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광고/홍보
· ISBN : 9791130446820
· 쪽수 : 106쪽
· 출판일 : 2016-10-15
책 소개
목차
01 통합광고효과의 필요성
02 통합광고효과 측정의 역사
03 통합광고효과 관련 단체
04 통합광고효과 측정 기술
05 통합광고효과 모델
06 해외 사례 1: 프로젝트 블루프린트
07 해외 사례 2: XCR
08 국내 사례 1: CIM
09 국내 사례 2: MPM
10 통합광고효과의 활용과 향후 전망
책속에서
기획 단계에서부터 복수의 미디어를 조합해 통합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기대하며 광고를 동시에 집행하는 것을 크로스미디어 광고라고 부르며, 이러한 크로스미디어 광고는 단순히 반복적인 노출만이 아니라 각 미디어 간의 특성을 상호 보완해 시너지 효과를 목표로 한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의 중요도가 높아짐에 따라 TV와 디지털 미디어의 통합적인 광고효과 측정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통합광고효과의 필요성” 중에서
싱글소스패널 데이터는 소비자 패널 구축과 관리에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대규모 패널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경우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TV 시청률 조사회사인 닐슨과 TNMS가 TV와 PC, 모바일 이용자로 구성된 3스크린 싱글소스패널을 구축하고 있다. 2013년에 3스크린 싱글소스패널이 구축되기 시작했으며 2016년 기준 패널 규모가 약 2000명에 근접하고 있다.
“통합광고효과 측정 기술” 중에서
향후에는 통합광고효과 측정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단일 회사가 주관하기보다는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업계 표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통용 가능한 표준안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고 통합광고효과 측정을 위해 각 분야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모바일 광고 분야의 측정 방법과 기술에 대한 활발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통합광고효과의 활용과 향후 전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