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법철학 : 이론과 쟁점

법철학 : 이론과 쟁점

(제3판)

김정오, 최봉철, 김현철, 양천수, 이계일 (지은이)
박영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780원
25,220원 >
26,000원 -0% 0원
0원
26,000원 >
25,740원 -1% 0원
780원
24,960원 >
26,000원 -0% 0원
0원
26,000원 >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200원 -10% 910원 15,470원 >

책 이미지

법철학 : 이론과 쟁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법철학 : 이론과 쟁점 (제3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40708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22-01-20

책 소개

이번 판에서는 제2판에서 집중적으로 수정된 법과 도덕, 정의의 장들 외에 거의 모든 장들을 수정하였다.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장들을 비롯해서 법철학의 기본적인 주제들을 다룬 장들은 새로운 이론이나 쟁점들이 나타나고 있지 않아 기존의 내용들을 보완하는 선에서 수정하였다.

목차

제1장 법철학이란 무엇인가? 1
Ⅰ. 법철학에 대한 다양한 이해방식들 _1
Ⅱ. 법철학의 개념 _3
Ⅲ. 법철학의 방법과 내용 _6
Ⅳ. 법철학의 의의 _7
Ⅴ. 맺음말 _14

제2장 법실증주의 17
Ⅰ. 서 론 _17
Ⅱ. 법실증주의의 이해 _18
Ⅲ. 켈젠의 법이론 _24
Ⅳ. 하트의 법이론 _32

제3장 자연법론 45
Ⅰ. 서 론 _45
Ⅱ. 자연법론 _46
Ⅲ.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이론 _51
Ⅳ. 풀러의 자연법론 _55
Ⅴ. 드워킨의 자연법론 _60
Ⅵ. 법실증주의와 자연법론의 비교 _65

제4장 법과 도덕 69
Ⅰ. 법과 도덕의 관계 _69
Ⅱ. 밀과 스티븐의 논쟁 _72
Ⅲ. 하트와 데블린의 논쟁 _76
Ⅳ. 포르노에 관한 윌리엄스 위원회와 드워킨의 논쟁 _84
Ⅴ. 판례에 나타난 법과 도덕의 문제 _90

제5장 정 의 95
Ⅰ. 들어가는 말 _95
Ⅱ. 법과 정의의 관계 _97
Ⅲ. 정의란 무엇인가? _101

제6장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123
Ⅰ. 법에 있어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_123
Ⅱ.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 _125
Ⅲ.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비판 _130

제7장 권 리 143
Ⅰ. 권리의 의의와 역사적 맥락 _143
Ⅱ. 권리 개념의 형성 _145
Ⅲ. 권리의 본질 _150
Ⅳ. 권리의 양상―호펠드의 이론을 중심으로 _157
Ⅴ. 권리 개념의 존재 의의 _162

제8장 법치주의 165
Ⅰ. 법치주의의 의의 _165
Ⅱ. 법치주의에 대한 다양한 이해 _168
Ⅲ. 법의 지배 사상의 역사적 뿌리 _172
Ⅳ. 법치주의의 양상 _181
Ⅴ. 법치주의의 미래 _186

제9장 법준수의무와 시민불복종 189
Ⅰ. 법준수의무와 시민불복종의 논점들 _189
Ⅱ. 법준수의무 _190
Ⅲ. 시민불복종 _195
Ⅳ. 저항권 _207

제10장 법적 추론 215
Ⅰ. 법적 추론의 의의 _215
Ⅱ. 법적 추론의 기본모델로서 법적 삼단논법 _216
Ⅲ. 제1단계: 사실확정 _220
Ⅳ. 제2단계: 법규범 구체화 _229
Ⅴ. 제3단계: 사안적용 _233
Ⅵ. 전통적인 포섭이론의 한계와 법해석학에 의한 재구성 _234

제11장 미국의 법해석론 241
Ⅰ. 서론 _241
Ⅱ. 미국 법률해석론의 중요성 _242
Ⅲ. 미국의 법률해석론의 종류 _246
Ⅳ. 미국 법률해석론의 흐름 _251
Ⅴ. 의회와 법원의 관계에 관한 논쟁 _257
Ⅵ. 요약 및 결론 _262

제12장 독일의 법해석론 265
Ⅰ. 협의의 법해석과 법형성의 구분 _265
Ⅱ. 협의의 법해석 _266
Ⅲ. 법관의 법형성 _281

제13장 우리나라의 법해석론 291
Ⅰ. 도입글 _291
Ⅱ. 대법원의 법해석 일반론 _292
Ⅲ. 대법원 해석론의 구체적인 양상 _297

제14장 법과 젠더 319
Ⅰ. 법과 젠더의 법철학적 의의 _319
Ⅱ. 법과 젠더의 상호연관성 _320
Ⅲ. 여성의 정체성에 관한 논의 _324
Ⅳ. 젠더법학의 방향 _329
Ⅴ. 법과 젠더의 문제영역 _333

제15장 법과 생명윤리 343
Ⅰ. 현대 사회와 생명윤리 _343
Ⅱ. 생명윤리의 형성과 발전 _344
Ⅲ. 생명윤리에 대한 법적 접근 _347
Ⅳ. 생명윤리법 사건들 _349

제16장 법과 인공지능 359
Ⅰ. 지능정보사회와 인공지능의 도전 _359
Ⅱ. 인공지능의 의의 _360
Ⅲ. 인공지능의 위험 _361
Ⅳ. 인공지능에 대한 법적 통제 방식과 한계 _366
Ⅴ. 인공지능의 위험에 대한 법적 대응 방안 _373

색인 383

저자소개

김정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연세대학교 정법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학사 및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로스쿨 졸업(MLI & SJD)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로스쿨 방문교수 한국법철학회 회장 역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역임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한국의 법문화��, ��현대사회사상과 법�� 공저: ��현대법철학의 흐름��, ��응용법철학��, ��자유주의의 가치들��, Recent Transformation in Korean Law and Society 역서: ��근대사회에서의 법��, ��코드 2.0��, ��정치�� 논문: “푸꼬의 권력이해와 법,” “자유주의 법체계에 대한 구조적 분석” 외 다수
펼치기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법, 권리 등의 개념론, 권력비판, 미래법, 생명윤리법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법철학: 이론과 쟁점』(제3판, 2022, 공저), 『생명윤리와 법』(제4판, 2020,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형식적 정의론」(2002), 「자연주의적 자연법 이론의 가능성」(2017), 「이소노미아」(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최봉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학사 및 석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로스쿨 졸업(MLI & SJD) 한국법철학회 회장 역임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원장 역임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현대법철학: 영어권 법철학을 중심으로�� 공저: ��현대법철학의 흐름��, ��응용법철학�� 역서: ��미국법의 사이비 영웅 홈즈 평전�� 논문: “밀의 자유제한의 원칙들,” “사악한 법의 효력” 외 다수
펼치기
양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상돈 교수의 지도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태광그룹 일주학술문화재단의 장학금을 받고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11기).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사회철학자 하버마스의 제자 클라우스 귄터 교수의 지도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9월 1일부터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인공지능 기술을 비롯한 현대 과학 기술이 우리 사회와 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사회와 법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빅데이터와 인권』(2016), 『법과 진화론』(2016)(공저),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인공지능과 법』(2019)(공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보보호』(2019)(공저), 『공학법제』(2020)(공저),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머니즘』(2020)(공저),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2021)(공저), 『데이터와 법』(2021, 2023)(공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법이론』(2023)(공저), 『인공지능법』(2024)(공저), 『생성형 AI와 법』(2024)(공저), 『인공지능법학』(2025)이 있다.
펼치기
이계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원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학력 및 주요 경력 연세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학사 및 석사) 독일 뒤셀도르프대학교 법학과 석사 및 박사과정 졸업(법학석사, 법학박사) 독일 에를랑겐-뉘른베르크대학교 법철학 및 일반국가이론 연구소 방문학자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장 역임 현재 한국법철학회 총무이사 주요 저서 및 논문 저서: Die Struktur der juristischen Entscheidung aus konstruktivistischer Sicht 공저: ��법학방법론��, ��현대법사회학의 흐름��, Die Organisation des Verfassungsstaats 논문: “법학의 학문성에 대한 반성적 고찰,” “법관의 법형성의 체계구성에 관한 탐구”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373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