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37248519
· 쪽수 : 974쪽
· 출판일 : 2021-06-22
목차
머 리 말 ⅴ
제목·차례 ⅸ
여 는 장
1. 연구 목적 2
2. 문제의 제기 3
(1) 축소·왜곡된 고려사에 대한 역사 바로 찾기 / 3
(2) 황제국가 고려의 객관적인 위상과 국가능력 / 4
(3) 이 책에서의 연구 문제의 제기 / 6
3. 연구의 내용 7
4. 인공지능시대의 학문과 연구 방법 11
(1) 인공지능 시대의 행정학, 역사학, 사회과학 그리고 융합학문 / 11
(2) 접근방법과 연구방법 / 13
제 1 장 선행연구 검토와 국가행정이론
1. 선행연구의 공헌과 한계 15
2. 한국 중세·중세행정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16
3. 고려행정사 연구의 방향 18
(1) '행정학이론의 활용 / 18
(2) 국가이론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 / 18
4. 행정과 행정의 변화 20
(1)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와 행정의 관계 / 20
(2) 행정환경 / 20
(3) 행정의 주체와 행정제도 / 21
(4) 이 책에서의 행정의 내용 / 22
5. 행정의 주체와 상호관계 22
(1) 고려의 행정 주체로서의 나라 / 22
(2) 고려의 황제·국왕/ 23
(3) 고려의 지배이념 / 23
(4) 고려의 정부·정권·통치집단 / 23
(5)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 / 24
(6) 고려의 국가행정체제와 주요 행정 / 24
(7) 고려의 주요 정책 / 25
(8) 고려의 행정환경과 상호관계 / 26
(9) 고려의 국가성격과 국가능력 변동 / 27
(10) 국가위기, 국가변동 및 국가능력의 상호관계 / 27
6. 정책과 정책의 변화 27
(1) 정책유형의 이론적 분류 / 27
(2) 한국의 행정과 정책의 유형 분류 / 28
(3) 정책유형과 국가변동 및 국가발전단계와의 통합 / 29
7.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화 30
(1) 국가의 역할 / 30
(2) 국가의 힘 / 31
(3) 국가자율성 / 32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 / 32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 34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36
(7) 거버넌스와 거버넌스 능력 / 47
(8) 국가능력, 시장능력, 시민사회능력 및 거버넌스 능력 / 38
8. 이 책의 구성과 내용 40
제 2 장 고려의 '국가'로서의 나라
1. '나라'로서의 국가: 황제국 43
(1) '나라'로서의 국가 / 43
(2) 황제국가로서의 고려 / 46
2. 황제국으로서의 국호 및 연호 등 63
(1) 국호로서의 '고려’와 '코리아' / 63
(2) 황제국으로서의 황제•연호 사용 등 / 64
(3) 황제국으로서의 여러 체제들 / 65
3.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65
(1) 고려의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 66
(2) 한민족과 고려의 민족•국민의 단일적 성격 / 79
(3) 단일민족론 비판과 평가 / 88
(4) 다원적•개방적•역동적•다종족적 성격 / 91
(5) '삼한일통'•'삼국부흥운동'에서 고조선계승과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93
(6) 고려의 민족구성과 인구 구성 / 100
4. 영토 108
(1) 영토 / 108
(2) 고려 영토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 / 113
(3) 고려의 영토 변동 / 131
5. 도읍지•황도•수도•부수도 147
(1) 도읍지 개경의 역사와 행정 / 147
(2) 황도 개경의 구성 / 149
(3) 임시 수도 강도 시기 / 154
(4) 부수도: 양경•3경•4경제 / 156
(5) 5도•5도호부•8목 / 158
(6) 천리장성•고려장성 / 159
6.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쟁과 외교 160
(1) 고려시대 주권의 성격 / 160
(2)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 형성 및 확장 과정 / 161
(3) 거란과 몽골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본 주권 / 164
(4) 고려의 주권 유지와 외교 / 167
(5) 역대 국왕들의 계승 및 폐위 등을 통한 주권의 성격 변화 / 168
(6) 원 간섭기의 내정간섭의 유형과 주권 / 170
7. '나라로서의 국가'의 전개 173
(1)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전개 / 173
(2)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정리 / 175
8. 동북아시아 대제국으로서의 고려의 전개와 국가능력 177
제 3 장 고려의 ‘황제•국왕’ 으로서의 국가
1. 황제•국왕으로서의 고려의 국가 179
(1) 고려의 국왕으로서의 국가의 개요 / 179
(2) 고려 군주의 지위: 황제에서 외왕내제로 그리고 후왕(충왕, 제후)에서 황제로의 변환 /180
(3) 국왕의 왕위 계승 방식: 승계, 시해, 정변, 강제 퇴위, 강제 복위 등 / 182
(4) 국왕의 재위 기간과 통치능력 및 국가의 생존능력 / 184
(5) 국왕의 생존능력과 부인 및 자녀의 숫자 / 186
(6) 국왕의 계보와 국왕의 생존능력 / 187
(7) 고려시대 국왕의 생존능력과 국가의 기승전결 변동 / 192
(8) 종합 / 194
2. 국왕의 통치기간과 통치능력 195
(1) 조선시대 국왕의 재위기간과 통치능력•생존능력의 상관성 / 195
(2) 국왕의 생존능력과 통치능력 / 198
3. 고려 건국 과정에서의 국왕들의 역할과 특성 199
(1) 국가로서의 국왕 / 199
(2) 변방 호족 출신 장군에서 전쟁 영웅으로 등극한 왕건 / 200
(3) 고려 국가발전 과정의 기•승•전•결에 대한 시대 구분 / 212
4. 고려 기의 단계와 국가형성 과정에서의 역대 국왕들의 역할 214
(1) 태조 왕건의 황제국가 고려 건국 / 214
(2) 왕자의 난과 왕규의 난: 혜종•정종시대 / 222
(3) 광종의 황제권 확립과 개혁정치 / 228
(4) 권력분산과 전시과를 시행한 경종 / 235
(5) 성종의 중앙집권체제•지방행정체제 확립과 조화•균형의 정치 / 236
(6) 현종, 황제제도의 부활과 후대 안정기의 기틀 마련 / 241
5. 고려의 발전 247
(1) 고려 황금시대를 이끈 문종 / 247
(2) 12세기 부국강병을 실험한 황제 숙종과 예종 / 251
(3) 황제권 지키기에 지친 불행한 황제 인종과 의종 / 253
6. 고려 국가발전의 전의 단계와 권력을 빼앗긴 허울뿐인 황제들: 항몽•자주운동 255
(1) 무신정권의 허울뿐인 국왕 명종 / 255
(2) 최충헌 형제가 실권을 장악해 명종 폐위 후 추대한 신종 / 257
(3) 무신정권의 실권자 최충헌 살해 실패 후 딸을 바치고도 무고로 죽게 된 희종 / 257
(4) 최충헌에 의해 태자에서 폐위당했다가 국왕 즉위 후 재위 2년에 그친 강종 / 257
(5) 강화천도와 최씨 정권 몰락으로 왕권을 회복시킨 파란만장했던 황제 고종 / 258
(6) 원 볼모에서 즉위했다 폐위•복위를 반복하며 왕정복고를 이룬 원종 / 259
7. 고려 국가발전의 결의 단계 전기와 원간섭기의 외왕내제들 260
(1) 외왕내제의 강력한 충렬왕 / 260
(2) 충선왕, 원제국 황실에 머물며 심양왕과 고려왕을 겸한 외왕내제 / 262
(3) 심양왕 왕고와 왕위를 다투다 충혜왕에 양위하고 원나라로 갔다 복위한 충숙왕 /266
(4) 부왕 충숙왕과 양위•복위를 교환하고 심양왕 왕고와 다툰 충혜왕 / 268
(5) 8세에 즉위해 4년 간 어머니 덕녕공주의 섭정을 받은 충목왕 / 269
(6) 10세의 어린 아이로 즉위해 3년을 재위하다 탄핵당해 유배•독설된 충정왕 / 270
8. 고려 결의 단계 후기•국력쇠퇴과정에서의 역대 국왕들의 역할 270
(1) 고려 재건•부흥을 위해 개혁을 단행한 공민왕 / 270
(2) 10세의 '신돈 시비 반야의 아들' 우왕과 '폐가입진론'에 따른 폐위/ 274
(3) 창왕의 1년 재위와 '우창비왕설'/ 276
(4) 고려 마지막 국왕 34대 공양왕 / 276
9. 역대 황제들에 대한 평가 279
(1) 《고려사》 <전문>의 평가를 기준으로 한 기•승•전•결별 평가 / 279
(2) 《고려사》에서 기•승•전•결 단계별 황제•국왕에 대한 이제현 등의 평가 / 284
제 4 장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1. 고려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의 전개 295
(1) 고조선계승주의•고구려계승주의•신라계승주의 / 295
(2) 고조선민족주의•단군민족주의 / 299
(3) '조선역사상 1천 년내 제1대 사건': 묘청의 난 진압과 윤관의 9성 반환 / 314
2. 고려의 종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전개 31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31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319
(3) 후기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319
(4) '삼국부흥운동'에서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319
3. <훈요십조>와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 320
(1) <훈요십조>의 서론으로서 태조의 입장 피력 / 321
(2) <훈요십조> 본문의 내용 / 322
(3) <훈요십조>의 의의 / 323
(4) <훈요십조>의 발견 경위와 위작설 / 324
(5)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불교이념과 유교이념의 관계 / 330
4. '치국의 도'로서의 유교와 유교지배이데올로기 331
(1) 유교와 역대 제왕의 노력 / 331
(2) 유교지배이데올로기와 유교정치 / 334
(3) 유학파와 국풍파의 대결 / 335
(4) 성리학(신유교)의 수용과 분화 / 336
(5) 성리학의 발전과 사대부세력의 성장 / 338
5. 고려의 대승불교와 불교지배이데올로기 348
(1) 고려의 호불정책과 불교사원의 정치세력화 / 348
(2) 불교의 발달과 교리정리 및 대장경 조판 / 354
(3) 교종과 선종의 통합과 조계종의 성립 / 355
(4) 원간섭기 불교계의 변화와 발전 / 358
6.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풍수지리사상과 도교 359
(1) 풍수지리사상 / 359
(2) 도교와 민간신앙 / 361
7.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365
(1) 유교•불교 이념과 경제순환사상 / 365
(2) 중농이념과 상업관 및 화폐•이자관 등의 경제관 / 365
8. 무신집권시기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366
(1) 문신들의 좌절과 문학활동 / 366
(2) 지배이데올로기의 확산과 역사의식 / 367
9.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대결 370
(1) 《삼국사기》 편찬과정의 이데올로기적인 대결 / 370
(2) 《삼국유사》에 나타난 국풍파•불교•왕권파의 응전 / 371
(3) 《제왕운기》에서의 단군조선과 고려 국가 뿌리관 / 373
(4) 세계주의와 고려의 주체적 역사의식 / 374
10. 유교합리주의와 불교전통주의, 국풍과 당풍•화풍•유학 375
11. 고려시대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국가'의 전개 377
(1) 건국 초기의 유교•불교•선교•풍수지리의 융합사상 / 377
(2) 중기 이후의 유교와 불교 / 377
(3) 성리학•주자학의 등장 / 377
12. 고려의 지배이데올로기와 고려의 문화력 379
제 5 장 고려의 정부•정권•통치집단
1. 고려의 '통치집단과 정권•정부' 380
(1) 호족연합정권론의 주장 내용 / 380
(2) 호족연합정권론에 대한 비판 및 반대 / 385
2. 호족과 육두품의 통치기: 고려 초기의 통치 집단과 정부 386
(1) 국왕과 지방호족의 연합 / 386
(2) 귀족사회와 3경 귀족 통치세력 / 386
(3) 귀족관료사회 / 386
3. 문벌귀족통치기: 문신정권 388
(1) 정주 유(류)씨 문벌 / 389
(2) 고려 유학교육과 관료를 담당한 해주 최씨 문벌 / 390
(3) 인주(경원) 이씨 외척 문벌과 이자겸의 난 / 391
(4) 묘청의 난을 계기로 등장한 김부식과 경주•안산 김씨 신라왕족•호족•문벌 / 395
(5) 고려 부국강병 정책의 선봉 윤관과 파평 윤씨 가문 / 399
4. 무신세력통치기: 무신정권 402
(1) 무신쿠테타와 무신정권 / 402
(2) 성공한 무신쿠테타의 주역•단기 집권으로 끝난 젊은 이의방 / 406
(3) 천민출신 상장군 정중부의 노련한 무신정권 장악과 몰락 / 407
(4) 부패한 정중부를 처단하고 단명한 경대승 / 408
(5) 참언을 믿고 용꿈을 꾼 천계출신 이의민 / 410
(6) 신종•희종•강종•고종을 세우고 최씨 정권을 연 최충헌 / 411
(7) 30년을 통치한 최씨 정권 2대 집정 최우(최이) / 416
(8) 대몽항쟁 강경파 최씨 정권 3대 집정 최항 / 422
(9) 무오정변으로 1년만에 물러난 최씨 정권 4대 집정 최의 / 424
(10) 무오정변으로 최씨 무신정권 4대 60여 년을 끝내고 집권한 김준 / 426
(11) 무신정권의 후기 집정자 임연•임유무 / 427
(12) 삼별초의 대몽항쟁과 고려 왕실의 원간섭기 편입 / 430
(13) 대몽 강경파 배중손의 대몽항전과 진도 '해도재천도론' / 433
(14) 고려 삼별초의 마지막 지도자 김통정과 삼별초에 대한 평가 /435
(15) 무신정권 아래에서의 문인 / 438
(16) 조휘·탁청·최탄 등 반역자들의 행태 / 445
(17) 무신정권에 대한 평가 / 446
5. 권문세족통치기: 원간섭기 452
(1) 원간섭기 권문세족 / 452
(2) 기황후를 배경으로 한 부원세력·친원세력 / 457
(3) 고려 공녀 출신 원나라의 혜종(순제) 기황후 / 459
(4) 부원세력의 본체, 기황후의 오라버니 기철 / 462
(5) 반역세력과 그 행태 / 465
6. 신진사대부통치기: 공민왕개혁기 467
(1) 부원세력 척결과 반원 신흥(진)사대부세력의 개력운동 / 467
(2) 아웃사이더 신돈의 개혁정치 / 473
(3) 이상주의 보수파 최영과 현실주의 개혁파 이성계의 대결 / 478
(4) 고려 말 대표적인 사대부들 / 483
7. 고려시대 통치집단·정권의 성격 495
(1) 왕권과 신권의 공존과 충돌 / 495
(2) 문신과 무신의 권력관계 / 496
(3) 고려 후기 세족과 관료 배출 현황 / 496
(4) 외세와 문신·무신 및 왕권 / 496
8. 고려시대 ‘통치집단·정권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497
(1) 대표적인 사건들 / 497
(2) ‘통치집단·정권으로서의 국가’의 전개 / 498
(3) 종합 / 500
제 6 장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1. 고려의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502
(1) 헌법으로서의 <훈요십조>와 최승로의 시무책 / 502
(2) 귀족관료국가의 제도화와 법질서 확립 / 503
(3) 귀족관료국가의 정립과 법•제도화 확립 / 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