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55504093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선진시대의 백이와 숙제
1.초기 기록 속의 백이와 숙제 2.유가 기록 속의 백이와 숙제 3.도가 기록 속의 백이와 숙제 4.법가 기록 속의 백이와 숙제
제2장|진한시대의 백이와 숙제
1.불사이군 백이의 탄생 2.주무왕의 정치에 환멸을 느껴 떠난 백이 3.수양산에서 굶어 죽은 백이
제3장|위진과 당대의 백이와 숙제
1.작위를 버린 어리석은 백이 2.어리석은 필부 백이 3.우뚝 서서 홀로 나아간 백이 4.지조 지킨다고 쓸데없이 배곯은 백이
제4장|송대의 백이와 숙제
1.백이와 숙제의 충절 이미지를 깨려 하다 2.종통을 흔든 비판받아 마땅한 백이 3.천명도 모르고 불사이군을 주장한 백이 4.간신과 충신의 동일한 백이 평가
제5장|명대의 백이와 숙제
1.주원장의 이중적 백이 평가 2.군주에게 쓸모없는 백이 3.제대로 원망했던 백이
제6장|청대의 백이와 숙제
1.백이 충절 이미지의 근본을 흔들다 2.숙제가 변절하다
제7장|현대 중국의 백이와 숙제
1.조롱당하는 백이와 숙제 2.모택동의 이중적 백이 평가 3.현대 중국의 백이와 숙제
제8장|조선의 백이와 숙제
1.고려ㆍ조선 교체기의 백이 관련 기록 2.세조의 왕위찬탈과 백이 관련 기록 3.성인 가운데 청고한 자 백이 4.백이는 정말 말고삐를 잡고 간하였을까 5.품격이 다른 백이 해석 6.고사리를 먹지 않은 백이 7.연행록 속 백이와 숙제
제9장|한자 문화권의 백이와 숙제
1.베트남 문헌 속 백이와 숙제 2.일본 문헌 속 백이와 숙제
맺음말
주ㆍ참고문헌ㆍ찾아보기
총서 ‘知의회랑’을 기획하며
저자소개
책속에서
왕위를 뒤로 한 채 산속에서 고사리를 캐먹으며 은거한 고죽국(孤竹國)의 두 왕자 백이와 숙제. 사마천은 충의와 절개의 상징으로 이들을 열전의 첫 번째 인물로 내세운다. 그러나 이들의 충절 이미지는 시대와 인간의 입장에 따라 다양하게 변주되었다.
― ‘인트로’ 중에서
주무왕에 대한 평가는 역대 학자들을 괴롭히는 것이었다. 백이와 숙제를 높이자니 주무왕을 낮춰야 하고, 주무왕을 높이자니 백이와 숙제의 행위가 그릇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논리적 모순이 일정 정도 발생함에도 백이와 숙제와 주무왕 모두를 높이거나(사마천 『사기』), 주무왕의 혁명은 긍정하나 주무왕의 정치를 비판하며 백이와 숙제의 행위를 긍정하거나(여불위의 『여씨춘추』), 백이와 숙제를 칭송하면서 무왕이 혁명을 일으켜서는 안 됐었다고 무왕을 비판하거나(한유 「무왕론」), 무왕을 칭송하면서 백이와 숙제가 그를 만나지 못했을 것이라며 이들에게 면죄부를 주려하거나(왕안석 「백이론」), 백이와 숙제를 비판하여 무왕의 혁명을 칭송하는(주원장 「박한유송백이문」) 등 그야말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다.
― ‘조선의 백이와 숙제’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