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37238954
· 쪽수 : 681쪽
· 출판일 : 2021-03-09
목차
머리말 / v
xi
여 는 장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2
2. 연구의 기본 명제•가설 3
3. 연구의 과제 4
4. 연구방법 8
제 4 부 하위맥락 구성부문으로서의 고려국가
제 11 장 고려의 '황제•국왕'으로서의 국가
1. 황제•국왕으로서의 고려의 국가 11
(1) 고려의 국왕으로서의 국가의 개요 / 11
(2) 고려 군주의 지위: 황제에서 외왕내제로 그리고 후왕(충왕, 제후)에서 황제로의 변환 / 12
(3) 국왕의 왕위 계승 방식: 승계, 시해, 정변, 강제 퇴위, 강제 복위 등 / 14
(4) 국왕의 재위 기간과 통치능력 및 국가의 생존능력 / 16
(5) 국왕의 생존능력과 부인 및 자녀의 숫자 / 17
(6) 국왕의 계보와 국왕의 생존능력 / 18
(7) 고려시대 국왕의 생존능력과 국가의 기승전결 변동 / 24
(8) 종합 / 26
2. 국왕의 통치기간과 통치능력 27
(1) 조선시대 국왕의 재위기간과 통치능력•생존능력의 상관성 / 27
(2) 국왕의 생존능력과 통치능력 / 30
3. 고려 건국 과정에서의 국왕들의 역할과 특성 31
(1) 국가로서의 국왕 / 31
(2) 변방 호족 출신 장군에서 전쟁 영웅으로 등극한 왕건 / 32
(3) 고려 국가발전 과정의 기•승•전•결에 대한 시대 구분 / 44
4. 고려 기의 단계와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역대 국왕들의 역할 45
(1) 태조 왕건의 황제국가 고려 건국 / 45
(2) 왕자의 난과 왕규의 난: 혜종•정종시대 / 54
(3) 광종의 황제권 확립과 개혁정치 / 60
(4) 권력분산과 전시과를 시행한 경종 / 67
(5) 성종의 중앙집권체제•지방행정체제 확립과 조화•균형의 정치 / 68
(6) 현종, 황제제도의 부활과 후대 안정기의 기틀 마련 / 72
5. 고려의 발전 78
(1) 고려 황금시대를 이끈 문종 / 78
(2) 12세기 부국강병을 실험한 황제 숙종과 예종 / 82
(3) 황제권 지키기에 지친 불행한 황제 인종과 의종 / 85
6. 고려 국가발전의 전의 단계와 권력을 빼앗긴 허울뿐인 황제들: 항몽•자주운동
(1) 무신정권의 허울뿐인 국왕 명종 / 87
(2) 최충헌 형제가 실권을 장악해 명종 폐위 후 추대한 신종 / 88
(3) 무신정권의 실권자 최충헌 살해 실패 후 딸을 바치고도 무고로 죽게 된 희종 / 89
(4) 최충헌에 의해 태자에서 폐위당했다가 국왕 즉위 후 재위 2년에 그친 강종 / 89
(5) 강화천도와 최씨 정권 몰락으로 왕권을 회복시킨 파란만장했던 황제 고종 / 89
(6) 원 볼모에서 즉위했다 폐위•복위를 반복하며 왕정복고를 이룬 원종 / 90
7. 고려 국가발전의 결의 단계 전기와 원간섭기의 외왕내제들 91
(1) 외왕내제의 강력한 충렬왕 / 91
(2) 충선왕, 원제국 황실에 머물며 심양왕과 고려왕을 겸한 외왕내제 / 94
(3) 심양왕 왕고와 왕위를 다투다 충혜왕에 양위하고 원나라로 갔다 복위한 충숙왕 / 98
(4) 부왕 충숙왕과 양위•복위를 교환하고 심양왕 왕고와 다툰 충혜왕 / 99
(5) 8세에 즉위해 4년 간 어머니 덕녕공주의 섭정을 받은 충목왕 / 101
(6) 10세의 어린 아이로 즉위해 3년을 재위하다 탄핵당해 유배•독설된 충정왕 / 102
8. 고려 결의 단계 후기•국력쇠퇴과정에서의 역대 국왕들의 역할 102
(1) 고려 재건•부흥을 위해 개혁을 단행한 공민왕 / 102
(2) 10세의 '신돈 시비 반야의 아들' 우왕과 '폐가입진론'에 따른 폐위/ 106
(3) 창왕의 1년 재위와 '우창비왕설'/ 107
(4) 고려 마지막 국왕 34대 공양왕 / 108
9. 역대 황제들에 대한 평가 111
(1) 《고려사》 <전문>의 평가를 기준으로 한 기•승•전•결별 평가 / 111
(2) 《고려사》에서 기•승•전•결 단계별 황제•국왕에 대한 이제현 등의 평가 / 116
제 5 부 고려의 국가성격과 국가변동
제 12 장 국가위기,세계체제,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 고려기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황제국으로서의 고려: 10세기~11세기 고려 초기 128
(1) 수•당과 3국 및 통일신라의 관계 / 128
(2) 5대 10국 및 송과 고려의 관계 / 130
(3) 고려와 거란(요) 및 송의 동아시아 3분 체제 확립 / 131
(4) 반거란동맹형성을 위한 중국의 여러 나라들과의 관계 / 132
(5) 고려의 거란(요)과의 1~3차 전쟁과 외교•무역관계 / 136
(6) 세계역사를 바꾼 '한국 역사상 3대 대첩'인 강감찬의 귀주대첩 / 139
(7) 동아시아 3국체제 구축 / 143
(8) 고려의 성공적인 국가형성 및 천리장성 축조 / 143
(9) 고려와 송의 외교와 교역 및 문화교류 / 144
(10) 고려와 거란•요과의 관계 / 146
(11) 고려와 거란, 및 여진의 관계와 고려의 일본, 아라비아 등과의 교역 / 147
2. 고려 승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왕국으로서의 고려 148
(1) 여진(금)족의 성장 / 148
(2) 윤관의 여진 정벌과 9성 설치 / 151
(3) 거란, 여진 및 송 사이의 고려의 균형자적•벼랑끝 외교 관계 / 153
(4) 송의 요와 금 멸망과 고려의 대응 / 153
3. 고려 전의 단계 몽골(원)과 고려의 관계: 13세기 중 ~14세기 중기 154
(1) 몽골의 등장과 칭기즈칸의 제국 건설 / 154
(2) 몽골 칭기즈칸과 원의 중국 통일 / 156
(3) 쿠빌라이칸의 원의 세계지배에 살아남은 원간섭기 고려 / 158
(4) 고려의 몽골과의 4단계 관계의 전개 / 161
(5) 고려의 몽골과의 1~2단계: '형제맹약'과 전쟁 / 162
(6) 고려의 항몽정책과 강화 천도 / 163
(7) 무신정권의 붕괴와 삼별초의 저항 / 165
(8) 오키나와로 이동해 류큐왕국을 세운 삼별초 / 165
(9) 몽골에 대한 고려의 대응 평가 / 167
4. 결의 단계 전기 원 간섭기 몽골간섭과 '사대관계' 문제 168
(1) 부원세력의 등장 / 168
(2) 고려를 침략한 홍건적과 그 영향 / 171
(3) 국왕과 유신들의 개혁운동 / 173
(4) 고려와 원과의 특수관계와 무역 / 176
5. 고려 결의 단계 후기의 세계체제의 성격과 고려의 관계: 14세기 고려말기 179
(1) 명의 중국대륙 통일과 고려와의 국교개시•국교정상화 관계 / 179
(2) 고려와 명의 국교정상화의 장애 / 180
(3) 명나라의 철령위설치기도와 고려군의 랴오둥원정 / 181
(4) 동아시아적 세계질서 이소사대냐? 혈연중심의 내속관계냐? 동아시아 교역권 관계냐? / 182
6. 고려시대 세계체제 성격의 변화와 한-일관계의 전개 184
(1) 고려와 일본의 관계 / 184
(2) 중세-가마쿠라 시대와 고려 / 185
(3) 중세-무로마치 시대와 고려 / 185
(4) 왜구의 발호와 고려 관계 / 186
(5) 왜구의 발생배경 / 188
(6) 13세기 왜구와 후기 왜구 / 188
(7) 고려와 일본의 외교전 / 190
(8) 고려의 일본 왜구 소탕전 / 191
(9) 왜구정벌의 3국의 이익과 외교 관계 / 192
(10) 일본과의 무역과 일본의 경제상황 / 194
(11) 한국과 일본 및 중국의 교류 / 195
(12) 고려의 멸망을 재촉한 왜구의 침탈에 대한 평가 / 196
7. 동북아시아 교역망의 중심으로 바다를 통한 세계와의 교류 197
(1) 해로를 통한 중국 등과의 교류 / 197
(2) 아라비아 등과의 교류 / 199
8. 세계전쟁사를 통해 본 중세 동•서양 세계체제의 주역으로서의 고려 201
(1) 세계전쟁사에서의 고구려와 고려의 위상과 역할 / 201
(2) 고구려와 고려의 세계체제에서의 질서형성자로서의 역할 / 201
(3) 세계최강자 원과의 30년 전쟁과 뒤 이은 무역문화를 통한 동반 세계경영 / 202
9. 실크로드를 통한 고려의 세계경제•문화체제 동반 경영 203
(1) 중세 실크로드의 동서양 세계교류 소통로의 역할 / 203
(2) 고려의 중세 실크로드를 이용한 세계문화교류 활동 / 204
10. 고려의 사회계급과 고려 국가의 상호활동 204
(1) 고려 사회계급의 성격과 국가변동의 상호활동 / 204
(2) 대표적인 사건들 / 205
11. 국가의 흥망성쇠와 국가위기의 성격 205
(1) 장기사이클, 중기사이클 및 단기사이클 / 205
(2) 국가위기 / 205
(3) 국가위기 발생과 국가변동의 원인론 / 206
12. 고려의 기•승•전•결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성격 210
(1) 세계체제, 국가, 사회세력의 상호활동 속에서 고려 국가발전 단계별 주도 변수의 전개 / 211
(2) 기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 212
(3) 승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 216
(4) 전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 218
(5) 결의 단계 전기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 220
(6) 결의 단계 후기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 / 222
13. 고려 결의 단계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성격 222
(1) 결의 단계의 기본 성격 / 222
14. 장기사이클로서의 고려의 결의 시기: 고려의 붕괴와 조선시대로의 부활 224
(1) 종합적인 평가 / 224
(2) 려말선초의 국가변동의 성격 / 225
(3) 조선의 성격 / 225
(4) 고려시대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기승전결의 전개 / 226
제 13 장 고려의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동
1. 국가의 성격 230
(1) 국가성격 / 230
(2) 고려 국가성격의 전개 / 243
(3) 고려 국가역할의 전개 / 247
(4) 고려 국가 힘의 전개 / 249
2. 고려의 국가자율성 251
(1) 국가의 성격과 국가자율성의 전개 / 251
(2) 기와 승의 단계의 국가자율성 / 252
(3) 전과 결의 단계의 국가자율성 /253
3.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의 전개 255
(1) 기와 승의 단계에서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 255
(2) 전과 결의 단계에서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 257
4. 연속성과 비연속성의 전개 258
(1) 일곱 얼굴 국가의 연속성과 비연속성 / 258
(2) 경로창조성•경로의존성과 연속성•비연속성의 관계 / 264
5. 고려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의 전개 264
(1) 고려 내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 / 265
(2) 고려와 중국 및 일본의 동시성과 비동시성 / 267
6. 고려의 사회능력, 시장능력, 거버넌스 능력 및 국가능력의 전개 270
7. 고려 국가능력의 전개: 다차원적 개념, 협의와 광의 및 내포와 외연 274
(1) 7가지 차원의 다양한 국가능력 / 274
(2) 국가능력 / 275
(3) 국가목표 및 국가변동 단계별 국가능력 / 287
8. 고려 국가 주요 변수들의 기승전결의 전개(통합) 294
제 6 부 고려의 주요 행정
제 14 장 고려의 국가 행정체제와 주요 행정
1. 고려 태조의 건국이념 299
(1) 고구려계승주의와 북진정책 / 299
(2) 후삼국통일주의와 호족연합•민족융합정책 / 301
(3) 불교주의와 숭불정책 / 301
(4) 적자적손왕권계승주의 및 왕권전제화 방지정책 / 302
(5) <훈요십조> / 303
2. 행정제도의 확립 303
(1) 왕권확립과 통치체제의 구축 / 303
(2) 행정제도의 확립과정 / 304
3. 고려시대의 중앙과 지방의 통치조직 307
(1) 중앙과 지방의 행정 기구표 / 307
(2) 황제•국왕의 전개 / 308
(3) 귀족관료국가의 최고통치기관의 전개 /310
4. 고려의 중앙행정조직 317
(1) 고려 초기의 중앙 통치기구 / 317
(2) 중서문하성 / 327
(3) 상서성 / 331
(4) 권력분립•견제•감시기구: 중추원•삼사•어사대•낭사•한림원•사•도감 등 / 336
(5) 제사도감각색: 고려의 특별행정기구 / 345
5. 고려의 관직과 관계 358
(1) 고려 관직의 구조, 설치와 구분 / 358
(2) 고려 관직의 구조•9품관제와 공무원 정원 / 359
6. 고려의 중앙 정치행정체제의 권력구조와 왕권•신권의 관계 362
(1) 중앙 정치행정체제의 권력구조와 왕권•신권의 관계/ 362
(2) 후기 중앙통치조직 / 367
7. 고려의 지방행정조직•구역 371
(1) 전기 지방행정조직•구역 / 371
(2) 지방행정관제 / 384
(3) 후기 지방행정조직 / 391
8. 고려의 군사조직 및 군역제도 392
(1) 고려 군사조직 및 군사제도의 확립•해체 과정 / 392
(2) 경군 / 395
(3) 지방군•주현군 / 397
(4) 수군 / 398
(5) 특수군: 별무반 / 400
(6) 5군 / 401
(7) 중방 / 401
(8) 고려전기의 군사행정기구표 / 402
(9) 고려의 2군 6위 직관표 / 403
(10) 군사제도•징병제도와 군사의 규모 / 403
(11) 고려 군사조직과 군역제도에 대한 평가 / 404
9. 고려 행정제도의 특징 405
(1) 중앙집권적 귀족관료체제의 구축 / 405
(2) 국가권력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행정체제의 근본적인 변화 / 406
(3) 전통과 선진제도의 독자적•융복합적 성격의 행정기구 도입 / 407
(4) 왕권과 재상권의 관계가 중요했던 행정기구의 설계 / 408
(5) 귀족관료체제에서 양반관료체제의 도입 / 409
(6) 과거제도의 창설을 통한 실적관료제도의 도입 / 409
(7) 중앙집권적 관료제국가에 맞는 지방행정기구의 강화 / 410
(8) 귀족적인 문치주의 행정기구에서 하층 무신정권 행정기구 / 411
(9) 몽골의 지배와 행정기구의 개편•복원 / 412
제 7 부 고려의 주요 정책
제 15 장 고려의 정치행정과 국방•외교정책
1. 정책총괄 417
(1) 총괄정책 / 417
(2) 중서문하성과 상서 6부의 주요 정책 / 417
(3) 정치행정부문 담당 관청: 이부 / 419
2. 정치행정부문정책 419
(1) 중앙집권화정책 / 419
(2) 중앙 정치행정체제의 확립 / 423
(3) 인재등용정책: 과거제도 실시 / 425
3. 북진정책•국방정책•외교정책 445
(1) 북진정책과 국방정책 / 445
(2) 군사제도와 국방정책 / 454
4. 외교정책 458
(1) 고려는 약소국이냐 강대국이냐? / 458
(2) 서희의 외교술 등 / 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