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김규동 시선

김규동 시선

(초판본)

김규동 (지은이), 이혜진 (엮은이)
지만지(지식을만드는지식)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김규동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김규동 시선 (초판본)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30412290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4-04-25

책 소개

'지식을 만드는 지식 시선집'. 김규동 시선집. 전후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시인 김규동. 그는 당대 '우리'의 현실이 직면한 특수한 모순과 부조리를 날것 그대로 조명함으로써 현실을 직시하고 그 폐해를 극복해 가는 수단으로 삼고자 했다.

목차

≪나비와 광장≫
花河의 밤 ·····················3
戰爭과 나비 ····················6
뉴−스는 눈발처럼 휘날리고 ············8
검은 날개 ····················11
原色의 海岸에 피는 薔薇의 詩 ···········13
나비와 廣場 ···················16
不安의 速度 ···················18
밤의 階梯에서 ··················20
對位 ······················22
BOILER 事件의 眞狀 ···············24
葬送의 노래 ···················26
砲台가 있는 風景 ·················28
列車를 기다려서 ·················30
獻詞 ······················32
눈 나리는 밤의 詩 ················35
故鄕 ······················37
참으로 難解한 詩 ·················38
戰爭은 출렁이는 海峽처럼 ·············41
헤리콥타처럼 下降하는 POESIE는 우리들의 機關銃 陣地를 타고 ··················43
가을과 罪囚 ···················44

≪현대의 신화≫
危機를 담은 電車 ·················49
裸體 속을 뚫고 가는 無數한 嘔吐 ··········52
거리에서 흘러오는 숨소리는 ············54
내 가슴속에 機械가 ················56
除夜의 詩 ····················58
사라센 幻想 ···················61
沈黙의 소리 ···················63
七月의 노래 ···················65
風景으로 代身하는 診斷書 ············68
軍 墓地 ·····················70

≪죽음 속의 영웅≫
죽음 속의 英雄 ··················75
한 時代 ·····················86
運動 ······················88
寫生 ······················90
세계의 낮과 밤에 ·················91
反오브제 ····················94
달리는 線 ····················98
3·1 萬歲 ···················103
四月의 어머니 ··················105
북에서 온 어머님 편지 ··············107
선회하는 視點 ··················108
不在의 論理 ··················110
흐르는 生命 ···················112
溶解되어 가는 立像 ···············114
倦怠 ······················116
運命 ······················119
肉體의 物理 ··················121
아버지의 植木 ··················123
서글픈 武器 ···················125

≪깨끗한 희망≫
노래 ······················131
修身齊家 ····················133
통일의 얼굴 ···················137
分斷 ······················141

≪하나의 세상≫
豆滿江 ·····················145
하나의 세상 ···················147
고호의 구두 ···················150

≪오늘 밤 기러기 떼는≫
통일의 빛살 ···················155
돌아가야 하리 ··················158
새 세상 ·····················160
시여, 정신이여 ·················163
마지막 도시 ···················165
신년의 편지 ···················167
통일의 아침에 축복을 ··············169
빛살 속에서 ···················171
하산하신 님께 ··················173
우리 가야 할 길 ·················175


≪생명의 노래≫
세계 속의 우리 지도 ···············181
용광로에 불을 ··················183
그 자리 ·····················186
고백 ······················188
남북의 새 아침 ·················191
해방의 날 ····················193
코리아 일기 ···················196
김기림 ·····················198

≪길은 멀어도≫
남북 시인 회담 날에 ···············203

≪느릅나무에게≫
이북에 내리는 눈 ················209
존재와 말 ····················211
고향 가는 길 ··················213
다시 고향에 ···················215
그것도 현실은 현실이다 ·············217
용기 ······················220
모순의 황제 ···················222
운명 앞에서 ···················230
죽여 주옵소서 ··················233
하늘 꼭대기에 닿는 것은 깃대뿐이냐 ········235
끌려가는 삶 ···················241
플라워 다방 ···················243
악의 시, 피눈물의 시 ···············249

≪김규동 시전집≫
환영의 거리 ···················255
정지용의 서울 나들이 ··············258
알 수 없는 시 불행한 시 ·············259
강물이 가고 있소 ················261
지하철은 가고 ··················263

해설 ······················265
지은이에 대해 ··················281
엮은이에 대해 ··················288

저자소개

김규동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5년 2월 13일 함경북도 종성에서 태어났다. 1940년 3월 16세에 함경북도 경성의 경성고보에 입학, 이때 이 학교 영어 교사로 근무하고 있던 김기림을 만났다. 1944년 20세에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그해 2월 경성제대 예과(을)에 응시했으나 낙방했다. 그 후 의사인 매형에게 해부학, 생리학, 내과학, 외과학, 임상학, 산과학, 약물학 등의 의학서를 빌려 의사 검정시험을 준비했다. 같은 해 5월 연변의대 학장이었던 그의 친척 김광찬의 도움으로 연변의대 2학년 과정을 청강생 자격으로 수학할 기회를 얻었다. 1945년 함경북도 회령의 삼성병원(三聖病院)에서 임상학과 진찰법 등을 배우다 해방 후 ‘청진 문학 동맹’ 소속의 소설가 현경준의 지도로 농민 연극 운동에 참여하면서 소인극 <춘향전>의 연출을 맡았으며, ‘민주 청년 동맹’에서 맹활약하면서 두만강 일대에서 독보회(讀報會)와 시국 강연회, 마르크스 레닌주의 강좌 등을 열기도 했다. 1947년 연변의대 청강생 생활을 청산하고 본격적으로 문학을 공부해 보자는 생각으로 그해 1월 평양으로 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과 2학년에 편입했다. 11월 시인 박세영이 심사위원장으로 있던 ‘문학 동맹’의 가입 심사에서 김기림의 제자라는 사실이 문제가 되어 가입이 무산되었다. 이때 ≪대학신문≫ 창간호에 처음으로 습작시 <아침의 그라운드>를 발표했다. 1948년 2월 읽을 책도 구하고 김기림도 만나 봐야겠다는 심산으로, 김일성종합대학 의학부 3학년에 재학 중이던 아우 김규천이 준 노잣돈을 들고 단신으로 월남했다. 그해 3월 당시 중앙대 교수로 있던 김기림의 주선으로 경성상공중학(중대부고의 전신) 교사로 부임하면서 남한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김일성종합대학을 중퇴한 사실을 오랫동안 비밀에 부쳤다. 이 무렵 김기림, 김광균, 장만영 등과 함께 모더니즘 시에 몰두하기 시작했고, 시 <강>이 ≪예술조선≫ 신춘문예에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했다. 1950년 6·25전쟁의 발발로 경성상공중학 교사직을 사퇴하고 부산에서 피난 생활을 하던 중 박인환, 조향, 김경린, 김차영, 이봉래 등과 ‘후반기’ 동인을 결성하고 모더니즘 문학 운동을 전개했다. 1955년 ≪한국일보≫에 시 <우리는 살리라>가, ≪조선일보≫에 <포대가 있는 풍경>이 각각 신춘문예에 당선되었다. 같은 해 10월 20일 김규동의 첫 시집 ≪나비와 광장≫(산호장)이 출간되었다. 1957년 11월 ≪한국일보≫를 사직하고 12월부터 도서출판 삼중당의 편집 주간으로 근무했다. 이 무렵 출판사의 호황으로 잠시 생활의 안정을 얻게 되면서 글을 많이 쓸 수 있었다. 1958년 12월 20일 두 번째 시집 ≪현대의 신화≫(덕연문화사)가 출간되었고, 1959년 7월 30일에 시론집 ≪새로운 시론≫(산호장)이 간행되었다. 그해 7월 삼중당을 사직한 뒤 8월에 곧바로 한일출판사를 차렸다. 편집 주간으로는 시인 임진수를, 편집장에 박상집을 등용해 함께 일하면서 대중 잡지와 단행본 등을 출간했다. 1962년 4월 20일 수필집 ≪지폐와 피아노≫(한일출판사)를 출간하고, 12월 25일 평론집 ≪지성과 고독의 문학≫(한일출판사)을 간행했다. 출판사 경영이 호황을 맞자 1966년 사원 중심 체제로 경영을 일임한 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 독서와 번역 작업에 매진했다. 수년에 걸쳐 하이데거 전집과 야스퍼스, 릴케, 카뮈, 사르트르 등을 통독하면서 야스퍼스의 ≪공자와 노자≫를 번역하기도 했다. 1972년 3월 1일 ≪현대시의 연구≫(한일출판사) 출간과 함께 10여 년간 멈추었던 작품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1974년 11월 27일 윤보선, 김대중, 김영삼 중심의 유신 독재에 반대하는 민주회복국민회의의 ‘민주회복국민선언대회’에 이헌구, 김정한, 고은, 김병걸, 백낙청, 김윤수 등과 함께 참가했다. 1975년 3월 15일 자유실천문인협회의 ‘165인 문인 선언’ 이후 자유실천문인협회 고문에 추대되었다. 그해 5월 15일 한일출판사에서 간행된 김철의 ≪오늘의 민족 노선≫이 북한을 찬양 고무했다는 이유로 중앙정보부에 연행되어 일주일간 심문을 받고 책 2000부를 압수당했다. 1976년 3월 시인 최정인과 처남 강덕주에게 한일출판사를 넘겨주면서 출판사 경영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1977년 8월 10일 시집 ≪죽음 속의 영웅≫(근역서재)을 출간했다. 1978년 3월부터 야스퍼스의 ≪실천철학≫을 번역하기 시작했고, 헤겔의 ≪역사철학≫과 ≪대논리학≫을 정독하는 등 독서에 몰두했다. 1979년 6월 미국의 카터 대통령 방한 반대 데모를 벌이면서 문동환, 고은, 김병걸, 박태순, 안재웅, 이석표 등과 함께 열흘 구류 처분을 받았다. 8월 24일 내외 기자회견에서 자유실천문인협회를 대표해 박태순이 작성한 <문학인 선언>을 낭독했다. 그해 10월 15일 평론집 ≪어두운 시대의 마지막 언어≫(백미사)를 출간했다. 1980년 <지식인 134인 시국 선언>에 참가하고, 1984년 ‘민주통일국민회의’ 창립 대회에서 중앙의원으로 피선되었으며 그해 12월 자유실천문인협회가 확대 개편되면서 다시 고문으로 추대되는 등 시국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1985년 3월 10일 회갑 기념 시선집 ≪깨끗한 희망≫(창작과비평사)을 출간했다. 1987년 1월 28일에 산문집 ≪어머님 전상서≫(한길사)를, 11월 10일에 시선집 ≪하나의 세상≫(자유문학사)을 출간했다. 1988년 3월 64세의 나이에 시를 목각에 새기는 시각[詩刻] 작업을 시작, 도연명, 두보, 이백, 백거이 등의 작품을 완성하면서 종종 작품전을 열기도 했다. 1989년 5월 31일 시집 ≪오늘 밤 기러기 떼는≫(동광출판사)을 출간했으며, 민족문학작가회의와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의 고문을 맡았다. 1991년 9월 15일 수필집 ≪어머니 지금 몇 시인가요≫(도서출판 나루)와 10월 5일 시집 ≪생명의 노래≫(한길사), 그리고 10월 30일에 시선집 ≪길은 멀어도≫(미래사)가 출간되었다. 1994년 5월 28일 산문집 ≪시인의 빈손: 어느 모더니스트의 변신≫(소담출판사)을 출간했다. 1996년 10월 19일 은관문화훈장을 받았다. 2002년 11월 22일 폐기종으로 처음 입원을 한 뒤 수년간 입퇴원을 반복했다. 2005년 4월 20일 시집 ≪느릅나무에게≫(창비)를 출간했다. 2006년 11월 29일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2011년 2월 18일 60여 년간 써 온 시를 모아 ≪김규동 시전집≫(창비)을 출간하고 같은 해 9월 28일 폐렴이 악화되면서 향년 87세의 일기로 사망했다.
펼치기
이혜진 (엮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민족문제연구소와 도쿄외국어대학 총합국제학연구원 및 도쿄대학 총합문화연구과에서 연구원으로 공부했다. 2013년 제6회 인천문화재단 플랫폼 음악비평상에 당선되면서 대중음악평론가로 활동하고 있으며, 2020년 현재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부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저서로는 《사상으로서의 조선문학: 전시체제기(1937~1945) 한국문학의 윤리》와 《1990년대 문화키워드》(공저)가 있고, 《최재서 일본어 소설집》, 《프롤레타리아문학과 그 시대》(공역), 《자유란 무엇인가: 벌린, 아렌트, 푸코의 자유개념을 넘어》(공역), 《화폐인문학: 괴테에서 데리다까지》(공역)를 번역했다. 주요 논문으로는 〈제국-냉전-신냉전의 동아시아 문학과 문학사적 과제〉, 〈제국의 형이상학과 식민지 공공성의 재구성〉, 〈문인 동원의 병참학〉, 〈1920년대 자연주의 문학의 메타내러티브〉, 〈朝鮮イデオロギ-論: 植民地末期朝鮮の歷史哲學〉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나비와 廣場

眩氣症 나는 滑走路의
最後의 絶頂에서 흰 나비는
突進의 方向을 잊어버리고
피 묻은 肉體의 破片들을 굽어본다.

機械처럼 灼熱한 작은 心臟을 추길
한 목음 샘물도 없는 虛妄한 廣場에서
어린 나비의 眼膜을 遮斷하는 건
透明한 光線의 바다뿐이었기에-

眞空의 海岸에서처럼 寡黙한 墓地 사이사이
숨 가쁜 Z機의 白線과 移動하는 季節 속-
불길처럼 일어나는 燐光의 潮水에 밀려
이제 흰 나비는 말없이 이즈러진 날개를 파다거린다.

하−얀 未來의 어느 地点에
아름다운 領土는 기다리고 있는 것인가
푸르른 滑走路의 어느 地標에
華麗한 希望은 피고 있는 것일까.

神도 奇蹟도 이미
昇天하여 버린 지 오랜 流域-
그 어느 마지막 終点을 向하여 흰 나비는
또 한 번 스스로의 神話와 더부러 對決하여 본다.


四月의 어머니

이 허전한 마음은
지옥의 入口같이 스산한
현실을 살아서 헤매고 있다는
유일한 증거다
아, 들에는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가련한 生物같이 지친
인간의 머리 위를
한 떨기 목련이
초롱불 켜 들고 머뭇거릴 뿐이다
흰 구름 끝없이 흘러
봄풀만 새로운데
어머닌 작은 길을 돌아
또 들에 나선다
책가방을 들고
어머니를 부르며 뛰어들던 네가
내 기억 속에서
웃고 있구나
괴로울 때도 슬플 때도
엄마를 불러 다오
네가 사는 곳엔
人情도 빛도 많아서
아, 빈 들에서 너를 만나면
그저 눈물이 앞을 가려
우린 무슨 말을 하여야 옳으냐
自由 그리고 民主主義
바로 너희들이 외치던 소리는
넓은 하늘가에 그대로 남아 있는데
총탄에 뚫린 네 가슴의 상처
아 내 흰 저고리로 가리우마
하지만 이 지구의 어딘가에
네가 부르는 소리 남아 있을 것만 같아
빈 들을 달리는
어머니의 마음을
革命의 날이여
4·19
너는 잊어선 안 된다


하나의 세상

쌀 반 되
시금치 한 단
두부 한 모
고추장 반 숟갈
애호박 한 개
일금 1,630원
둘이 먹을 밥을 짓는다
밥이 끓는 소리를 들으며
비로소 내가 나를 찬찬히 돌이켜 본다
공부도 해 봤고
홀어머님께 불효도 저질렀으며
죽을 고비 몇 번 넘기고
일도 했다
두 눈이 침침한 이 나이 되도록
고향 땅엔 종내 못 가고
40년의 길동무 위해
밥을 한다
젊어서는
발레리도 읽고 릴케와 에세닌도 애독했으나
정신 분석이니
쉬르레알리즘 선언 따위도 흥미로왔으나
지금은
쌀을 앉히고 불을 켜
군말 없이 밥 짓는 일에 애정을 바친다
그리고 생각한다
고문과 분신과 한 맺힌 싸움으로
막내아이보다 어린 젊은것들이 죽고
국토의 분단은 그대로인 채
장차 무슨 일이 벌어질지 알 수 없는 나날 속에서
시인은
무엇을 해야 할까를 곰곰 생각해 본다
헛된 상상력은 허공중을 날고
두려움은 무겁게 쌓여
핵폭탄 깔린 땅에서
밥이 끓는 소리를 들으면
이것만은 믿을 수 있는 말을 전해 주는데
남도 북도 없는 하나의 세상
그것은 아직도 아득히 머나
간소한 저녁상을 대하고 앉아
따뜻한 밥을 먹고 있으면
갑자기 무엇인가 다가와 있음을 느낀다
가냘프게 그러나 또렷이
내 혈관 속에
그 무슨 커다란 변혁이
일어나고 있음을 깨닫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