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37245822
· 쪽수 : 650쪽
· 출판일 : 2021-05-25
목차
머 리 말 ⅴ
여 는 장
1.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1
2. 연구의 기본 명제•가설 3
3. 연구의 과제 4
4. 연구방법 5
제 1 장 한국 중세국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1. 한국 중세국가의 선행 연구에 대한 개괄적 평가 7
(1) 한국사에서의 중세사회 존재여부에 대한 논쟁 / 7
(2) 한국의 중세사회 시기 구분 / 10
(3) 중세로서의 고려시대 / 14
2. 중세국가 고려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 분야에 대한 평가 15
(1) 한국 중세 역사 연구에 대한 평가 / 15
(2) 한국 중세사회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0
(3) 한국 역사정치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2
(4) 한국 중세경제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3
(5) 한국 중세문명•문화•종교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4
(6) 한국 중세행정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6
(7) 한국 고고학의 선행연구와 평가 / 27
(8) 한국 중세 고려 연구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 28
3. 《고려사》 편찬과정과 역사왜곡에 대한 평가 29
(1) 고려 역사서 《고려사》•《고려사절요》의 편찬과 전개 과정 / 29
(2) '참의지사' 서술과 《고려사》 왜곡•개서 / 38
(3) 개서와 직서의 대결과 '조공종덕'의 논리 / 39
(4) 세종의 직서 원칙과 사대명분론적 신료들의 '대사천하' 개서 / 41
(5) 원초적 금기어인 고려 황제•천자 / 41
(6) 세종의 직서 지시와 《수교고려사》에 대한 개서론자들의 반발•편사 중단 / 44
(7) 편찬 재개와 세종의 직서 원칙 재천명 / 46
(8) 편찬 방식의 변화와 <고려사전문> 내용 확충 / 46
(9) 기전체 《고려사》의 발간 / 47
4. 《고려사》•《고려사절요》의 편찬과 역사왜곡에 대한 평가 48
(1) 군주 중심의 《고려사》와 신료 중심의 《고려사절요》 편찬 /48
(2)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이본들에 대한 해석 / 49
(3)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술이부작'의 형식과 실체 / 51
(4)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적용된 '직서'의 왜곡된 세부 지침과 황제제도 삭제 / 53
(5) 조선 초기 세조의 수서령과 《고려사》•《고려사절요》 편찬 기본 사료 훼손 / 55
5. 역사왜곡과 학계의 묵시적 수용 및 극복 문제 57
(1)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번역과 해석 / 57
(2) 고려의 북계와 압록강에 대한 기록 왜곡 문제 / 59
(3) 일제식민사관•중화사관의 왜곡과 역사학계의 묵시적 수용 / 61
(4) 인하대 고조선연구소 학자들의 고려사와 국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 / 62
6. 바로 찾는 한국중세국가학의 연구 과제와 방향 64
(1) 한국중세국가에 대한 연구의 패러다임과 사료의 한계 극복 / 64
(2) 바로 찾는 한국중세국가학의 새로운 연구 방향 / 65
(3) 인공지능(AI)과 집단지성에 의한 새로운 중세국가학의 정립 / 67
(4) 한국중세국가학을 바로 찾고자 하는 이 책의 기본 방향 / 69
제 2 장 한국중세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1. 종합 학문으로서의 국가이론과 국가학 71
(1) 한국중세국가에 대한 기존 학문과 접근들의 평가 종합 / 71
(2) 기존 학문 연구의 한계와 극복 / 72
(3) 융합•통합•종합학문으로서의 국가학과 국가이론 / 72
(4) 역사 주체로서의 7가지 수준의 국가 개념 변수 / 73
2. 상위맥락으로서의 국가 75
(1) '나라'로서의 국가 / 75
(2)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국가 / 78
(3) '지배연합•지배계급•지배블럭'으로서의 국가 / 79
3. 중간맥락으로서의 국가 80
(4) '사회관계의 응집'으로서의 국가 / 80
(5)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 / 81
(6) '정부•정권•통치집단'으로서의 국가 / 82
4. 하위맥락 구성부문으로서의 국가 83
(7) '국왕•국가관리자•국가엘리트'로서의 국가 / 83
5. 3차원과 7가지 개념 변수 수준의 종합 86
(1) 이론적 관점과 선행연구들의 관계 / 86
(2) 국가개념의 맥락과 계층구조에 대한 주요 학자들의 국가이론 비교 / 87
6. 국가위기와 세계체제 위기 및 사회계급 위기 89
(1) 세계체제위기와 고려 / 89
(2) 사회계급위기와 고려 / 90
(3) 상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91
(4) 중간맥락에서의 국가위기 / 93
(5) 하위맥락 구성부문에서의 국가위기 / 94
7. 국가위기와 국가변동의 일반이론: 문명순환론, 국가발전론, 세계체제론 및
국가변동론 94
(1)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기승전결론 / 94
(2) 알몬드와 박동서의 국가발전 이론: 국가형성, 국민형성, 경제발전, 참여 및 배분 / 96
(3) 스펭글러의 문명순환론과 알몬드의 국가발전단계론의 통합 / 96
(4) 토인비의 문명순환론 / 97
(5) 크레벨드의 국가발전의 단계별 유형과 전개 / 101
(6) 진덕규와 만의 IEMP 이론에 따른 국가의 유형과 역사적 전개 /102
(7)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 간의 상호관계: 내인론, 외인론 및 통합론 / 104
8. 저자의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109
(1) 국가위기와 국가변동론 / 109
(2) 저자의 중세국가 이후 근현대국가의 융성과 몰락에 따른 국가변동론 / 111
(3) 통합론 / 116
9. 국가성격과 국가능력의 변화 117
(1) 국가의 역할 / 117
(2) 국가의 힘 / 118
(3) 국가자율성 / 118
(4) 국가의 비연속성과 연속성 / 119
(5) 국가의 '비동시성의 동시성'과 '동시성의 비동시성’ / 120
(6) 국가의 경로창조성과 경로의존성 / 122
(7) 거버넌스와 거버넌스 능력 / 124
(8) 국가능력, 시장능력, 시민사회능력 및 거버넌스 능력 / 125
10. 행정과 행정의 변화 127
(1) '관료기구와 법 질서의 총체로서의 국가'와 행정의 관계 / 127
(2) 행정환경 / 127
(3) 행정의 주체와 행정제도 / 128
(4) 이 책에서의 행정의 내용 / 129
11. 정책과 정책의 변화 130
(1) 정책유형의 이론적 분류 / 130
(2) 한국의 행정과 정책의 유형 분류 / 130
(3) 정책유형과 국가변동 및 국가발전단계와의 통합 / 132
12. 한국 중세국가에 대한 융합학문적 접근과 통합적 연구방법 133
(1) 정상과학과 융합적 접근의 필요성 / 133
(2) 상위맥락•중간맥락•구성부문에 대한 다양한 연구방법 / 135
(3)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접근방법 / 140
(4) 국가, 국가위기, 국가변동, 및 국가능력의 상호관계 비교 개괄 / 142
13. 이 책의 분석틀 143
(1) 이 책의 거시적 분석틀 / 143
(2) [분석틀 Ⅰ]: 국가의 7가지 개념 변수별 분석 / 143
(3) [분석틀 Ⅱ]: 세계체제•사회계급•7개의 변수간 상호관계 분석틀 / 144
(4) [분석틀 Ⅲ]: 국가•위기•변동•성격변화•행정•정책의 분석틀 / 144
(5) [분석틀 Ⅳ]: 세계체제•사회계급•국가간의 상호활동 분석틀 / 145
(6) [분석틀 Ⅴ]: 세계체제와 사회계급 중심의 국가 유형 분석틀 / 145
14. 고려의 기•승•전•결 시대구분 146
(1) 고려의 시대구분 / 146
(2) 저자의 고려 시기구분의 기준과 기•승•전•결의 네 시기 / 149
제 3 장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고려의 건국
1. 후삼국의 몰락과 고려 호족세력의 개편 151
(1) 9세기말에서 10세기 중반 한반도의 사회계급의 변화 / 151
(2) 후기 신라의 중앙집권적 관료제 강화 / 152
(3) 지방통치조직 정비와 지방 통제 강화 / 153
(4) 유교정치 강화와 중앙집권적 관료국가 강화 / 154
(5) 후기 통일신라의 문화•이데올로기 변화와 사회계급세력 변동 / 154
(6) 사회계급 변동으로 인한 후삼국의 등장 / 158
2. 육두품과 호족 등 신진 개국세력의 등장과 고려 호족연합 '나라'의 건국 159
(1) 귀족세력의 반란과 후삼국체제의 몰락 / 159
(2) 권력지배층의 권력투쟁과 빈번한 반란에 따른 육두품과 호족세력의 등장 / 160
(3) 신라사회의 통치불가능성과 신진개국세력의 기반확장 / 161
(4) 6두품과 호족연합에 의한 고려 호족연합 '나라'의 건국 / 163
3. 고려 건국과정에서의 호족•후삼국 국왕들의 역할 166
(1) 후삼국 국왕에서 통일 고려의 호족으로 전환 / 166
(2) 새로운 시대를 꿈꾼 궁예•왕건•견훤•경순왕 등 네 영웅들과 그들의 능력 / 166
(3) 통일국가 형성과정의 한국과 일본의 세 영웅들의 역할과 패도정치•왕도정치의 귀결 / 167
(4) 미륵세상을 꿈꾼 실패한 이상주의자 궁예와 고려 건국의 기반 구축/ 168
(5) 내분으로 무너졌으나 통일전쟁의 선봉이 된 견훤 / 173
(6) 비운의 천년 왕국 신라의 마지막 군주 경순왕 / 176
(7) 발해 세자 대광현과 유민의 귀부와 태조 왕건의 실질적인 후삼국•남북국 통일 / 179
4. 고려 건국 신화•왕건 신화와 호족연합 건국세력 180
(1) 한계인의 황제 등극과 건국세력 조상의 신화화 / 180
(2) 건국세력 7대조에 걸친 신화의 내용 / 183
(3) 성격 및 함의 / 185
5. 지방 호족과의 혼인동맹을 통한 건국세력 형성 191
(1) 혼인동맹과 호족연합국가의 의의 /191
(2) 왕자와 왕비의 출산 내역과 혼인동맹 전개의 성격 /192
(3) 대표적인 왕후들의 성격과 혼인동맹 전개의 성격 / 193
6. 발해 지역의 이탈과 통합이 미친 고려 건국의 성격 변동 195
(1) 발해의 건국과 건국주체의 성격 논쟁 / 195
(2) 발해 국가의 전개 / 197
(3) 발해 유민의 발해부흥운동과 고려로의 귀환: 정안국과 흥요국 / 199
7. 고려 태조 왕건의 고려 건국 전략의 요체와 중세 귀족관료국가의 정립 200
(1) 덕장 고려 태조 왕건 / 200
(2) 고려 건국과정의 《고려사》 기록에 대한 북한의 비판 / 201
(3) 왕건의 건국 기본전략: '부전이승전략' / 203
(4) 후삼국 왕족과 호족의 포용 전략 / 203
(5) 2:1의 부전이승전략 / 204
(6) 부전이승의 외교전략 / 204
(7) 선진문명 존중과 강력한 북진정책 / 205
(8) 군현제 개편과 <훈여십조>라는 고려 헌법제정 / 206
제 4 장 세계체제의 변동과 고려의 건국
1. 세계체제의 성격 변화와 고려의 건국 206
(1) 중세사회의 인과성과 동시성•비동시성의 문제 / 206
(2) 10세기 중반 세계•동북아질서 변화와 한반도 사회계급의 변화 / 206
(3) 중세 세계체제의 성격 변화와 고려의 국가 성격 변화/ 208
(4) 중세 세계체제와 고려 건국의 성격 / 209
2. 중세 동양세계의 성격과 고려의 건국 210
(1) 고려의 뿌리와 중국의 뿌리의 관계 전개 / 210
(2) 중세 중국의 성격과 고려의 건국 / 223
(3) 중세 일본의 성격과 고려의 관계 / 228
(4) 중세 동양•고려와 서양의 연계관계 / 240
(5) 몽골제국과 4한국의 동서 문명과 중세 세계체제에의 기여 / 247
3. 중세 서양세계의 성격과 고려의 건국 251
(1) 중세 유럽의 성격과 고려 건국의 관계 / 251
(2) 십자군 전쟁의 실패와 중세 유럽의 붕괴 / 257
4. 중세 동•서양세계체제와 고려 건국의 함의 260
(1) 중세서양세계와 고려의 건국: 신(종교)의 지배에서 인간의 지배로 / 260
(2) 중세서양세계와 중세동양세계의 전개와 고려의 건국 / 261
(3) 중세동양세계와 고려의 건국 / 262
(4) 중세 세계체제와 고려의 건국의 맥락 / 263
제 5 장 고려의 '나라'로서의 국가
1. '나라'로서의 국가: 황제국 272
(1) '나라'로서의 국가 / 272
(2) 황제국가로서의 고려 / 275
2. 황제국으로서의 국호 및 연호 등 292
(1) 국호로서의 '고려’와 '코리아' /292
(2) 황제국으로서의 황제•연호 사용 등 /293
(3) 황제국으로서의 여러 체제들 /294
3.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294
(1) 고려의 민족형성과 국민형성 / 295
(2) 한민족과 고려의 민족•국민의 단일적 성격 / 308
(3) 단일민족론 비판과 평가 / 317
(4) 다원적•개방적•역동적•다종족적 성격 / 320
(5) '삼한일통'•'삼국부흥운동'에서 고조선계승과 '고려국가 단위의 사회통합' / 322
(6) 고려의 민족구성과 인구 구성 / 329
4. 영토 337
(1) 영토 / 337
(2) 고려 영토에 대한 새로운 학설들 / 341
(3) 고려의 영토 변동 / 360
5. 도읍지•황도•수도•부수도 376
(1) 도읍지 개경의 역사와 행정 / 376
(2) 황도 개경의 구성 / 378
(3) 임시 수도 강도 시기 / 383
(4) 부수도: 양경•3경•4경제 / 385
(5) 5도•5도호부•8목 / 387
(6) 천리장성•고려장성 / 388
6. 주권을 유지하기 위한 전쟁과 외교 389
(1) 고려시대 주권의 성격 / 389
(2) 절대권력으로서의 주권 형성 및 확장 과정 / 390
(3) 거란과 몽골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본 주권 / 393
(4) 고려의 주권 유지와 외교 / 397
(5) 역대 국왕들의 계승 및 폐위 등을 통한 주권의 성격 변화 / 398
(6) 원 간섭기의 내정간섭의 유형과 주권 / 399
7. '나라로서의 국가'의 전개 402
(1)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전개 / 402
(2) 주요 역사적 사건들의 시기별 정리 / 404
8. 동북아시아 대제국으로서의 고려의 전개와 국가능력 406
제 6 장 국가위기, 세계체제, 사회계급의 상호활동과 국가변동
1. 고려 기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황제국으로서의 고려: 10세기~11세기 고려 초기 408
(1) 수•당과 3국 및 통일신라의 관계 / 408
(2) 5대 10국 및 송과 고려의 관계 / 410
(3) 고려와 거란(요) 및 송의 동아시아 3분 체제 확립 / 411
(4) 반거란동맹형성을 위한 중국의 여러 나라들과의 관계 / 412
(5) 고려의 거란(요)과의 1~3차 전쟁과 외교•무역관계 / 416
(6) 세계역사를 바꾼 '한국 역사상 3대 대첩'인 강감찬의 귀주대첩 / 420
(7) 동아시아 3국체제 구축 / 423
(8) 고려의 성공적인 국가형성 및 천리장성 축조 / 423
(9) 고려와 송의 외교와 교역 및 문화교류 / 424
(10) 고려와 거란•요과의 관계 / 426
(11) 고려와 거란, 및 여진의 관계와 고려의 일본, 아라비아 등과의 교역 / 427
2. 고려 승의 단계 세계체제의 성격과 왕국으로서의 고려 428
(1) 여진(금)족의 성장 / 428
(2) 윤관의 여진 정벌과 9성 설치 / 431
(3) 거란, 여진 및 송 사이의 고려의 균형자적•벼랑끝 외교 관계 / 433
(4) 송의 요와 금 멸망과 고려의 대응 / 433
3. 고려 전의 단계 몽골(원)과 고려의 관계: 13세기~14세기 434
(1) 몽골의 등장과 칭기즈칸의 제국 건설 / 434
(2) 몽골 칭기즈칸과 원의 중국 통일 /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