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교정치행정

비교정치행정

(주요 국가의 국가운영 체제 및 방식에 관한 연구)

김시홍, 임성근, 김윤권, 오종진, 김영우, 박상철, 조세현, 김경래, 김성수, 이종원 (지은이), 박중훈 (엮은이)
박영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870원
28,1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300원 -10% 1010원 17,260원 >

책 이미지

비교정치행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교정치행정 (주요 국가의 국가운영 체제 및 방식에 관한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30305936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다양한 통치형태를 취하고 있는 주요 국가를 대상으로 통치제제를 비롯한 국정운영체제와 방식에 대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 및 이해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수행한 연구과제다.

목차

01 서론 박중훈・조세현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대상과 범위 3
1. 연구의 대상 : 분석 대상 국가 선정 3
2. 연구 범위: 분석요소 7
제3절 연구의 방법 8
1. 문헌분석 8
2. 공동연구 8

02 미국 이종원 11
제1절 통치체제 및 행정부 11
1. 미국 헌법의 기본 원리 11
2. 대통령 14
3. 부통령 23
4. 영부인(First Lady) 24
5. 대통령의 보좌기관 24
6. 연방관료제 30
제2절 의회 차원 32
1. 미국 의회의 권력 32
2. 미국 의회의 조직과 구성 34
3. 의회의 권한과 기능 40
제3절 사법부 차원 42
1. 미국의 사법제도의 의의 42
2. 사법부의 구조 43
3. 연방법관의 임명 45
4. 정책과정에서의 사법부의 역할 47
5. 사법부에 대한 견제 49
제4절 중앙과 지방관계 51
1. 연방제하의 정부 간 관계와 협력 51
2. 미국 연방주의의 변천 54
3. 연방제하 정부 간 권력배분 56
4. 지방정부의 유형과 규모 58
5. 연방제하 정부 간 공공서비스 전달 59
제5절 시사점 60

03 영국 김윤권 63
제1절 통치체제 63
1. 정부형태 개요 63
2. 국가와 행정수반 및 내각 69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체제 73
1. 관료제 73
2. 중앙과 지방정부 간의 관계 83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91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91
2.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103
제4절 시사점 114
1. 통치체제의 시사점 114
2. 관료제 및 지방행정체제의 시사점 117
3. 입법부 및 사법부의 시사점 119

04 스웨덴 박상철 123
제1절 통치체제 123
1. 정부형태 개요 123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128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131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체제 133
1. 공직사회 133
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관계 137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139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140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140
2. 의회와 정부와의 관계 145
3.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계 147
4.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에 관한 시사점 150
제4절 시사점 152

05 일본 임성근 155
제1절 통치체제 155
1. 정부형태 개요 155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157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160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체제 161
1. 공직사회 161
2. 중앙과 지방정부 간 관계 163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167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167
2. 의회와 내각과의 역할 관계 171
3. 의회와 사법부와의 역할관계 172
4.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172
5.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179
제4절 시사점 180

06 프랑스 김영우 183
제1절 통치체제 183
1. 정부형태 개요 183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184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193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제 195
1. 공직사회 195
2. 중앙/연방과 지방정부간 관계 199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203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205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205
2. 의회의 정부/내각과의 역할관계 207
3.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209
4.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우리나라와의 비교 관점에서) 212
제4절 시사점 214

07 독일 김성수 217
제1절 통치체제 217
1. 정부형태 개요 : 연방제 및 권력기관 217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218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224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제 226
1. 공직사회 226
2. 연방정부와 지방정부간 관계 228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230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231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231
2. 의회와 정부(내각)와의 역할관계 235
3.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238
4.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240
제4절 시사점 241
1. 정당국가 241
2. 연방주의 242
3. 법치주의 243

08 오스트리아 김경래 245
제1절 통치체제 245
1. 정부형태 개요 245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247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258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제 259
1. 공직사회 259
2. 중앙/연방과 지방정부간 관계 261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262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263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263
2. 의회의 정부/내각과의 역할관계 269
3.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269
4.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우리나라와의 비교 관점에서) 272
제4절 시사점 272
1. 정치체제 273
2. 중앙과 지방의 관계 274

09 터키 오종진 275
제1절 통치체제 275
1. 정부형태 개요 275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284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제 297
1. 공직사회 297
2. 중앙/연방과 지방정부간 관계 297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301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301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301
2.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308
3.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311
제4절 터키 정치체제 변동 – 에필로그 313

10 이탈리아 김시홍 317
제1절 통치체제 317
1. 정부형태 개요 317
2. 국가 및 행정수반과 내각 321
3. 헌법재판소 327
4.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328
제2절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제 329
1. 공직사회 329
2. 중앙과 지방정부간 관계 333
3. 우리나라와의 비교 및 시사점 338
제3절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339
1. 의회 구성 및 운영방식 339
2. 의회의 정부/내각과의 역할관계 345
3. 사법부 구성과 운영체제 345
4. 입법부 및 사법부 체제와 운영상 특성과 시사점 347
제4절 시사점 349
1. 통치체제 349
2. 관료제 및 지방행정 체계 350
3. 입법부 및 사법부 차원 350
4. 시사점 351

11 국가운영체제 비교와 시사점 박중훈 353
제1절 정부 유형에 입각한 통치제도의 다양성과 특성 353
1. 대통령제 국가의 행정부와 의회 355
2. 내각책임제 국가의 행정부와 의회 357
3. 중앙-지방정부 간 관계측면에서의 제도와 내용 362
제2절 주요국의 통치체제를 통해 본 이슈와 시사점 363
1. 대통령제 방식의 이슈와 시사점 363
2. 내각책임제 방식의 이슈와 시사점 365
3. 의원 선출을 위한 선거 측면에서의 이슈와 시사점 366
4. 사법부 및 지방정부와의 관계 측면에서의 이슈와 시사점 368
5. 결어 369

찾아보기 371
참고문헌 377

표 차례
❚ 표 2-1 대통령의 법적 권한의 변화 16
❚ 표 2-2 미국과 각국 대통령의 헌법적 권한 비교 18
❚ 표 2-3 대통령의 행정명령 발동 현황 20
❚ 표 2-3 대통령부(EOP)의 규모(1941-2017) 27
❚ 표 2-5 미국 정부 부처의 설치연도와 규모 31
❚ 표 2-6 하원과 상원의 주요 차이 33
❚ 표 2-7 상・하원 의원의 자격요건 34
❚ 표 2-8 의회의 상임위원회(115차 의회 : 2017.1 - 2019.1) 36
❚ 표 2-9 대통령의 연방 법관 임명 46
❚ 표 2-10 역대 대통령별 연방법관 임명 수 51
❚ 표 2-11 연방정부와 주정부 간 권력 비교 57
❚ 표 2-12 지방정부의 형태와 수의 변화 59
❚ 표 2-13 정부별 공무원 수 변화(1982-2013) 59
❚ 표 2-14 정부 수준별 제공하는 공공서비스 60
❚ 표 3-1 책임도 수준별 공무원 인사통계(2016) 79
❚ 표 3-2 영국의 정부 계층 86
❚ 표 3-3 영국의 지방자치단체 현황 87
❚ 표 3-4 1972년 이후 영국 지방정부 구조 변화 88
❚ 표 3-5 영국의 주요 정당 92
❚ 표 3-6 정당별 상원 의원의 구성 및 현황 96
❚ 표 3-7 영국 의회의 주요 역할 99
❚ 표 3-8 영국 의회의 위원회 101
❚ 표 3-9 영국의 3심제 106
❚ 표 3-10 영국 고위법관의 다양성 108
❚ 표 4-1 스웨덴 중앙정부 구성 125
❚ 표 4-2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방자치단체 업무영역 138
❚ 표 4-3 각 정당별 의석 수(2014~2018 회기연도) 142
❚ 표 5-1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따라서 하는 일왕의 국사 행위 158
❚ 표 5-2 중앙정부의 지방정부에 대한 관여의 기본원칙 164
❚ 표 5-3 중의원과 참의원의 차이 169
❚ 표 5-4 중의원의원 정파별 인원 169
❚ 표 5-5 참의원의원 정파별 인원 170
❚ 표 5-6 일본의 재판소 종류와 수 173
❚ 표 5-7 일본의 재판소 직원 정원(2017년도) 174
❚ 표 7-1 독일의 역대 수상(임기, 연정, 퇴임방식) 221
❚ 표 7-2 장관의 경력(제12대-제15대 국회: 1991-2005년) 223
❚ 표 7-3 장관임명 직전의 정치적 경력(제12대-제15대 국회: 1991-2005년) 223
❚ 표 7-4 장관이 정부 임기중 중도에 사임한 사례 224
❚ 표 7-5 정권교체에 따른 정무직 교체 현황 227
❚ 표 7-6 연방정부와 지방정부의 국가 기능분담 231
❚ 표 7-7 정당별 수입재원 분포(2014년, 단위: 유로) 235
❚ 표 7-8 역대 국회의 법안 심의 및 활동내용 236
❚ 표 7-9 의회의 행정부 통제수단 237
❚ 표 7-10 연방최고법원의 구성 239
❚ 표 8-1 오스트리아 정당 264
❚ 표 9-1 터키 통치체제 키워드 278
❚ 표 9-2 터키 지방정부 구성 283
❚ 표 9-3 대통령 출마와 선거법 286
❚ 표 9-4 대통령의 의무와 권한 288
❚ 표 9-5 지방정부의 기본 역할과 기능 299
❚ 표 9-6 개헌과 터키 국회의 변화 302
❚ 표 9-7 개정된 국회의원 선출 자격 303
❚ 표 9-8 개헌 후 터키 의회의 의무 및 권한 변동 306
❚ 표 9-9 터키의 상급법원과 하급법원 308
❚ 표 9-10 터키 군사법원의 종류 309
❚ 표 9-11 개헌 후 터키 사법부의 주요 임명권한 변동 사항 311
❚ 표 9-12 터키 헌법개정 연도 311
❚ 표 10-1 이탈리아 내각의 구성(2017년 10월 현재) 326
❚ 표 10-2 이탈리아 중앙 및 지방 공무원 현황(2013년 말 현재) 332
❚ 표 10-3 이탈리아의 선거 제도 변화 340
❚ 표 10-4 이탈리아 상하원 상임위원회 구성 344
❚ 표 11-1 국가 통치 및 정부형태에 따른 분류 354
❚ 표 11-2 대통령제 국가의 정부수반, 의회, 사법부 및 중앙-지방관계 356
❚ 표 11-3 내각책임제 국가의 국가수반, 행정수반, 의회, 사법부 및 중앙-지방관계 360

그림 차례
❚ 그림 2-1 미국정부의 삼권분립과 견제와 균형 관계도 13
❚ 그림 2-2 미국의 연방정부 조직도 25
❚ 그림 2-3 관리예산처(OMB)의 조직구조(오바마 행정부) 29
❚ 그림 2-4 상・하원의 조직구조(108차 의회) 34
❚ 그림 2-5 미국 의회의 입법과정 38
❚ 그림 2-6 미국 연방대법원의 조직과 관할권 43
❚ 그림 2-7 연방지방법원과 연방항소법원의 지리적 경계 44
❚ 그림 2-8 존 로버츠 연방대법원 대법관들의 이념적 성향 46
❚ 그림 3-1 영국의 통치체계 64
❚ 그림 3-2 영국의 사법체계 67
❚ 그림 3-3 2017년 총선 결과 정당별 의석수 93
❚ 그림 3-4 영국 의회 구성도 95
❚ 그림 3-5 2017년 총선 결과 하원 의석수 현황 96
❚ 그림 3-6 영국 사법부의 구성 및 체계 105
❚ 그림 4-1 스웨덴 정부구성 127
❚ 그림 5-1 국회 조직도 167
❚ 그림 7-1 독일 부처의 조직 및 급별 인원수(2005년 기준) 226
❚ 그림 7-2 역대(1949~2017년) 총선 결과 및 정부(연정)의 구성 232
❚ 그림 8-1 연방대통령 조직도 252
❚ 그림 8-2 연방수상청 조직도 254
❚ 그림 9-1 2017년 총선 결과 277
❚ 그림 9-2 터키의 정치체제 변동 약사 277
❚ 그림 9-3 터키 통치체제 조직도 279
❚ 그림 9-4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구성도 282
❚ 그림 9-5 2014년 대통령 선거 결과(터키 최초 직선제 대통령 선거) 284
❚ 그림 9-6 터키 대통령실 조직도 289
❚ 그림 9-7 터키 의원내각제 정부 조직도(2019년 본격 개편 예정) 291
❚ 그림 9-8 현 터키 행정부 조직 구성-2017년(제65대 정부) 292
❚ 그림 9-9 개헌 전 터키 내각 구성-2010년(제60대 정부) 293
❚ 그림 9-10 개헌 이전 터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선출과 구성 298
❚ 그림 9-11 현 터키의 국회 구성 303
❚ 그림 9-12 의회 구성도 305
❚ 그림 9-13 터키 국회 - 위원회 구성도 307
❚ 그림 9-14 사법부 조직도 310
❚ 그림 10-1 이탈리아 국가체제의 구조 319
❚ 그림 10-2 총리부 지원실 구성 324
❚ 그림 10-3 이탈리아 지방 계층 구조 335
❚ 그림 10-4 중앙정부 지역사무소의 구성 336
❚ 그림 10-5 이탈리아의 의회: 상원과 하원 342
❚ 그림 10-6 이탈리아의 법원체계 346

저자소개

김시홍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양어대학 이탈리아어과 교수 이탈리아연구센터 소장 및 서양어대학 학장 이탈리아 공화국 기사훈장 수훈 이탈리아 그레고리안대학교 사회학 박사
펼치기
임성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숭실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도쿄대학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에서 학술학(복지정책)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 인사, 일본행정, 복지정책이다. 2011년부터 한국행정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현재 부연구위원·국방부 자체평가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국책연구원의 연구원으로서 안전행정부·국무조정실 등 정부 각 부처의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있으며, 10여 년간의 일본 유학 경험을 바탕으로 일본의 행정·복지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조사를 하고 있다. 『정부 3.0시대 국회 입법지원조직의 기능 강화 방안 연구』·『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를 위한 개선 방안』 등의 연구보고서와 『주요국의 국정 소통 방법』(공저) 등의 저서, 『복지정치』·『복지국가 전략』 등의 역서가 있다.
펼치기
김윤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행정학 박사학위(“중국 국무원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역사적 신제도주의 시각의 적용을 중심으로”)를 취득하고, 현재 한국행정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제도론, 조직론, 인적자원관리론, 중국행정·정책 등이다. 저서로는 「글로벌 리더 국가의 빛과 그림자」 (편저, 2013), 「중국의 행정과 공공정책」 (편저, 2008) 등이 있으며, 논문은 “정부3.0의 이론적 연구” (2016), “정부 조직개편의 로직과 기능별 개편전략”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김윤권의 다른 책 >
오종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어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터키어과에서 학사, 키프로스 Eastern Mediterranean University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튀르키예 빌켄트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튀르키예를 중심으로 한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국제 문제를 연구 주제로 44편의 논문과 튀르키예어 교재와 국제 관계 및 문화 관련 책 29권을 공저로 집필했다. 뉴욕주립대학교에서 풀브라이트 교환 교수로 1년간 강의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국제교류처장, 대외협력처장, 특수외국어교육원 원장 등을 역임했다.
펼치기
김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파리제2대학교에서 행정학 석사 및 법학 박사(행정학 전공)학위를 취득하였으며, 2002년부터 서울시립대학교 정경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행정, 행정개혁 등이다.
펼치기
박상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기센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및 박사학위 그리고 유럽대학 정교수자격(Habilitation)을 취득했다. 스웨덴 고텐버그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및 종신교수 자격인 도센트(Docent)를 취득했다. 이후 스웨덴, 독일, 폴란드, 일본, 한국, 중국, 대만, 태국,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9개국에서 교수 및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한국에서는 KAIST, 서울대학교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한국공학대학교 융합기술에너지대학원 정교수 및 중견기업육성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국내저서로 2만 달러 시대의 기술혁신전략, 세계혁신클러스터, 글로벌 에너지정책과 천연가스사업 개발전략, 독일 재생에너지정책과 지속발전전략, 글로벌 에너지협력과 국제정치경제 및 전략, 유럽연합 탄소중립 경제체제 및 에너지전환정책 등이 있다. 국외저서로는 Local Governance in the Global Context: Theory and Practice, Beyond Europe: Central Asia, the Middle East and Global Economy, Immigration Policy and Crisis in the Regional Context: Asian and European Experiences, The European Union: New Leadership and New Agendas, Cooperation Versus Rivalry in Times of Pandemic, Economic Integration in Asia and Europe: Lessons and Policies, Immigration Policy and Crisis in the Regional Context,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Interaction and Impact before and after COVID-19 등이 있다.
펼치기
조세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행정학과 대학원(행정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사회학박사) 한국행정연구원 정부혁신연구실장/연구위원
펼치기
김경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대학원(정치학 석사)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정치학박사)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펼치기
김성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정책학석사)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 정치학과(정치학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이종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행정학석사)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 대학원(정치학박사) 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박중훈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행정학석사) 미국 University of Georgia 대학원(행정학박사)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57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