설의 스토리텔링 특성
멀티모드적 형식
사용자 중심의 장르
콘텐츠 IP 확장과 웹툰 · 웹소설
10 게임
호모 루덴스, 게임을 이야기하다
게임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매직서클의 놀이하는 인간
놀이와 게임의 경계
놀이의 유형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흐름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의 등장
하이퍼텍스트 픽션의 실험
인터랙티브 드라마의 발전
상호작용적 서사의 신화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징
텍스톤과 스크립톤의 중층 구조
서사적 가능성이 충만한 공간
사용자가 만드는 끝나지 않는 이야기
11 유튜브
당신의 이야기를 담는 플랫폼, 유튜브
1인 미디어 시대의 개막
적응하는 플랫폼: 실시간 방송과 쇼츠
유튜브 콘텐츠의 변화
창작의 기업화, MCN의 출현
콘텐츠 소비의 변화: 데이터베이스 형식의 강화
콘텐츠 유통의 변화: 확산을 위한 기술적 형식
유튜브 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양상
사용자 참여를 통한 집단 스토리텔링
캐릭터를 통한 대상의 변주
연결을 위한 일상의 공유
12 트랜스미디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
OSMU와 트랜스미디어의 차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형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트랜스미디어의 스토리를 텔링하는 법
스토리 세계 구축(Word Building)
단편화와 서사 연속성
K-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특성
참고문헌
책속에서
본 장을 정리하면서 GPT-4에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에 대해 물었다. 그림 1-1과 같은 답변을 내놓았다. … 많은 이들이 AI가 인류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이라 걱정한다. 그러나 AI는 사람을 대체하지 않는다. AI를 활용하는 사람이 당신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스토리텔링은 AI를 활용하는 능력을 강화시키고 AI가 대체할 수 없는 분야를 발견하고 개척하는 힘이다. 우리가 스토리텔링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01_“스토리텔링의 개념” 중에서
생각해 보면 이 이름 없는 콘텐츠들은 모두 사용자가 만들어 낸 콘텐츠다. 웹 문화가 형성되기 시작하던 초창기에 주목을 받았던 UCC 또는 UGC(user generated contents)라는 개념이 어느새 자취를 감춘 것은 그것이 사라질만했거나 무용했기 때문은 아니다. 오히려 반대다. 사용자가 만든 콘텐츠라고 별도로 분류하는 것이 의미가 없을 만큼 웹 기반의 콘텐츠 플랫폼에서 사용자가 창작과 수용의 경계를 넘나드는 것이 일상이 되었기 때문이다.
03_“스토리텔링의 맥락, 콘텐츠와 사용자” 중에서
“관객들은 10분 안에 어떠한 일도 일어나지 않으면 지루해 한다”는 것은 영화 창작자들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스토리텔러들은 3막 구조를 다시 잘게 잘라 10∼15분 단위의 시퀀스로 구성하고, 시퀀스 안에서 긍정에서 부정으로 혹은 부정에서 긍정으로 스토리의 극적인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관객들의 재미와 몰입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전략을 사용한다.
07_“영화 · 드라마”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