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헌법과 사법

헌법과 사법

권영준, 윤진수, 김형석, 이동진 (지은이)
박영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720원
23,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헌법과 사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헌법과 사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31430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18-05-30

책 소개

서울법대 법학총서 3권. 헌법과 사법의 관계에 관하여는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논의되어 왔다. 또한 근래에는 이를 다루고 있는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판례들도 늘어나고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민법을 전공하는 교수들이 이 문제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물이다.

목차

제1장 보통법 국가에서의 기본권의 수평효
Ⅰ. 서 론 1
Ⅱ. 미 국 5
1. 판 례 5
2. 학자들의 논의 12
Ⅲ. 아일랜드 14
1. 판 례 14
2. 학자들의 논의 21
Ⅳ. 캐 나 다 23
1. 판 례 23
2. 학자들의 논의 31
Ⅴ. 남아프리카 공화국 33
1. 과도헌법 당시의 판례 33
2. 1996년 헌법과 판례 37
Ⅵ. 영 국 40
1. 학자들의 논의 40
2. 판 례 45
Ⅶ. 결 론 49
1. 전체적 고찰 49
2. 시 사 점 50

제2장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당성, 범위, 방법
Ⅰ. 서 론 59
Ⅱ. 기초 논의 60
1. 프라이버시의 개념 60
2. 프라이버시권의 문제 67
Ⅲ.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당성 79
1. 개 관 79
2. 자 유 79
3. 다 양 성 81
4. 완 충 성 82
Ⅳ. 프라이버시 보호의 범위 84
1. 개 관 84
2. 프라이버시의 존재 영역 87
3.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법성 판단 94
Ⅴ. 프라이버시 보호의 방법 109
1. 개 관 109
2. 법적 보호 109
3. 기술적 보호 114
Ⅵ. 결 론 121

제3장 재산권 보장 조항(헌법 제23조 제1항)과 민법
Ⅰ. 서 론 129
Ⅱ. 민사입법 및 그에 대한 규범통제와 재산권 보장 조항 131
1. 재산권 보장 조항의 민사입법에 대한 효력 131
2. 민법 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규범통제와 재산권 보장 조항 139
Ⅲ. 민법 해석?운용과 재산권 보장 조항 151
1. 기본권의 대사인효, 헌법합치적 법률해석과 재산권 보장 조항 151
2. 일반법원의 법형성과 재산권 보장 조항 158
Ⅳ. 결 론 162

제4장 사적 자치와 기본권의 효력
Ⅰ. 문제의 제기 169
Ⅱ. 유럽 사법에서 사적자치와 기본권의 효력 172
1. 수평효를 판단하는 재판기관에 관한 유럽 법제 개관 172
2. 고 용 176
3. 경업금지 181
4. 임 대 차 186
5. 보 증 190
Ⅲ. 평가와 시사점 197
1. 수평효 학설 대립의 실익? 197
2. 수평효라는 문제설정의 의의 199
3. 민사법에서 간접적 수평효의 의미 202
Ⅳ. 결 론 210

제5장 상속관습법의 헌법적 통제
Ⅰ. 서 론 217
Ⅱ. 헌법재판소 2016. 4. 28. 선고 2013헌바396, 2014헌바394 결정 220
1. 사실관계 220
2. 헌법재판소의 결정 221
Ⅲ. 이 사건 관습법의 존재 여부 226
1. 종래의 판례 226
2. 이 사건 관습법의 존재 여부 228
Ⅳ. 관습법의 위헌 여부에 대한 심사권의 주체 233
1. 종래의 논의 233
2. 검 토 236
3. 한정위헌의 가능성 여부 243
Ⅴ. 이 사건 관습의 위헌 여부 246
1. 어느 시점의 헌법을 기준으로 하여 위헌 여부를 판단할 것인가? 246
2. 이 사건 관습의 위헌성 248
3. 소급효로 인한 법적 안정성의 문제 254
Ⅵ. 결 론 265

색 인
판례색인 271
사항색인 280

[논문의 출전]
“보통법 국가에서의 기본권의 수평효”: 연세대학교 법학연구 제27권 3호(2017)
“프라이버시 보호의 정당성, 범위, 방법”: 사법 제41호(2017)
“사적자치와 기본권의 효력”: 비교사법 제24권 1호(2017)
“재산권 보장 조항(헌법 제23조 제1항)과 민법”: 비교사법 제24권 3호(2017)
“상속관습법의 헌법적 통제‘: 헌법학연구 제23권 2호(2017)

저자소개

권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원 졸업(석사 및 박사) 하버드 로스쿨 졸업(LL.M.) 판사(서울지방법원 등 다수 법원)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하버드 로스쿨, 듀크 로스쿨, 막스플랑크 연구소 등 방문교수 동경대학교 법과대학 특임교수 법무부 법무자문위원장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지식재산-인공지능 특위 위원장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위원 (전)한국저작권위원회 위원 (전)서울대학교 기술과 법 센터장 <주요 저술> 민법학의 기본원리 민법판례연구 Ⅰ, Ⅱ 2014년 법무부 민법 개정시안 해설 민법주해(공저) 주석민법(공저) 민법 Ⅱ-권리의 변동과 구제(공저) 저작권법주해(공저) 미국사법의 이해(공편저) 등 저서 다수 특허권 남용의 법리와 그 관련 문제 저작권과 소유권의 상호관계 게임저작물과 실질적 유사성 데이터 귀속․보호․거래에 관한 법리 체계와 방향 법의 개인화 단상 등 논문 다수
펼치기
윤진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1977) 사법연수원 수료(1979) 서울대학교 법학박사(1993) 서울민사지방법원 판사(1982), 헌법재판소 헌법연구관(1990~1992), 대법원 재판연구관(1992~1995), 수원지방법원 부장판사(1995~1997)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조교수, 부교수, 교수, 법학전문대학원 교수(1997~2020) 법무부 민법개정위원회 분과위원장, 실무위원장, 부위원장(2009~2014) 법무부 가족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장(2010~2011) 대법원 가사소송법개정위원회 위원장(2013~2015) 법무부 가족법특별위원회 위원장(2023.10.~) 전 법경제학회, 비교사법학회, 가족법학회, 민사법학회 회장 전 민사판례연구회 회장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 저 서 민법논고 Ⅰ-Ⅸ(2007~2024) 2013년 개정민법 해설(현소혜 교수와 공저) 주해친족법 Ⅰ, Ⅱ(2015)(편집대표 및 집필) 주해상속법 Ⅰ, Ⅱ(2019)(편집대표 및 집필) 민법기본판례(2024) 법과 진화론(2016)(공저) 헌법과 사법(2018)(공저) 민법과 도산법(2019)(공저) 판례의 무게(2020) 상속법 개정론(2020)(공저) 법의 딜레마(2020)(공저) 민법의 경제적 분석(2021)(공저) 공동체와 법(2023)(공저) 논 문 “법의 해석과 적용에서 경제적 효율의 고려는 가능한가?”, “진화심리학과 가족법” 등 100여 편
펼치기
김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석사) 독일 트리어(Trier) 대학교(석사, 박사)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저서 및 논문 Zessionsregreß bei nicht akzessorischen Sicherheiten (Duncker & Humblot, 2004) 주석 민법 물권(1) (제4판 2011; 제5판 2019) (공저) 민법 III: 권리의 보전과 담보 (2012; 제2판 2015; 제3판 2018; 제4판 2021; 제5판 2023) (공저) 사용자책임의 연구 (2013) 담보제도의 연구 (2021) 민법주해[II] 제2판 (2022) (공저) 계약자유와 계약책임 (2024) “동기착오의 현상학” “유언집행의 기초연구” 등 논문 다수
펼치기
이동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판사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민법, 의료법 등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등 공저 20여 권, 논문 120여 편이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박사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법주해[III]>, <주석민법[총칙2] 제5판>, <주석민법[채권각칙2] 제5판>, 그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