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유학기제,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 탐색

자유학기제,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 탐색

박길자, 최상희, 이은희, 곽선근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000원 -0% 0원
690원
22,3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자유학기제,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 탐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유학기제, 미디어를 활용한 진로 탐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직업교육/사회교육
· ISBN : 979113043701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15-05-25

책 소개

2016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한 미디어활용교육(MIE: Media In Education) 가이드북으로 ‘실전 중심’ 자유학기제 교재다. 각 프로그램의 자세한 안내와 활용사례를 실어 수업에 바로 활용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01 왜 자유학기제인가
1. 자유학기제가 필요한 까닭
2. 자유학기제의 운영 방향
3. ‘꿈 · 끼 · 꾀’를 찾아가는 MIE 활동

02 진로 탐색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1. 진로 탐색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체계
2. 진로적성검사를 활용한 ‘내 꿈 찾기 프로젝트’
3. NIE를 통한 진로 탐구
4. TIE를 통한 진로 탐구
5. BIE를 통한 진로 탐구
6. 진로 체험 활동: 인턴 체험 활동

03 학생 선택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1. 학생 선택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체계
2. 행복한 나 발견
3. 끼, 행복의 첫걸음
4. 깡, 열정 · 의지와 용기
5. 끈, 사람과 사람 사이
6. 꾀, 삶의 지혜 쌓기
7. 꼴, 내가 만들어 가는 얼굴
8. 꾼, 나도 ○○ 전문가
9. 꿈을 담은 자료, 꿈을 닮는 자신(꿈담자, 꿈닮자)
10. 나는 융합형 인재?!
11. 무한 도전자의 필수, 역경지수
12. 세계 속 우리, 우리 속 세계

04 나의 진로 ‘생각과 표현’: 읽기와 글쓰기 연습
1. ‘읽는다’는 것
2. ‘쓴다’는 것
3. 신문과 연계한 글쓰기
4. 성공적인 인터뷰 요령
5. 성격별 진로 탐색 유형

참고 문헌

저자소개

박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교육나눔연구소 이사 (전) 대구대학교 겸임교수(교육학박사), 고등학교 수석교사, ‘한국사회의 이해’ 교과서 집필 위원장, 교육과정·수업·평가 일관성 지원단 단장, 실용 경제 수업 콘텐츠 개발 연구 책임자 저서: 생성형 AI 기반 CBL 수업의 이해와 실제(공저) 등 총 13권(2025월 4월 기준)
펼치기
최상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경향신문사 편집국 부장, 한국신문협회 NIE 한국위원회 위원 (전) 경인교대 겸임교수, 인하대 겸임교수,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학종합평가 평가위원 저서: 디지털시대 NIE 이해와 활용, 교과서에도 실린 나만의 메모짱 등 총 66권(2025월 4월 기준)
펼치기
이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수영중학교 교사다.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국어교육학(석사)을 전공했다. 2010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NIE 수업사례 공모전’ 입상, 2010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부산일보≫ ‘NIE 코너’ 공동 운영,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포털 ‘포미(For me)’에서 e-NIE 튜터 등의 활동을 했다.
펼치기
곽선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조형예술고등학교 영어교사이며, 2014학년도 부산국제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담당자다.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영어교육학을 전공했다. 2010년 9월부터 2014년 2월까지 ≪부산일보≫ ‘NIE 코너’를 공동 운영했으며,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포털 ‘포미(For me)’에서 e-NIE 튜터로 활동하면서 영어 신문 읽기 자료를 제작했다. 2010년과 2014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NIE 수업사례 공모전’에서 입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미래학 연구지 ≪트렌즈(Trends)≫에서 출판한 <10년 후 부의 미래>란 책에서 세계적인 석학들은, 제4의 물결은 ‘융합의 시대’로 서로 다른 분야가 융합해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세상이 될 것이라 예견했다. 앞으로 다가올 시대는 지식 노마드 시대로서 학문과 학문, 업계와 업계의 경계가 사라지고 상생을 위해 하나로 융합되는 시대가 될 것이라 했다. 이러한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학생들의 고등사고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자유학기제의 운영이 중요해진다.
-‘01 왜 자유학기제인가’ 중에서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에서 실시한 진로 활동의 내용은 ‘진로와 직업, 진로 프로그램, 진로 체험의 날 운영’ 등이다. 여기에서는 크게 진로 탐색, 진로 탐구, 진로 체험의 3영역을 단계별로 진행한다. 먼저 진로 탐색 영역은 진로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해 진로 탐색하기로 마무리한다. 진로 탐구 영역은 진로 및 직업 계획을 세우고, 이에 따라 영상·신문·독서를 활용한 진로 탐구 및 토론 활동을 한다. 마지막으로 진로 체험 영역은 인턴 체험 활동 계획을 세워 실천하고 보고서를 쓰고 반성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02 진로 탐색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중에서

최근 유엔의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덴마크가 2년 연속 행복지수 1위를 차지한 반면 우리나라는 하위권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의 이유로 든 것들은 너무 크지도 않고 복잡하지도 않고 항상 누릴 수 있었던 것들도 아니었다. 좌절했던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성취한 것, 누구나 쉽게 가까이 접하고 있고 느낄 수 있는 평범한 일상의 모든 것들이 행복 요소임을 안다면, 우리의 행복 순위는 다르지 않을까? ‘행복한 나 발견’ 활동의 첫 단계는 일상의 관심에서 시작된다. 일상 속 행복을 떠올리게 하는 물건, 경험, 사람과 그에 담긴 의미를 생각하고 표현해 보는 경험 그 자체에 행복 요소가 있음을 알게 되는 기회가 된다. 일상의 관심에 이어 사람들의 삶을 담아내는 신문 기사 속에서 자신의 흥미를 발견하고, 익숙했던 관념이나 상황에 대한 발상의 전환으로 생각 뒤집기가 이어진다.
-‘03 학생 선택 중점 모형 프로그램 개발’ 중에서

글쓰기 훈련의 방법과 교재는 다양하다. 이 가운데 신문에서 글쓰기 교재로 독자투고를 들 수 있다. 독자투고는 짧은 글 속에서 의사전달방법과 글의 구조를 익히는 데 훌륭한 교본이다. 신문의 ‘독자투고’란은 독자들의 주장이나 견해를 밝히는 공간이다. 생활상의 불편, 애환부터 사회의 중요 쟁점까지 독자들의 다양한 주장과 의견이 교환되는 지면이다. 독자의 좋은 의견은 사회 변화에 일조하기도 하고 정책에 반영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독자투고’란은 여론의 광장, 대화와 토론의 장(場)으로 불린다. 또한 여러 가지 사안이 등장하고 다양한 주장과 견해가 나와 사회현상에 대한 간접경험과 이해를 돕기도 한다.
-‘04 나의 진로 ‘생각과 표현’: 읽기와 글쓰기 연습’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