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공공임대주택 주거환경 진단 및 인식개선](/img_thumb2/9791128891212.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28891212
· 쪽수 : 154쪽
· 출판일 : 2022-05-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발간사
01 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
서론
선행연구 고찰
실증분석 모형 및 가설
실증분석
결론
참고문헌
02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및 개선 방안
서론
주거만족도 분석방법
공공임대주택 입주자의 주거만족도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3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서론
문헌연구
분석 개요
분석 결과
결론
참고문헌
04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소셜믹스 인식과 영향 요인
서론
소셜믹스 정책과 추진 현황: 서울시 사례
소셜믹스 관련 선행연구 분석
연구의 분석틀
공공임대주택 거주가구의 소셜믹스 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05 생활SOC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 가능성
서론
생활SOC의 개요 및 정책방향
공공임대주택의 사회적 배제와 생활SOC
공공임대주택을 활용한 생활SOC의 공급사례
개선방안 및 효과적인 적용방안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거에는 주거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위해 공공임대주택의 양적 공급 확대가 주된 목적이었다. 그러나 가구의 소득 및 자산 구성의 변화, 저출산 및 고령화를 비롯한 인구구조의 변화 등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공공임대주택 수요를 고려한 맞춤형 공급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01_“공공임대주택 입주 의향” 중에서
공공임대주택은 주거복지개념과 더불어 민간시장의 가파른 주택가격 상승으로 민간임대시장에서 주택임차가 어려워진 중산층의 주거안전망의 역할까지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반시설의 확충 없이 무조건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생활형 SOC를 동반한 공공임대주택의 공급이 필요하다. 공공임대주택의 대상을 중산층까지 확대한다면 소셜믹스 문제도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03_“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 중에서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해서는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통합이 필요하며, 임대주택의 외관 등 품질을 개선해 부정적 이미지를 축소해야 한다. 공공임대주택의 공급과 생활SOC의 확충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과제며, 복합화 사업을 통해 이를 함께 공급하는 방안이 성공적으로 정착한다면 장기적으로 주거복지와 생활복지를 확충하는 새로운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05_“생활SOC를 통한 공공임대주택 사회적 배제 문제 해결 가능성”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