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34841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4-11-27
책 소개
목차
추천사: PR 산학의 선순환
머리말: PR 전문직의 삼각형
01 PR 산업 발전을 위한 선도적 PR 커뮤니케이션 활동 체계 구축 방안
어느 PR 기업 대표의 이야기
한국 PR 기업의 역사와 현실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
요약과 함의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2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배경 이론
연구 배경과 연구 방법
결론과 논의
제언
요약
생각해 볼 문제
더 살펴보면 좋은 자료
참고문헌
03 PR 전문화 함양을 위한 윤리 교육과 방향에 대한 PR 전공 대학
교육자와 PR 실무자 사이의 인식
이론적 배경과 연구 문제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주장과 제언
생각해 볼 문제
더 살펴보면 좋은 자료
참고문헌
04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연구의 개요
선행 연구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참고문헌
05 PR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적 당위성과 실천 방향 모색
윤리적 PR 모델의 당위성
PR 윤리 코드의 효용성과 교육
현재 PR 윤리코드의 문제점
프로페셔널 책임: ‘Public’ Relations & 사회적 양심가
전략 경영 관점과 확장된 공중
공중 양심가와 대화
윤리적 실천 모델 제안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부록 2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저자소개
책속에서
PR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PR 기업들 스스로가 자신의 경영 상황을 공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구축하는 윤리적 모범을 보이는 것이 정상적 PR 활동의 전제 조건이다.
_ <1장 PR 산업 발전을 위한 선도적 PR 커뮤니케이션 활동 체계 구축 방안> 중에서
윤리에 대한 탐구는 PR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초 평가이며, 추가적인 혹은 지속적인 PR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_ <2장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중에서
과거의 PR는 불균형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비윤리적인 업무 수행에 따라 PR 자체의 평판을 구축하는 데에는 실패해 온 것이 사실이다.
_ <3장 PR 전문화 함양을 위한 윤리 교육과 방향에 대한 PR 전공 대학 교육자와 PR 실무자 사이의 인식> 중에서
현재 대중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홍보 활동의 의미는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와 노출 횟수 등에 의한 성과 판단 그 이상을 의미하며, 추가적이고 적극적인 노력과 활동을 총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임이 분명하다.
_ < 4장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중에서
PR 윤리에 대한 기준이나 지침을 세우려는 노력에 비해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는 이유, 또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실천이나 방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_ <5장 PR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적 당위성과 실천 방향 모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