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37246379
· 쪽수 : 769쪽
· 출판일 : 2021-05-28
목차
머 리 말 ⅴ
제 1 부 ‘고려국가연구’ 이론
여 는 장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
2. 연구의 과제 3
3. 연구방법 5
제 1 장 고려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8
(1) 고려국가에 대한 기존 학문과 접근들의 평가 종합 / 8
(2) 기존 학문 연구의 한계와 극복 / 9
(3) 융합•통합•종합학문으로서의 국가학과 국가이론 / 9
(4) 역사 주체로서의 7가지 수준의 국가 개념 변수 / 10
2. 상위맥락으로서의 국가 12
(1) '나라'로서의 국가 / 12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 15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 / 16
3. 중간맥락으로서의 국가 17
(4)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 / 17
(5)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 18
(6)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 / 19
4. 하위맥락 구성부문으로서의 국가 20
(7)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리트'로서의 국가 / 20
5. 3차원과 7가지 개념 변수 수준의 종합 23
(1) 이론적 관점과 선행연구들의 관계 / 23
(2) 국가개념의 맥락과 계층구조에 대한 주요 학자들의 국가이론 비교 / 24
6. 국가위기와 세계체제 위기 및 사회계급 위기 26
(1) 세계체제위기와 고려 / 26
(2) 사회계급위기와 고려 / 27
(3) 상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28
(4) 중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30
(5) 하위맥락 구성부문에서의 국가위기 / 31
7.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일반이론: 문명순환론, 국가발전론, 세계체제론 및
국가변동론 31
(1)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기승전결론 / 31
(2) 알몬드와 박동서의 국가발전 이론: 국가형성, 국민형성, 경제발전, 참여 및 배분 / 33
(3)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알몬드의 국가발전단계론의 통합 / 33
(4) 토인비의 문명순환론 / 34
(5) 크레벨드의 국가발전의 단계별 유형과 전개 / 38
(6) 진덕규와 만의 IEMP 이론에 따른 국가의 유형과 역사적 전개 /39
(7)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 간의 상호관계: 내인론, 외인론 및 통합론 / 41
8. 저자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46
(1)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 46
(2) 저자의 중세국가 이후 근현대국가의 융성과 몰락에 따른 국가변동론 / 48
(3) 통합론 / 53
9.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화 54
(1) 국가의 역할 / 54
(2) 국가의 힘 / 55
(3) 국가자율성 / 55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 / 56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 57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 59
(7) 거버넌스와 거버넌스 능력 / 61
(8) 국가능력, 시장능력, 시민사회능력 및 거버넌스 능력 / 62
10. 행정과 행정의 변화 64
(1)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와 행정의 관계 / 64
(2) 행정환경 / 64
(3) 행정의 주체와 행정제도 / 65
(4) 이 책에서의 행정의 내용 / 66
11. 정책과 정책의 변화 67
(1) 정책유형의 이론적 분류 / 67
(2) 한국의 행정과 정책의 유형 분류 / 67
(3) 정책유형과 국가변동 및 국가발전단계와의 통합 / 69
12. 한국 중세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연구방법 70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 / 70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 72
(3)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접근방법 / 75
(4) 국가, 국가위기, 국가변동, 및 국가능력의 상호관계 비교 개괄 / 79
13. 이 책의 분석틀 80
(1) 이 책의 거시적 분석틀 / 80
(2) [분석틀 Ⅰ]: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분석 / 80
(3) [분석틀 Ⅱ]: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간 상호관계 분석틀 / 81
(4) [분석틀 Ⅲ]: 국가•위기•변동•성격변화•행정•정책의 분석틀 / 81
(5) [분석틀 Ⅳ]: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의 상호활동 분석틀 / 82
(6) [분석틀 Ⅴ]: 세계체제와 사회계급 중심의 국가 유형 분석틀 / 83
14. 고려의 기•승•전•결 시대구분 83
(1) 고려의 시대구분 / 83
(2) 저자의 고려 시기구분의 기준과 기•승•전•결의 네 시기 / 86
제 2 부 상위맥락으로서의 고려국가
제 2 장 고려의 '나라'로서의 국가
1. '나라'로서의 국가: 황제국 89
(1) '나라'로서의 국가 / 89
(2) 황제국가로서의 고려 / 92
2. 황제국으로서의 국호 및 연호 등 109
(1) 국호로서의 '고려’와 '코리아' /109
(2) 황제국으로서의 황제•연호 사용 등 /110
(3) 황제국으로서의 여러 체제들 /111
3.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111
(1) 고려의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 112
(2) 한민족과 고려의 민족•국민의 단일적 성격 / 125
(3) 단일민족론 비판과 평가 / 134
(4) 다원적•개방적•역동적•다종족적 성격 / 137
(5) '삼한일통'•'삼국부흥운동'에서 고조선계승과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139
(6) 고려의 민족구성과 인구 구성 / 146
4. 영토 154
(1) 영토 / 154
(2) 고려 영토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 / 158
(3) 고려의 영토 변동 / 177
5. 도읍지•황도•수도•부수도 193
(1) 도읍지 개경의 역사와 행정 / 193
(2) 황도 개경의 구성 / 195
(3) 임시 수도 강도 시기 / 200
(4) 부수도: 양경•3경•4경제 / 202
(5) 5도•5도호부•8목 / 204
(6) 천리장성•고려장성 / 205
6.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쟁과 외교 206
(1) 고려시대 주권의 성격 / 206
(2)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 형성 및 확장 과정 / 207
(3) 거란과 몽골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본 주권 / 210
(4) 고려의 주권 유지와 외교 / 214
(5) 역대 국왕들의 계승 및 폐위 등을 통한 주권의 성격 변화 / 215
(6) 원 간섭기의 내정간섭의 유형과 주권 / 216
7. '나라로서의 국가'의 전개 219
(1)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전개 / 219
(2)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정리 / 221
8. 동북아시아 대제국으로서의 고려의 전개와 국가능력 223
제 3 장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1. 고려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의 전개 225
(1) 고조선계승주의•고구려계승주의•신라계승주의 / 225
(2) 고조선민족주의•단군민족주의 /229
(3) '조선역사상 1천 년내 제1대 사건': 묘청의 난 진압과 윤관의 9성 반환 / 244
2. 고려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 24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24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249
(3) 후기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249
(4) '삼국부흥운동'에서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249
3. <훈요십조>와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 250
(1) <훈요십조>의 서론으로서 태조의 입장 피력 / 251
(2) <훈요십조> 본문의 내용 / 252
(3) <훈요십조>의 의의 / 253
(4) <훈요십조>의 발견 경위와 위작설 / 255
(5)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불교이념과 유교이념의 관계 / 260
4. '치국의 도'로서의 유교와 유교지배이데올로기 261
(1) 유교와 역대 제왕의 노력 / 261
(2) 유교지배이데올로기와 유교정치 / 264
(3) 유학파와 국풍파의 대결 / 265
(4) 성리학(신유교)의 수용과 분화 / 266
(5) 성리학의 발전과 사대부세력의 성장 / 268
5. 고려의 대승불교와 불교지배이데올로기 278
(1) 고려의 호불정책과 불교사원의 정치세력화 / 278
(2) 불교의 발달과 교리정리 및 대장경 조판 / 284
(3) 교종과 선종의 통합과 조계종의 성립 / 285
(4) 원간섭기 불교계의 변화와 발전 / 288
6.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풍수지리사상과 도교 289
(1) 풍수지리사상 / 289
(2) 도교와 민간신앙 / 291
7.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295
(1) 유교•불교 이념과 경제순환사상 / 295
(2) 중농이념과 상업관 및 화폐•이자관 등의 경제관 / 295
8. 무신집권시기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296
(1) 문신들의 좌절과 문학활동 / 296
(2)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 297
9.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대결 300
(1) 《삼국사기》 편찬과정의 이데올로기적인 대결 / 300
(2) 《삼국유사》에 나타난 국풍파•불교•왕권파의 응전 / 301
(3) 《제왕운기》에서의 단군조선과 고려 국가 뿌리관 / 303
(4) 세계주의와 고려의 주체적 역사의식 / 304
10. 유교합리주의와 불교전통주의, 국풍과 당풍•화풍•유학 305
11. 고려시대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전개 30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30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307
(3)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307
12.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고려의 문화력 309
제 4 장 고려의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
1. 고려의 지배연합과 지배계급의 성격 310
(1) 호족연합정권론을 중심으로 한 지배계급·지배연합 성격 논쟁 / 310
(2) 귀족제사회설(음서제설)과 관료제사회설(과거제설)의 논쟁 / 313
2. 고려 사회 호족연합•지배세력의 형성과 왕권의 견제 314
(1) 태조의 호족포용정책과 결혼정책 및 사성정책 / 314
(2) 호족 견제정책과 《훈요십조》 / 315
(3) 광종과 성종의 왕권강화와 중앙집권 강화 정치개혁 / 316
(4) 중앙통치조직과 지방행정체제 강화에 의한 호족의 권력 약화 / 316
3. 지배세력의 변동 316
(1) 고려사회의 중층적 갈등구조와 반란의 발생 / 316
(2) 개경문벌•외척세력의 등장과 왕권•신권의 갈등: 이자겸의 난 / 317
(3) 문신개경세력과 서경문신세력으로의 분화와 권력투쟁: 묘청의 난 / 321
(4) 문벌귀족의 횡포와 무신세력의 등장: 무신의 난 / 326
(5) 최씨 무신정권 시대 / 329
(6) 무신정권의 영향과 고려사회의 변화 / 333
(7) 피지배층의 세력화와 농민봉기•농민항쟁 / 334
4. 원 간섭기 부원세력의 등장 342
(1) 고려와 원의 왕실 간 결혼동맹과 고려 지배연합의 성격 / 342
(2) 여몽전쟁 시기의 반국가적 부원세력의 등장 / 344
(3) 고려에서의 부원세력의 등장 / 346
(4) 신흥사대부층의 등장과 정권변동 / 347
5. 고려시대 '지배연합•지배계급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351
제 3 부 중간맥락으로서의 고려국가
제 5 장 고려의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
1. 사회관계의 응집: 고려 국가형성의 생산과 기술의 기초 353
(1) 중세 고려의 사회관계에 대한 다양한 이론 / 353
(2) 한국 고대 및 중세사회 발전단계에 대한 여러 가설 / 356
(3) 마르크스주의 봉건사회론과 중세 노예제사회론 / 357
2. 고려 중세사회의 계급구조 358
(1) 고려의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 / 358
(2) 고려의 신분•계급 구조 / 363
(3) 고려사회의 신분구조와 직역구조 / 372
3. 고려사회의 성격: 귀족사회인가, 관료제사회인가? 377
(1) 귀족제사회설(음서제설)• 관료제사회설(과거제설)• 문벌귀족사회설 / 377
(2) 고려사회의 귀족사회성과 관료사회성 / 378
(3) 귀족제사회설과 그 비판 내용 / 381
(4) 양반사회론과 다원사회론 / 382
4. 고려의 본관제와 지방지배질서 및 민족통합 386
(1) 고려사회의 본관제 / 386
(2) 사성정책과 본관제 / 387
(3) 군현제 개정 / 388
(4) 역분전의 시행 / 389
(5) 본관제를 보는 시각 / 389
(6) 본관제 시행의 배경 / 390
(7) 본관제의 특징 / 391
5. 경제력을 중심으로 한 사회관계의 응집 형성 393
(1) 신라통일기 사회관계의 역사적인 모순구조 / 393
(2) 고려의 후삼국 통합과 역사적 모순의 극복 노력 / 395
6. 경제·과학기술과 사회관계의 변화 396
(1) 화약제조와 해군력 향상 무기체계 구축 / 396
(2) 목화의 도입과 직조기술의 발명으로 인한 의생활 혁신 / 396
(3) 농업기술의 변화와 농업생산력 변화 / 397
(4) 세계 최초 금속활자 발명과 인쇄술의 발달 / 397
(5) 고려청자의 발명과 문화력 발달 / 398
(6) 과학기술과 의·약학의 발달과 선진문명국가로의 발전 / 398
7. 사회관계의 응집과 중세국가의 형성 402
(1) 한국 중세의 사회관계 성격 논쟁: 국내 차원과 세계 차원 / 402
(2) 고려의 사회관계와 국가의 형성 / 405
8. 고려시대 '사회관계 응집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405
제 6 장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1.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407
(1) 헌법으로서의 <훈요십조>와 최승로의 시무책 / 407
(2) 귀족관료국가의 제도화와 법질서 확립 / 408
(3) 귀족관료국가의 정립과 법•제도화 확립 / 409
2. 고려 귀족관료국가의 중앙통치조직과 관료기구 410
(1) 중앙집권적 양반체제의 지향과 통치조직 / 410
(2) 태조의 호족포용정책•북진정책과 문종의 특별관청을 통한 귀족관료국가체제 구축 / 411
(3) 3성 6부의 일반행정관청과 109개의 특별행정관청 / 412
(4) 호족연합정권, 귀족관료국가와 합의제 기관의 고유성 / 412
3. 중앙통치기구의 조직화와 통치체제의 정비 413
(1) 중앙통치조직의 뿌리 / 413
(2) 고려 중앙통치조직과 조직개편 정신 / 418
(3) 고려시대 관계·관직 전반 /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