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책] K-스토리텔링 3](/img_thumb2/979112886337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28863370
· 쪽수 : 446쪽
· 출판일 : 2022-10-21
책 소개
목차
5부 스토리텔링 언제 어디서 만나는가: 미디어와 스토리텔링
5.3 공간 스토리텔링: 온몸으로 체험하는 공간적 상상력
27 공간적 상상력을 체화한 정원 / 유동환
순천만국가정원, 발칙한 상상력과의 조우
공간적 상상력과 체화의 개념
테마파크 공간 원형과 순천만국가정원 공간 원리의 비교
테마파크가 아니라 테마파크의 원리로 국가공원을 개선하자
28 테마파크 / 안숭범ㆍ최혜실
테마파크 기획을 위한 ‘공간 스토리텔링’
공간 스토리텔링의 현상학적 이해
지역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테마파크 기획의 실제
공간 스토리텔링과 서사물 기반 테마파크의 미래
5.4 멀티플랫폼 스토리텔링
29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 남정은ㆍ김희경
따로 또 같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유형화
한국형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개발을 위한 제언
30 크로스미디어와 트랜스미디어 / 서성은
서론
스토리텔링 전환의 여섯 가지 유형
스토리텔링 전환 이론의 체계화를 위하여
5.5 기능성 스토리텔링: 교육, 언론, 치료, 마케팅
31 에듀테인먼트와 인포테인먼트 / 변민주
기능성 스토리텔링의 목적과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감성적 담화 형식
기능성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유형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사례의 적용
인포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의 특성과 사례 적용
기능성 스토리텔링을 위한 보상의 적용과 잊지 말아야 할 지침
32 코딩 교육과 글쓰기 / 윤현정
서론
글쓰기 과정으로서의 코드 짜기
수행적 글쓰기로서의 특성
결론
33 뉴스리포트 / 박성호
방송 뉴스에서 스토리텔링이란
스토리텔링은 팩트 텔링이 아니다
스토리텔링 프레임
사운드바이트: 지식이 아니라 느낌이 기억에 남는다
도입부와 클로징에 공을 들여라
인상적인 인물을 내세워라
34 이야기 치료 / 이민용
인성 건강과 내러티브의 치유적 접근
재소자 내러티브 인성 교육의 활용 이론
재소자 내러티브 인성 교육의 방법과 내용
스토리텔링 인성 교육 콘텐츠 탐구
이야기 치료의 한 가능성
35 신화적 상상력과 브랜드 / 김봉현
스토리텔링 시대, 브랜드에 신화적 생명력 불어넣기
신화적 영역으로서의 무의식과 원형
신화, 신화적 상징 혹은 원형, 그리고 스토리
브랜드 내러티브와 신화적 원형의 적용 가능성
브랜드 내러티브 구축에 신화적 원형을 적용할 때 고려할 요소
결론과 논의
책속에서
정보화 시대 이후 데이터는 인간의 인지 능력을 넘어서 도처에 편재하고 무료로 취할 수 있다. 어디에나 있고 무료로 얻을 수 있는 것은 가치가 높지 않다. 스토리텔링은 데이터에서 가치를 발견하는 방식 중의 하나다. 데이터를 원인과 결과로 연결하고 통합해서 시간 속에 꿰어 놓는다. 어지럽고 무의미한 데이터의 세계에서 의미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효과적인 방식이다.
“서론: 스토리텔링에 관한 여섯 가지 물음” 중에서
스토리텔링에서 이야기하는 행위의 현장성과 상호작용성은 텍스트의 구조나 서사의 체계보다 근본적이고 포괄적인 차원으로 이행한다. 스토리텔링의 청자는 스토리를 구성하고 이끌어 가는 데 직접 참여할 뿐 아니라, 들은 이야기를 변형하고 재구성하여 다른 청자에게 다시 이야기하는 화자의 자리에 서기도 한다. 스토리텔링은 이처럼 이야기를 생성·변형·재창조하면서 향유하고 유통시키는 전 과정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화자와 청자의 구분을 해체할 뿐 아니라 권위 있고 종결 가능한 서사의 닫힌 체계를 거부한다.
“01 스토리텔링과 내러티브” 중에서
‘캐릭터 동기화’란 등장인물이 스토리의 맥락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선택과 실천으로 참여하는 과정을 지칭한다. ‘캐릭터 동기화’의 결정적 순간에는 스토리의 흐름에 질적 차이를 만드는 심리적 전환 혹은 결단이 전제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캐릭터 동기화 이론’이란 캐릭터의 유형을 입체적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성격적 특성을 밝히는 작업을 넘어선다. 캐릭터 유형을 구별 짓는 동인으로 등장인물의 심리적 토대, 추구(활용) 가치, 부정적 태도, 방어 기제, 일상적 행동 패턴, 의식 경향, 자기 인식 왜곡 양상, 그림자의 발현 양상 등을 살펴볼 수 있다.
“05 캐릭터, 스토리의 필수 요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