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

홍문기, 김수연, 김대욱, 정원준, 유현재, 최홍림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1,150원
21,8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400원 -10% 920원 15,640원 >

책 이미지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언론정보학
· ISBN : 9791130434841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4-11-27

책 소개

우리 사회에서 PR인은 전문직으로 인정받고 있나? 그렇지 못하다.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PR 전문직의 삼각형이다. 그것이 무엇인가? 리더십, 윤리의식, 보상체계다. 한국PR학회에서 PR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PR인의 리더십과 윤리의식을 주제로 연구를 진행했다.

목차

추천사: PR 산학의 선순환
머리말: PR 전문직의 삼각형

01 PR 산업 발전을 위한 선도적 PR 커뮤니케이션 활동 체계 구축 방안
어느 PR 기업 대표의 이야기
한국 PR 기업의 역사와 현실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
요약과 함의
생각해 볼 문제
참고문헌

02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배경 이론
연구 배경과 연구 방법
결론과 논의
제언
요약
생각해 볼 문제
더 살펴보면 좋은 자료
참고문헌

03 PR 전문화 함양을 위한 윤리 교육과 방향에 대한 PR 전공 대학
교육자와 PR 실무자 사이의 인식
이론적 배경과 연구 문제
연구 문제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주장과 제언
생각해 볼 문제
더 살펴보면 좋은 자료
참고문헌

04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연구의 개요
선행 연구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참고문헌

05 PR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적 당위성과 실천 방향 모색
윤리적 PR 모델의 당위성
PR 윤리 코드의 효용성과 교육
현재 PR 윤리코드의 문제점
프로페셔널 책임: ‘Public’ Relations & 사회적 양심가
전략 경영 관점과 확장된 공중
공중 양심가와 대화
윤리적 실천 모델 제안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부록 2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저자소개

김수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대학 신문방송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을 전공하였고, 미국 조지아 대학교(UGA)에서 PR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플로리다 대학교(UF)에서 PR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최근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위기커뮤니케이션, ESG, 그린워싱 등이다. 한국PR학회의 『PR연구』의 편집위원을 역임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은 , , <한국언론학보>, , <광고홍보학보>, <광고PR실학 연구> 등에 게재되었다. 이메일: sooyk@sogang.ac.kr
펼치기
유현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금강기획과 제일기획에서 카피라이터로 7년간 광고를 만들었으며, 그간 쌓아온 거의 모든 것을 태평양에 훅 하고 날리며 홀연히 유학을 떠나 미국 조지아대학 매스컴 스쿨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루이지애나 주립대학에서 3년간 교수로 일한 다음, 다시 고국으로 돌아와 이제 9년째 봄을 맞고 있다. 평생 “Why Not?” 스피릿으로 꽤나 저지르며 살아왔지만, 여전히 뭔가 저지를 기회를 넘보고 있다.
펼치기
유현재의 다른 책 >
김대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플로리다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텍사스테크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단국대학교, 세종대학교 등에서 PR 관련 전공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직-공중 관계성을 기반으로 하는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CSR), PR 활동의 효과성 측정 등이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actices and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Public relations vs. marketing educators’ perspectives에 관한 석사 논문으로 ICA(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에서 그루닉 석사논문상을, Exploring the impact of internal public relations practices on employee participation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Social identity perspectives in organizational contexts에 관한 박사 논문으로 ICA에서 그루닉 박사논문상을 받았다. 2013년에는 “한국과 미국의 PR 연구 경향 분석: ≪홍보학연구≫와 JPRR 게재 논문에 대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한국PR학회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저서로는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2014)이 있다.
펼치기
정원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PR학 전공 교수이다. 연세대학교(B.S.), Illinois State University(M.A.) 그리고 Purdue Univers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학과에서 PR학 전공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University of Louisiana에서 커뮤니케이션학과 부교수를 역임하였다. 세부 연구 분야는 국정 PR, 정부·정책 PR, 빅데이터 분석 기반 공공PR, 투자자 관계(IR), 지역 관계, 이슈·위기·쟁점·갈등 관리, 국제 PR 등이다. 저서로『디지털 시대의 PR학신론』(공저, 학 지사, 2021),『빅데이터의 분석 방법과 활용』(공저, 학지사, 2020),『광고홍보 교육의 현재와 미래』(공저, 한경사, 2019),『디지털 사회와 PR 윤리』(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8),『정책 PR론』(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공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등이 있고, 국내외 다수의 저널에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펼치기
최홍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다. 미국아이오와대학교에서 PR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프레인앤리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저서로는 『공공소통전략』(2015), 『PR 전문직의 리더십과 윤리의식』(2014), 『한국PR기업의 역사와 성공사례』(2009)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PR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PR 기업들 스스로가 자신의 경영 상황을 공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영역을 구축하는 윤리적 모범을 보이는 것이 정상적 PR 활동의 전제 조건이다.
_ <1장 PR 산업 발전을 위한 선도적 PR 커뮤니케이션 활동 체계 구축 방안> 중에서

윤리에 대한 탐구는 PR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기초 평가이며, 추가적인 혹은 지속적인 PR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토대를 마련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_ <2장 국내 PR 실무자들의 윤리 의식 제고를 위한 우선 요인 논의> 중에서

과거의 PR는 불균형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비윤리적인 업무 수행에 따라 PR 자체의 평판을 구축하는 데에는 실패해 온 것이 사실이다.
_ <3장 PR 전문화 함양을 위한 윤리 교육과 방향에 대한 PR 전공 대학 교육자와 PR 실무자 사이의 인식> 중에서

현재 대중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홍보 활동의 의미는 보도자료 작성 및 배포와 노출 횟수 등에 의한 성과 판단 그 이상을 의미하며, 추가적이고 적극적인 노력과 활동을 총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임이 분명하다.
_ < 4장 PR 대행사 선정 평가 기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중에서

PR 윤리에 대한 기준이나 지침을 세우려는 노력에 비해 윤리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하는 이유, 또는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 실천이나 방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_ <5장 PR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적 당위성과 실천 방향 모색> 중에서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34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