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후보 (지은이), 이진성, 이희정 (옮긴이)
박영사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000원 -0% 0원
510원
16,4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5,9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내외 군사사정
· ISBN : 9791130312026
· 쪽수 : 314쪽
· 출판일 : 2021-05-31

책 소개

중국의 해양력을 연구하는 중국 학자의 책이다. 저자는 오늘날 바다의 중요성과 중국의 굴기를 인정함과 동시에 중국 해양력의 한계도 받아들이고 있다. 핵심.중대.중요 해양이익을 지키기 위하여, 도광양회를 벗어나 근해통제, 지역존재와 전 세계 영향을 목표로 제시한다.

목차

서론 1
해양력은 무엇인가? 2
해양력과 중국 6

제1부 개념과 정세

제1장 꿈과 논쟁 15
제1절 역사가 빚은 백 년의 꿈 15
제2절 현실이 요구하는 강대한 해양력 17
제3절 주요 논쟁과 어려움 23
Ⅰ. 개념과 함의 24
Ⅱ. 전략목표와 의도 26
Ⅲ. 경로문제 30
Ⅳ. 육·해 통합의 문제 32
Ⅴ. 역량 건설 34

제2장 중국 해양력 발전의 조건 39
제1절 바다의 선천적 조건 39
제2절 시대적 배경 45
제3절 군사기술 추세 49

제3장 중국 해양력 굴기의 국제환경 52
제1절 미국의 해상 ‘국지억제’ 52
Ⅰ. 미국의 아·태 지역 전략 및 정책 변화 53
Ⅱ. 미국의 강한 아·태 지역 군사력 57
Ⅲ. 아·태 지역에서 미국의 강대한 정치 영향력 62
제2절 일본의 균형 63
Ⅰ. 일본은 중국 해양력 발전을 견제 63
Ⅱ. 일본의 해상 군사력과 방위정책 68
제3절 인도와 호주의 불확실성 70
제4절 다른 주변국의 시기와 대비 72

제4장 중국의 중요한 해양이익 75
제1절 핵심 해양이익 78
Ⅰ. 내수 및 영해 해·공 공간의 절대안전 78
?Ⅱ. 타이완과 대륙의 통일 79
Ⅲ. 댜오위다오와 난사군도 등 분쟁 도서의 주권 80
Ⅳ. 근해 지리적 공간의 전략적 안보 83
Ⅴ. 세계 주요 해상교통로의 안전 84
제2절 중대 해양이익 85
Ⅰ. 배타적경제수역과 대륙붕의 자원개발 권익 및 생태 안전 85
Ⅱ. 중요 해양규칙의 발언권 86
Ⅲ. 공해, 심해저 및 남북극지를 평화롭게 이용할 권리 87
Ⅳ. 전통적 해양권익 87
제3절 중요 해양이익 88
Ⅰ. 중요 해양산업의 발전과 안전 89
Ⅱ. 공해의 자유와 안전 89
Ⅲ. 해외 해양권익 90

제2부 현황과 목표

제1장 해양력의 요소와 중국 해양력 평가 93
제1절 논쟁 중인 해양력의 제 요소 93
제2절 해양력 강약의 평가지표 98
제3절 중국 해양력의 중간평가 102
Ⅰ. 해상역량 103
Ⅱ. 해양지리 105
Ⅲ. 경제력 107
Ⅳ. 정치력 108

제2장 중국 해양력의 목표를 확정하는 원칙 112
제1절 국익에 따른 분포 112
Ⅰ. 주권과 영토보전 113
Ⅱ. 국가안보 114
Ⅲ. 발전이익 117
제2절 자기 실력에 대한 객관적 인식 119
Ⅰ. 중국 해상역량 ? 빠른 성장, 하지만 수준과 경험의 향상 필요 120
Ⅱ. 중국 외교력 ? 외교자원은 풍부하나, 전환수단이 부족 122
Ⅲ. 경제력 ? 중국의 경제력은 강대하지만, 수준 향상이 시급 131
Ⅳ. 국제여론 가운데 영향력 ? 중국 ‘목소리’의 영향이 적다. 131
제3절 중국 지상력 우위에 따른 감소원칙 132
제4절 평화발전에 부합한 총노선 135
Ⅰ. 패권주의 억제와 강권정치의 충동 135
Ⅱ. 중국 대전략에 적합한 수단 요구 137

제3장 향후 30년 중국 해양력의 목표 140
제1절 근해통제 141
제2절 지역존재 148
제3절 전 세계 영향 151

제3부 수단과 방법

제1장 중국의 해상역량 157
제1절 날로 복잡해지는 임무 158
Ⅰ. 근해 159
Ⅱ. 가까운 원양 165
Ⅲ. 전 세계 기타 해역 168
제2절 역량 건설 구상 172
Ⅰ. 기본원칙 173
Ⅱ. 역량편성 176
제3절 전략, 책략과 집행 199
Ⅰ. 해상 적극방어란 무엇인가? 199
Ⅱ. 해상책략과 전술 204
Ⅲ. ‘벌교(伐交: 적의 외교를 제거)’와 대외소통 211

제2장 해양경제력 218
제1절 3대 해양공간 220
Ⅰ. 주권 범위 내의 해양 지리적 공간 220
Ⅱ. 공해와 ‘심해저’ 225
Ⅲ. 타국의 관할해역 228
제2절 번영과 환상 230
제3절 ‘대’에서 ‘강’으로 가는 전략 234
Ⅰ. 해양경제체제 개혁과 제도건설 강화 234
Ⅱ. 해양 과학기술의 수준을 높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촉진 236
Ⅲ. 해양발전 공간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고 확장 238

제3장 외교혁신과 해양력 발전 242
제1절 대륙에서 해양으로 244
제2절 ‘도광양회’를 넘어 252
제3절 주권과 해양력의 균형 260
제4절 억제전략의 응용 강화 268

맺음말 중국 해양력 전략 수립 277
제1절 패러다임 혁신 281
제2절 기술혁신 284
제3절 제도혁신 285

후기 290
찾아보기 293

저자소개

후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베이징대학 해양전략연구중심의 주임이자, 남해전략태세감지계획의 주임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해양전략과 정책, 국제안보 분야에서 연구하였으며, 『세계 경제와 정치(世界经济与政治)』, 『국제관찰(国际观察)』, 『외교평론(外交评论)』, 『Journal of Chinese Political Science』 등 국내외 핵심 정기간행물에 4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고, 여러 권의 학술저서를 출판하였다. 해양전략과 정책 분야의 저서에는 『2049년 중국의 해상권력(2049年的中国海上权力)』(中国发展出版社, 2015년), 『머핸시대 이후 중국의 해양력(后马汉时代的中国海权)』(海洋出版社, 2018년)과 『Chinese Maritime Power in the 21st Century』(Routledge, 2019년)가 있다.
펼치기
이진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해군 소령 해군사관학교 조교수 중국 베이징대학 신호정보처리학 석사(’14년) 국방어학원 중국어과정(’09년) 해군사관학교 정보통신공학 학사(’04년)
펼치기
이희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해군 대령 국립통일교육원 통일정책지도자과정(’21년) 국방대학교 합동고급과정(’14년) 국방어학원 중국어과정(’04년) 해군 사관후보생(OCS) 92기(’97년)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