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양천수, 김현철, 송윤진, 심우민, 이동진, 이서형, 정채연, 주현경 (지은이)
박영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000원 -0% 0원
450원
14,550원 >
15,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1,500원
13,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91130338552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21-02-28

책 소개

법철학, 민법학, 형법학을 전공으로 하는 8명의 법학자들이 이 책으로 한데 모여 코로나 시대가 제기하는 법과 철학의 문제를 다루었다. 생명정치, 사회적 거리두기, 안전사회, 코로나 방역과 프라이버시, 혐오, 감시의 형사정책 등의 문제가 이 책에서 논의된다.

목차

제1장 코로나19 시대, 생명정치, 법철학_김현철 3

Ⅰ. 돌아보다, 일상의 균열 3
Ⅱ. 코로나19 시대, New Normal 4
Ⅲ. 거리두기(distancing)와 온택트(on-tact) 6
Ⅳ. 바이러스, 자본과 권력, 생명정치 9
Ⅴ. 위험의 상시화와 일상적 위기국가 15
Ⅵ. 법철학의 의미, 다시 돌아보다 17

제2장 코로나 사회와 사회적 거리두기_양천수 23

Ⅰ. 코로나와 일상의 변화 23
Ⅱ. 사회적 거리두기란? 24
1. 사회적 관계에 거리두기 / 24
2. 사회적 차원의 물리적 거리두기 / 25
Ⅲ. 사회적 거리두기의 문제들 26
1. 이론적 문제와 실천적 문제 / 26
2. 사회적 소통에 관한 문제 / 28
3. 친밀성의 위기와 생활세계의 변화 / 36
4. 그 밖의 문제 / 38
Ⅳ. 사회적 거리두기의 문제들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38
1. 사회를 새롭게 이해하기 / 38
2. 온라인 소통을 강화하고 보호하기 / 41
3. 혁신적 포용국가와 포용경제 / 41
4. 새로운 규제형식 모색하기 / 43
Ⅴ. 맺음말 43

제3장 현대 안전사회로서 코로나 사회_양천수 47

Ⅰ. 코로나와 안전 47
Ⅱ. 위험사회로서 현대사회 48
1. 위험사회 / 49
2. 위해와 위험 / 50
3. 위험사회에서 안전사회로 / 56
Ⅲ. 새로운 사회통제 패러다임으로서 안전사회 56
1. 사회적 조건에 의존하는 사회통제 / 57
2. 사회적 조건의 변화 / 60
3. 위험과 안전욕구의 증대 / 64
4. 사회통제 패러다임의 변화 / 68
5. 위험사회와 안전사회의 구별 / 79
Ⅳ. 코로나 사회는 안전사회인가? 82
1. 사회적 거리두기의 두 가지 의미 / 82
2. 사회적 거리두기와 ≪포함-배제≫ / 83

제4장 코로나19 방역과 프라이버시_이동진 87

Ⅰ. 들어가며 87
Ⅱ. 방역 관련 법과 프라이버시 89
1. 감염병예방과 프라이버시, 법 / 89
2. K-방역, 3T, 투명성 / 93
Ⅲ. 논란과 평가 97
1. 예방원칙과 동적 진화, 프라이버시 / 97
2. 감시·통제의 일반화·영속화에 대한 우려 / 104
Ⅳ. 나가며 107

제5장 코로나19와 혐오: 팬데믹의 역사를 통한 반성적 성찰_정채연 113

Ⅰ. 팬데믹과 혐오의 역사 113
1. 전염병에 대한 주술적 믿음과 혐오 / 114
2. ‘전염병 오리엔탈리즘’과 혐오 / 115
3. 소외된 타자와 전염병의 ‘연결짓기’를 통한 혐오 / 117
Ⅱ. 타자에 대한 혐오의 동인(動因)으로서 전염병 118
1. ‘질병’과 ‘환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과 혐오 / 118
2. ‘타자’로서 바이러스와 ‘낯선’ 이방인에 대한 적대 / 120
3. 팬데믹 사회에서 들추어진 ‘잠복된’ 혐오 / 121
Ⅲ. 반복된 역사로서 코로나19와 혐오의 시대 123
1. 감염자에 대한 도덕적 비난: ‘슈퍼전파자’로 낙인찍기 / 123
2. 경계 밖의 이방인에 대한 혐오: ‘영속적 외국인’으로서
아시아인 / 124
3. 잠재적 혐오의 표출: 우리 안의 ‘위험한 타자들’에 대한 혐오 / 126
Ⅳ. 코로나19와 재난 복원력, 그리고 ‘재난을 통한 배움’ 128

제6장 코로나 시대와 감시·감금의 형사정책_주현경 135

Ⅰ. 코로나19와 감시 135
1. 한국과 서구사회-코로나19 대유행 대응방법의 차이 / 135
2. 휴대전화와 안심밴드를 통한 전자감시 / 137
3. 감시의 형사정책 / 143
4. 감시에서 낙인으로-사회에서 배제되는 시민의 ‘적’ / 146
Ⅱ. 감금과 코로나19 149
1. 구금시설과 코로나19 / 150
2. 팬데믹 상황에서 수용시설의 문제 / 152
Ⅲ. 감시와 감금으로 귀결되는 사회는 안전한가? 154
Ⅳ. 글을 마치며 156

제7장 코로나와 펼침의 정치: 무지의 베일 뒤집기_이서형 161

Ⅰ. 국민건강보험을 왜 긍정적으로 평가할까? 161
Ⅱ. 무지의 베일 속에서 가상적 합의로 구축된 사회 질서 165
Ⅲ.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기존의 질서에 질문 제기하기 168
Ⅳ. 무지의 베일 새롭게 고찰하기: 왜 공개와 소통을 요구
하는가? 172
Ⅴ. 경계 없음과 펼침의 정치: 무지의 베일 뒤집기 179

제8장 팬데믹 시대,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_송윤진 187

Ⅰ. 머리말 187
Ⅱ.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와 그 다양한 기준 191
Ⅲ. 팬데믹 상황에서 의료자원의 공정한 분배를 위한 기본 원칙:
효율성, 형평성, 책무성 200
Ⅳ. 맺음말 205

제9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디지털 포용 입법정책_심우민 209

Ⅰ. 강요된 디지털 전환 209
Ⅱ. 디지털 포용과 이키텍처규제론 211
1. 디지털 포용의 의미 / 211
2. 종래 정보격차에 관한 관점 / 213
3. 아키텍처 규제론 / 216
4. 코로나19와 아키텍처 규제적 영향 / 220
5. 디지털 포용의 새로운 관점 / 222
Ⅲ. 입법정책적 디지털 포용 디자인 225
1. 정보격차와 지능정보화 / 225
2. 디지털 포용을 위한 입법 디자인 방향 / 230
3. 디지털 포용을 위한 입법의 주안점 / 233
Ⅳ. 디지털 전환을 넘어 포용으로 237

제10장 코로나 시대와 포용국가_양천수 241

Ⅰ. 코로나 사회와 배제 241
Ⅱ. 포용국가 243
1. 통합국가 / 243
2. 포용국가 / 244
Ⅲ. 포용국가 새롭게 이해하기 246
1. 역량이론과 결합된 포용국가 / 246
2. 포용국가와 보장국가의 연결 가능성 / 247

찾아보기 250

저자소개

김현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법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법, 권리 등의 개념론, 권력비판, 미래법, 생명윤리법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주요 저서로 『법철학: 이론과 쟁점』(제3판, 2022, 공저), 『생명윤리와 법』(제4판, 2020, 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형식적 정의론」(2002), 「자연주의적 자연법 이론의 가능성」(2017), 「이소노미아」(2018) 등이 있다.
펼치기
심우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로서 법(학)교육 관련 과목들을 중심으로 강의하며, 동 대학의 입법학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입법학에 관한 논문으로 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이후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으로 정보통신법제 업무를 담당해온 바 있다. 이와 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는 IT법학, 입법학 및 기초법학적 논제들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관련 저술로는 The Rationality and Justification of Legislation(공저, 2013), 입법학의 기본관점(2014), ICT 법체계 개선에 관한 입법학적 검토(2015), 인공지능의 발전과 알고리즘의 규제적 속성(2016), 인공지능과 법패러다임 변화 가능성(2017), 인공지능 시대의 입법학(2018), 데이터사이언스와 입법실무(2019), 20대 국회 정보통신 입법 동향 분석(2020), 디지털 전환과 사회갈등(2021) 등이 있다.
펼치기
양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상돈 교수의 지도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태광그룹 일주학술문화재단의 장학금을 받고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11기).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사회철학자 하버마스의 제자 클라우스 귄터 교수의 지도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9월 1일부터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인공지능 기술을 비롯한 현대 과학 기술이 우리 사회와 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사회와 법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빅데이터와 인권』(2016), 『법과 진화론』(2016)(공저),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인공지능과 법』(2019)(공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보보호』(2019)(공저), 『공학법제』(2020)(공저),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머니즘』(2020)(공저),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2021)(공저), 『데이터와 법』(2021, 2023)(공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법이론』(2023)(공저), 『인공지능법』(2024)(공저), 『생성형 AI와 법』(2024)(공저), 『인공지능법학』(2025)이 있다.
펼치기
정채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인문사회학부 대우부교수다. 고려대학교에서 법학사, 법학 석사,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뉴욕대학교(NYU) 로스쿨에서 LL.M.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뉴욕주 변호사다. 대법원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위원과 한국과학 기술원(KAIST) 미래전략대학원 연구조교수를 지냈다. 법철학, 법사회학, 법인류학 같은 학제 간 연구를 이론적 토양으로 해 법다원주의, 다문화주의, 관용 그리고 세계주의에 대한 기초법적 연구를 지속해 왔다. 최근에는 지능 정보 사회에서 인공지능과 지능로봇, 포스트휴먼, 블록체인 기술과 관련된 법 이론적 쟁점에 주목하고 있다. 저서로 『생성형 AI와 법』(공저, 2024), 『세일라 벤하비브』(2024),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공저, 2021), 『인공지능과 법』(공저, 2019),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 그리고 법』(공저, 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이동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판사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민법, 의료법 등을 연구, 강의하고 있다.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등 공저 20여 권, 논문 120여 편이 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서울대학교 법학박사 서울중앙지방법원·서울북부지방법원 판사 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민법주해[III]>, <주석민법[총칙2] 제5판>, <주석민법[채권각칙2] 제5판>, 그 외 논문 다수
펼치기
이서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법무법인 세승 변호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학전문대학원 전문석사와 일반대학원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제1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하고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선임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의료정보학회 법제이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미래의학 연구재단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 빅데이터, 인공지능 및 생명의료기술, 생명윤리 관련 법률 자문·소송과 학문적 연구를 함께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 등이 있고, 저술 논문으로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알 권리의 보장을 중심으로〉, 〈프라이버시 보호의 관점에서 개인정보 보호 법제 및 개정 방향에 관한 검토: 공·사 영역의 이분법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주현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법학석사를,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에서 법학박사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하며 형법, 형사소송법, 형사정책 등을 교육, 연구하고 있다. 형사법 관련 정책에 도입되는 과학기술의 활용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법정책, 자율주행 관련 법제, 인공지능 위험평가 프로그램 등을 다루는 연구를 진행하고 『인공지능과 법(공저)』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