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국가를 되찾자

국가를 되찾자

(대중 민주주의의 실험실을 찾아가는 현장 탐사기)

힐러리 웨인라이트 (지은이), 김현우 (옮긴이)
이매진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국가를 되찾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국가를 되찾자 (대중 민주주의의 실험실을 찾아가는 현장 탐사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55310427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4-04-11

책 소개

영국의 사회학자이자 정치 활동가인 힐러리 웨인라이트가 대중 민주주의의 실천 사례를 찾아 세계 곳곳을 탐방한 뒤 쓴 <국가를 되찾자>는 우리에게 대중 민주주의가 실제 정치 현실 속에서 어떻게 실현될 수 있을지 모색할 길을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참여와 권력

1장 대중 민주주의 ― 시간과 공간의 실마리들
2장 무대 차리기
3장 여행 ― 새로운 민주주의를 향한 방랑?
4장 ‘감각의 덩어리’ ― 지식, 주체 그리고 민주주의
5장 포르투알레그리 ― 국가를 넘어선 대중 권력?
6장 루튼 ― 국가 무단 점거
7장 이스트맨체스터 ― 이웃이 없으면 섬이다
8장 뉴캐슬 ― 우리의 도시는 상품이 아니다
9장 다른 유럽의 조각들 ― 모자이크를 모아 피라미드 뒤집기
10장 결론 ― 민주적 권력의 새로운 원천들?

감사의 말
옮긴이 글
약어표
찾아보기

저자소개

힐러리 웨인라이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에 태어났다. 영국 사회학자이자 정치 활동가이며 사회주의 페미니스트이기도 하다. 영국 좌파 잡지 《레드 페퍼》의 편집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1979~1981년 개방대학의 연구원을 지냈고, 1982년에는 영국 광역시의회(GLC)에서 켄 리빙스턴의 경제 부수석으로 활동하며 민중계획국을 만들어 루카스 플랜을 작성하는 데 깊이 관여했다. 지금은 암스테르담에 있는 국제연구소(TNI) 등 여러 진보적 싱크탱크에 몸을 담고, 대안적 지역주의, 유럽의 민주화, 공공 서비스와 새로운 형태의 민주주의에 관심을 갖고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과학철학자 로이 바스카(Roy Bhaskar)의 배우자이기도 하다. 지은 책으로 《루카스 플랜(The Lucas Plan: A NewTrades Unionism in the Making?)》(공저, 1981), 《노동 ? 두 정당 이야기(Labour: A Tale of Two Parties)》(1987), 《신좌파를 옹호하다 ? 자유 시장 우파에 답하며(Arguments for a New Left: Answering the Free-market Right)>(1994), 《공공 서비스 개혁(Public Service Reform…but not as we know it!)》(2009) 등이 있다. 언론 활동에도 적극적이어서 《가디언》, 《네이션》, 《뉴 스테이츠먼》, 《카르타》, 《일 마니페스토》 등에 기고하고 있으며, BBC 방송에도 해설자로 출연했다.
펼치기
김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탈성장과 대안 연구소 소장.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연구위원, 진보신당 정책연구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연구기획위원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안토니오 그람시』, 『정의로운 전환』, 옮긴 책으로 『녹색 노동조합은 가능하다』, 『GDP의 정치학』, 『적을수록 풍요롭다』(공역), 『우리가 구할 수 있는 모든 것』(공역), 『심층적응』(공역), 『미래는 탈성장』(공역), 『블루 뉴딜』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낡은 제도들이 실패할 때, 민중들은 창조해낸다. 새로운 과학적 발견들이 나타나는 실험들처럼, 민중들이 시행과 착오를 거쳐 만드는 조직적 혁신들은 사회 진보의 핵심 동력이다. 기성 질서를 둘러싸고 있던 합의들을 분쇄하는 사회적 행동은 물리적 대상의 구조를 밝혀내는 실험의 폭발처럼 생생하게 권력 구조들을 드러낼 수 있다. 민주적이고 평등주의적인 사회 변화를 위해 활동하는 우리는 모두 어떤 의미에서, 이런 창조의 과정에 개입하면서도 다른 이들이 경험한 여러 성공과 오류에서 교훈을 살피는 실험 과학자하고 비슷하다.


사회민주주의적 목표(완전 고용, 보편적 공공 서비스, 소득 불평등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신자유주의적 수단(보상 극대화를 추구하는 민간 투자, 주변화와 노동 생산성의 경쟁 부추기기, 잠재적으로 경제적 성공 가능성이 더 높은 공공 서비스의 민간 위탁)을 이용하려는 시도는 불만과 영리한 기획과 확신의 압력의 근원이 되는 깊은 모순들을 낳았다. 이런 정식은 경제가 활황일 때는 그럭저럭 작동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투기 주도 성장이 흔들리기 시작하자마자, 경제 확장의 선택된 도구로서 런던의 금융가 시티의 중심성에 관한 신노동당의 무비판적 집착은 마비 상태에 빠지고 만 게 분명했다.


기계의 메타포는 오래도록 좌파에, 그리고 더 폭넓은 범위에 영향을 끼쳐왔다. 이야기는 ‘국가 기계’에 관한 내용이다. 정당은 단일 레버, 조종간 또는 모종의 다른 기계 장치를 오른손에 넣어 통제해서 의도한 변화를 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과정이 정당이 아닌 사회 조직들하고 연관된 활동을 포함하는 경우, 정당은 중앙 레버를 당겨서 동작을 시작하게 하는 위치 이상이 아니다. 기계적 메타포는 국가를 조종하는 이들이 사회의 법칙을 알고, 변수를 파악하며, 행동을 취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고 측정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기계의 언어는 변혁을 주로 국가의 활동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그리고 거기에서 다수 민중은 단지 수동적인 수용자에 머문다고 이해하는 사고에 들어맞는다. 결과적으로 정당의 지도부는 당의 대중적 지반을 단지 선거에서 받는 표나 재정적 지원의 원천으로 여길 뿐 공동 목표를 추구하는 잠재적 권력의 직접적 원천으로 여기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