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 큐레이터, 똑똑한 미술관

스마트 큐레이터, 똑똑한 미술관

양연경, 남현우 (지은이)
박영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스마트 큐레이터, 똑똑한 미술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 큐레이터, 똑똑한 미술관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관/박물관/미술기행
· ISBN : 979113031475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1-12-27

목차

제1장: 미술관, 스마트 큐레이터가 필요하다! 1
1. 큐레이터, 그들은 누구인가? 2
큐레이터(학예사)가 되기 위해서는? 4
우리에게 미술관이란, 어떤 곳인가? 15
큐레이터, 미술관에 그들이 꼭 필요한 이유 21
2. 미술관 운영, 조직과 정책 25
똑!똑! 관장님 계신가요? 31
미술관 업무의 핵심, 학예실장의 파워! 34
미술관의 첫 걸음, 인턴 큐레이터(연수단원)부터 시작! 36
3. 미술관 업무, 경험과 노하우의 집합체 40
업무자료 습득 40
업무자료의 보관과 관리 44
업무의 역할 분담과 커뮤니케이션 48
업무개선을 위한 요소 51

제2장: 미술관 전시, 큐레이터의 고생과 땀 57
1. 미술관의 핵심, 전시 기획 58
좋은 전시회, 합리적인 전시 기획 프로세스 62
2. 전시 준비, 전시회를 만들어가는 과정 74
전시 준비 업무 프로세스 75
전시 전개 업무 프로세스 81
3. 전시 D-day, 화려한 오프닝과 폐막의 피날레 93
전시 오픈과 진행 업무 프로세스 94
전시 폐막과 반출 업무 프로세스 105
전시 피날레의 아쉬움, 피드백으로 돌아보기 110

제3장: 미술관 교육, 문화예술을 꽃피우다 115
1. 미술관 교육, 공익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 116
2. 에듀케이터(educator), 교육 학예사 118
에듀케이터, 훈련과 경험이 필요하다. 120
3. 미술관 교육, 기획과 실행 127
미술관 교육 업무 프로세스 129
교육행정 업무 프로세스 164

제4장: 수집과 보존-소장품과 아카이브 169
1. 미술작품, 수집·보존이란? 170
2. 큐레이터의 전문 파트너: 수집/보존/복원 전문가들 173
레지스트라(Registrar) 173
아키비스트(Archivist) 176
컨서베이터(Conservator) 178
3. 미술관 수집·보존 업무 프로세스 180
수집 및 보존 관리 업무 프로세스 181
소장품 수집 및 관리 업무 프로세스 182
수장고 관리업무 195

제5장: 학술연구와 뮤지엄 문화 R&D 207
1. 미술관 학술연구, 연구 큐레이터 208
2. 미술관 학술연구, 프로젝트 및 평가업무 210
연구 프로젝트는 어떻게 진행할까? 211

제6장: 미술관 콘텐츠-출판, 웹/앱/SNS 233
1. 미술관에서 콘텐츠란? 234
2. 미술관 콘텐츠, 출판 성과 확산 236
출판 제작 업무 프로세스 237
출판을 관리하는 업무들 250
3. 미술 콘텐츠, 웹/앱/SNS 255
웹/앱/SNS 콘텐츠 개발업무 258
웹/앱/SNS 콘텐츠 보수 업무 264
웹/앱/SNS 콘텐츠 관리 업무 266

제7장: 지속 가능한 미술관, 혁신적 변화와 미래 271
1. 융합과 포용, 뉴노멀 미술관과 포스트 큐레이터 272
뉴노멀 미술관, ESG 경영을 지향하다 274
ESG(1): 큐레이터, 환경(Environment)을 생각하다 276
ESG(2): 큐레이터와 사회적(Social) 포용의 문제 278
ESG(3): 큐레이터와 거버넌스(Governance)의 상호 협치 281
2. NFT Art와 메타버스, 미술관의 판도를 바꾸다 283
NFT와 미술 소유권 및 저작권? 285
NFT Art Platform의 접근 289
3. 메타버스, 미술관의 개념을 바꾸다 293
4. 스마트 큐레이터가 똑똑한 미술관을 만든다 297
큐레이터, 액티브 러닝과 배리어 프리를 실행하자 298
NFT 미술과 메타버스 뮤지엄의 미래 301

참고문헌 303
글을 마무리 하면서… 306

그림 목차

[그림 01] 학예사(큐레이터)의 활동 모습 4
[그림 02] 학예사 자격요건 심사 및 자격증 발급 신청서(국립중앙박물관) 11
[그림 03] 미술관의 전시장 전경 20
[그림 04] 사립미술관 조직도 사례 27
[그림 05] 국립현대미술관 조직도 사례 27
[그림 06] 서울시립미술관 조직도 사례 28
[그림 07] 다양한 능력을 필요로 하는 관장의 역할 32
[그림 08] 학예실장, 전시 큐레이터, 에듀케이터, 조직의 팀워크 현장활동 35
[그림 06] 사립미술관 조직도 사례 37
[그림 07] 국립현대미술관 조직도 사례 38
[그림 08] 서울시립미술관 조직도 사례 38
[그림 09] 미술관 업무의 개선을 위한 우선순위 및 필요 조건 51
[그림 10] 미술관 전시 업무 5단계 프로세스 구성 61
[그림 11] 벤치마킹을 위한 전시 기획 SWOT 분석의 사례 73
[그림 12] 전시 디자인 아이덴티티 및 엠블럼 디자인 사례 82
[그림 13] 전시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반영된 도록 및 리플렛 사례 83
[그림 14] 전시 홍보를 위한 보도자료의 사례(언론사 발송용) 85
[그림 15] 온라인 매체를 통한 전시 홍보 콘텐츠 사례(네오룩/문화뉴스) 86
[그림 16] 전시 홍보: 포스터 및 배너 홍보물 설치 현장 87
[그림 17] 아티스트 워크숍과 도슨트 훈련 현장 사례 90
[그림 18] 작품 운송과 반입 후, 해포 과정 92
[그림 19] 전시작품 설치 96
[그림 20] 전시 작품 설치 계획 도면(설치 에스키스(esquisse)) 사례 96
[그림 21] 전시작품 설치 완료의 예 97
[그림 22] 오프닝 행사 다과 준비 99
[그림 23] 전시회 오픈 행사(리셉션 진행과 축사, 케이터링 파티 현장) 100
[그림 24] 도슨트 설명 현장 102
[그림 25] 전시연계 체험 프로그램 활동 모습 103
[그림 26] SNS 프로모션을 보여주는 미술관 전시 알림 사례 104
[그림 27] 작품 반출을 위한 해체 과정과 안전한 포장 단계 108
[그림 28] 사업 총괄(전시/교육/홍보/이벤트)에 대한 정산보고서 사례 113
[그림 29] 체험학습을 지도하고 전시를 직접 설명하는 에듀케이터의 활동 모습 118
[그림 30]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에듀케이터의 기본 역할 프로세스 121
[그림 31] 국고지원금 기반의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기초 예산 작성 사례 135
[그림 32] 체험형 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최종 예산 편성안 작성 사례 136
[그림 33]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기획안 세부 수립계획 및 운영서 작성 사례 141
[그림 34] 체험 학습 교육 운영 준비를 위한 PT 교육안 사례 143
[그림 35] 체험 학습 활동지 지면 구성 및 전시 감상 이론 수업용 활동지 사례 145
[그림 36] 체험형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각종 재료 테스트 및 안전성 검증 과정 146
[그림 37]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준비를 위한 기자재 및 각종 장비 확인 과정 147
[그림 38] 교육 환경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각종 유의사항 사례 149
[그림 39] 교육 프로그램 홍보와 모객을 위한 현수막과 포스터 활용 사례 151
[그림 40] 교육 프로그램 홍보와 SNS 홍보 연계 콘텐츠 탑재 사례 151
[그림 41] 학술 세미나, 작가 워크숍, 예술감상교육 등의 다양한 교육 현장 154
[그림 42] 미술관 체험교육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한지공예, 염색공예, 토이아트 등) 158
[그림 43] 타 기관 방문형 “찾아가는 미술관” 프로그램 진행 중인 아웃리치 교육 현장 160
[그림 44]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통계 사례 162
[그림 45] 교육 프로그램의 최종 결과보고서로 산출된 평가 내역 사례 163
[그림 46] 재무행정 프로세스 중, 교육기금 최종 집행 관련 증빙 첨부 사례 168
[그림 47] 미술관의 다양한 기능과 공간 활용의 역할이 주는 확장성 180
[그림 48] 기증증서의 양식 사례 186
[그림 49] 소장품 사진 촬영 중, 반입 상태 체크 증빙용 촬영의 사례 190
[그림 50] 작품 분야별 소장품 카드 작성의 예 197
[그림 51] 수장고 작품들 중, 격납상자 보관 상태 및 수장고 관리 현장 202
[그림 52] 연구 결과보고서 작성의 예 222
[그림 53] 국고지원금 수혜대상 연구비 운영 지침(예산 편성) 공지사항의 예 223
[그림 54] 전시 평가표 예시 228
[그림 55] 교육 평가표 예시 229
[그림 56] 미술관 종합 평가 현장 230
[그림 57] 작가와의 출판계약(문화체육관광부 출판권 설정 계약서) 기본 양식 242
[그림 58] 출판물 표지 디자인 제작 예 246
[그림 59] 북토리의 POD 인쇄주문(예) 248
[그림 60] 출판사 서평(예) 252
[그림 61] 하이브리드 웹사이트 예시-상원미술관 256
[그림 62] Waterfall Model 응용 프로세스 262
[그림 63] <상원미술관 특별기획전, 물려줄 환경, 미술관 속 철학이야기 V> 준비과정 277
[그림 64] 미술관에서 진행된 지역 치매안심센터 및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연계 활동 현장 280
[그림 65] 메타버스 <제페토(ZEPETO)>에서 즐기는 박물관, 미술관 사이버 투어 296
[그림 66] 미술관의 미래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302

저자소개

남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저자 남현우는 서경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미술관 전시기획 100회 이상, 작품 활동 100회, 미술관 출판기획 40종 이상, 논문 60여 편, 저서 14권 등을 출간한 박물관•미술관•과학관•기념관 분야에서 국내 유일한 통합 큐레이션 전문 학예사이다. 현재 ‘차세대R&D기술정책연구원’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문화체육관광부 2급 정학예사를 취득하였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과학관 정책 및 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중이다. 특히 국내 유일의 미술 저작권, 블록체인 연구가로서 미술 인공지능(AI), 메타버스, 실감 콘텐츠(VR, AR, XR) 등의 정부 ICT 정책 및 자문 등을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양연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술관의 다양한 뮤지엄 큐레이션을 총감독하는 큐레이터를 역임하고, 현재 한성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하면서 미술관 융합교육 및 전시 콘텐츠 문화기술 프로젝트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한양대학교 응용미술학과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미술관 학예실장으로 다년간 재직하면서 현재 사외이사로서 미술관 R&D 센터장을 겸직하고 있다. 전시, 교육, 출판, 학술연구 R&D, 콘텐츠 기획 및 제작 등, 풍부한 경험들을 통해 미술관 준학예사로 출발하여 문화체육관광부 학예사 자격 1급 정학예사로 승급하면서 다년간의 노하우를 토대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 <문자문화원형 스토리텔링전>, <자연과 삶의 미학, 왕골공예전>, <지(紙)의 숨결, 한지공예>, <과학과 예술의 크로스오버>, <Play, 오감만족-놀이문화원형>, <숫자와 과학, 쉬운 이야기> 외 다수 전시기획과 정부 부처 산하기관들의 국가 R&D 프로젝트를 통해 미술관의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기획하고 사회공헌과 뮤지엄 혁신을 위해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72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