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43006103
· 쪽수 : 114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목차
복잡한 세상 읽기
01 다중 리터러시의 개념
02 리터러시 이벤트
03 기호 작용으로서 읽기
04 리터러시 학습자의 정체성
05 디자인으로서 학습 과정
06 리터러시 학습 디자인
07 다중 리터러시 학습의 탐구 과정
08 다중 리터러시 기반 독서 수업
09 맞춤형 리터러시 학습
10 다중 리터러시 학습의 미래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대사회가 복잡해질수록 점점 더 다양한 영역과 층위에서 리터러시 개념 및 목록이 등장하고 있는 듯하다. 컴퓨터 능력이 요구되면서 ‘컴퓨터 리터러시’,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사회적으로 AI가 중요한 기술로 등장하자 최근에는 ‘AI 리터러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에서 정서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정서 리터러시’ 영역도 점점 더 세분화하고 있다. 이처럼 리터러시는 사회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반영하며, 다양한 의미 구성 기호들과 그 결합을 통해 실천적 차원의 능력과 기능은 물론, 그 이상의 다중적 개념과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확장은 변화하는 기술에 대한 기능적 관심을 넘어, 문제 해결, 상호 소통, 정보 분석 등 인간 삶 전반의 실천과 연결되는 교육적 접근으로 이어지고 있다.
멀티리터러시(Multiliteracies)는 사회의 다양성과 세계화를 기반으로 연결성에 초점을 두는 교육학적 관점에 기반한다. 뉴런던 그룹은 멀티리터러시를 ‘언어에 국한하지 않은 다양한 종류의 교육을 창조하는 것’, ‘다양한 양상(mode)을 역동적인 표현 자원으로 사용하는 것’,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것’으로 정의했다(The New London Group, 1996). 멀티리터러시는 다양한 기호적 텍스트를 활용하여 소통하고 새롭게 창조해 낼 줄 아는 사람을 길러 낼 수 있도록 하는 교육학적 방법론이다. 발전하는 기술 환경을 기반으로 리터러시 실천을 통해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핵심 목표로 삼는다.
다중 리터러시 개념에서 정체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정체성이 모든 사회적 의미 구성 행위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의미 구성 과정에서 개인은 무의식적으로 자기 인식 기저에 있는 자아존중감, 권력 지향, 소속감, 주체성 등 심리적 기제를 작동시켜 자기가 속한 내집단을 우위에 두고 자신을 긍정적인 존재로 인식한다. 이는 개인을 주체적인 리터러시 참여자로 존재하게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주체성은 정체성의 한 양상으로 스스로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성공적인 문제 해결자로 인식하는 경향성이다. 따라서 스스로 자신을 주체적인 참여자로 인식하는 것은 학습을 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옥현진,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