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화명승

중화명승

(이야기로 풀어낸 중국의 명소들)

김명구, 김명신, 김민호, 김수현, 민경욱, 박현곤, 송정화, 송진영, 이민숙, 이연희, 이유라, 이윤희, 이주해, 이현서, 임대근, 전주현, 정광훈, 정민경, 천대진, 최형섭, 유수민 (지은이)
소소의책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200원 -10% 760원 12,920원 >

책 이미지

중화명승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화명승 (이야기로 풀어낸 중국의 명소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동서양 문화/역사기행
· ISBN : 9791188941667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21-08-24

책 소개

중국 소설 전공자 21명의 재치 넘치는 입말을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곳부터 조금은 생소한 곳까지 중화권의 명소들에 얽힌 이야기를 다채롭게 들려준다.대륙의 동북쪽 끝인 하얼빈에서 시작하는 이 책의 여정은 서북쪽의 둔황에서 끝이 난다.

목차

•서문

01 이효석이 사랑한 거리 _하얼빈 중앙대가│유수민
02 ‘치욕’의 삼궤구고두례를 연습하다 _자금성 습례정│김민호
03 중국 속의 작은 유럽 _칭다오 팔대관│박현곤
04 쌀과 소금의 저잣거리 _양저우 동관가│김수현
05 군자는 문덕교를 건너지 않는다 _난징 진회하│이민숙
06 지옥 위에 세워진 천국 _상하이 라오마터우│정민경
07 우리 사랑해도 될까요 _항저우 뇌봉탑│김명구
08 왕희지의 붓끝 서린 풍류지 _샤오싱 난정│천대진
09 이민자의 유토피아 _푸젠 토루│이유라
10 희미한 옛 식민지의 그림자 _대만 지룽과 지우펀│민경욱
11 자소녀 이야기 _광둥 주강 삼각주│이주해
12 혼혈의 땅, 아시아의 샐러드 볼 _홍콩 침사추이│임대근
13 낯선 도시에서 조선인을 만나다 _마카오 성 안토니오 성당│최형섭
14 움직이는 누각, 시대를 그리다 _후베이 황학루│이현서
15 무협은 살아 있다 _숭산 소림사│김명신
16 석벽에 새긴 욕망 _뤄양 용문석굴│전주현
17 수은이 흐르는 지하 왕궁 _시안 진시황릉│송정화
18 전쟁의 포화 속에 불꽃처럼 _충칭 산성보도│이윤희
19 지친 시인을 품은 풍요의 땅 _청두 두보초당│송진영
20 당나라 공주, 티베트의 여신이 되다 _라싸 조캉사원│이연희
21 기약 없는 구도의 길 _둔황 양관│정광훈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민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ㆍ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스탠포드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소(APARC), 하버드대학 페어뱅크 중국연구센터 등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중국 화본소설의 변천 양상 연구』를 썼고, 화본소설의 주요 배경인 송대 개봉(開封)의 사회ㆍ문화상을 기록한 『동경몽화록』을 번역했다. 『조선 선비의 중국견문록』, 『충절의 아이콘, 백이와 숙제-서사와 이미지 변용의 계보학』, 『중화미각』등의 저서가 있다. 최근에는 연행록과 표해록에 기록되어 있는 중국에서의 조선인과 외국인의 교류 양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송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학부와 석사과정을 마치고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중국 푸단대학 중국고대문학연구중심(中國古代文學硏究中心)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동아시아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는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중국의 공연예술, 신화와 소설을 강의하고 있다. 고전서사와 문화콘텐츠, 역사 지리서에 관심을 갖고 오랜 시간 연구해왔다. 저서로 『서유기, 텍스트에서 문화콘텐츠까지』(2022 세종도서 학술부문 우수도서), 『신화와 여성으로 읽는 중국문화-전통과 변용』, 『중국 여신 연구』(2008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고 역서로는 『전통 시기 중국의 안과 밖』(공역), 『중국 여성 그리고 역사』(공역, 2007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등이 있다.
펼치기
정광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아시아중동학부 조교수 중국고전문학 전공. 고대 중국의 대중적인 이야기, 문학작품 속 외국, 필사본 문화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논저로 『敦煌變文校注』(공역, 2015), 『그림과 공연』(공역, 2012), 「「夷堅志」 속 宋代 동남해안 상인의 행적과 ‘문학적’ 기록」(2022),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P.4524 「降魔變文」그림두루마리 분석」(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송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와 베이징대학교에서 중국 고전소설을 연구했으며, 현재 수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고전문학 및 중국 문화와 예술에 관해 가르치고 주로 명?청대 세정소설을 비롯한 중국 통속소설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상고소설과 중국인의 사후 세계관에 관심을 갖고 관련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 ??명청세정소설연구??,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동아시아 여성의 기원??,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 ??중화미각?? 등이 있다.
펼치기
송진영의 다른 책 >
정민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제주대학교 중문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소설과 필기를 틈틈이 읽고 있으며 중국 지리와 외국과의 문화 교류에도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명대여성작가총서』(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청 모종강본) 삼국지』(공역), 『해국도지』(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민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고전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서적 읽는 것을 좋아해서 틈틈이 중국 전통 시대의 글을 번역해 출간하고 있다. 특히 필기문헌에 실려 있는 중국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한자 콘서트』(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임진기록』(공역), 『녹색모자 좀 벗겨줘』(공역), 『열미초당필기』, 『영환지략』(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중국 고전소설을 연구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창의융합교육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지금까지 중국 소설의 판본, 서사, 문화와 관련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중 소설의 비교에도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 서사에 관련된 주요 인물의 특징과 이미지의 변용에 주목하여 애니메이션, 영화 등에 재현된 형상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옮기고 쓴 책으로 ??중국 통속소설의 유입과 수용??,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어 이야기??, ??아녀영웅전??, ??빛이 된 아이??, ??풍속통의??, ??중화미각?? 등이 있다.
펼치기
이현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중국 고대문학을 연구하고, 현재 경인여자대학교 글로벌관광 서비스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춘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열국지 계열의 문학 작품을 연구하고 있으며, 고대 병법서와 중국문화사에도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옮기고 쓴 책으로 「도설천하 손자병법」, 「손자병법」,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삼국지사전」(공역)과 「송원화본」(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임대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이연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 고전소설을 연구했으며, 현재 서울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초빙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여성 문학에 관심이 많으며 현대 문화와 중국 환상 서사의 관련성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가 있고 옮긴 책으로 ??풍속통의??가 있다.
펼치기
김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국립정치대학과 대만국립사범대학에서 중국 문학을 연구했으며 지금은 명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중국 소설과 문화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문학 관련 저서를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접속과 단절-중국 화본소설의 인간과 귀혼??, ??인물과 서사-중국 화본소설의 인물 관계와 인물 변화??, ??중화미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외롭고 쓸쓸한 사람 가운데?? 등이 있다.
펼치기
천대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남 통영 출생 경희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사 졸업 경상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박사 졸업 [학위논문] 석사학위논문 <三言 悲劇作品 試論> 박사학위논문 <三言 歷史人物 敍事 硏究> 풍몽룡이 집록한 명대 단편소설집 ‘三言’을 다년간 심도 있게 연구 [대표 논문] <三言小說 속 詩 硏究>(2017), <柳永의 小說化에 대한 고찰>(2017), <三言小說 속 奸臣의 形象에 관한 考察>(2017), <역사인물 唐寅의 서사변천과 현대적 수용 고찰-小說 중심의 中國文學敎育의 일 방안으로->(2018), <≪大宋宣和遺事≫의 체제와 내용 연구>(2018) 등 [저서] 공저로 출판된 ≪동아시아 고전의 이해≫(2018)
펼치기
김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 박사. 저서로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문학 속 상인 세계』(공역) 등이 있다. 「명말청초 중단편 白話소설 삽도의 博古器物 도안 연구」 , 「明末 동성애소설 『宜春香質』・ 『弁而釵』 삽화의 서사 재현과 玩物로서의 특징 연구」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이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중국 현대문학을 연구했으며, 현재 가톨릭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특히 소설 읽기를 좋아한다. 소설의 이야기를 통해 경제사나 사회사, 정치사에서 언급하지 않거나 소홀히 취급한 역사의 접힌 면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중국을 다시 바라보는 연구의 지향점을 간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문학으로 ‘현대 지나’ 인식하기??, ??중화미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인간 루쉰?? 등이 있다.
펼치기
최형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연구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로 재직 중이다. 명?청 시대의 소설을 전공했고 지은 책으로 ??개인의식의 성장과 중국소설??, 옮긴 책으로 ??서유기??, ??무성희??, ??지역문화와 국가의식?? 등이 있다.
펼치기
민경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 푸단대학교 중국고대문학연구센터에서 중국 고전문학을 전공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부교수이다. 중국 고전소설 ??삼국지연의??의 문학문헌학을 연구했으며, 최근에는 현대 작가 첸중수(錢鍾書)의 ??관추편(管錐編)?? 속의 정치적 풍자를 읽어내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대표 논문으로 ?삼국지연의 초기 텍스트 연구-3종 조선유일본 포함 제판본대교례(諸版本對校例)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와 ???관추편??의 저술 동기와 주제에 대한 분석 시론?이 있다.
펼치기
박현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문화대학교 중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국립대만사범대학교와 베이징사범대학교에서 중국 문학을 연구했다. 지금은 고려대학교(세종)?수원대학교?동양미래대학교 객원교수로 재직하면서 청대 협의소설 생성 과정과 그 문화적 현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유수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 (學歷)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국어국문학과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 [中國 上海] 復旦大學(Fudan University) 中文係 博士 경력 (經歷)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소 연구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대우교수 성균관대학교 중국문화연구소 박사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문사회과학부 강사(현재) 저서 (著書) 『동아시아 전통문화와 스토리텔링』, 서경문화사, 2017. (공저) 『중화명승』, 소소의책, 2021. (공저) 역서 (譯書) 『지낭(智囊-삶의 지혜란 무엇인가』, 동아일보출판사, 2015. (공역) 논문 (論文) 『봉신연의(封神演義)』 속 나타(哪吒) 형상 소고-도교적 토착화 및 환상성과 관련하여」, 『중어중문학』 제61집, 2015. 「조선후기 한글소설 『황부인전』의 재창작 양상 소고-『삼국연의(三國演義)』 및 중국 서사전통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비교문학』 제67집, 2015. 「이랑신(二郞神) 양전(楊戩) 형상의 서사적 재현 고찰-명대 신마소설 『서유기(西遊記)』, 『봉신연의(封神演義)』, 및 디지털게임 『왕자영요(王者榮耀)』를 중심으로」, 『도교문화연구』 제45집, 2016.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봉신연의(封神演義)』 번안 양상 소고」, 『중국소설논총』 제50집, 2016. 「루쉰(魯迅) 소설 속 달 이미지에 대한 상징적 독해-루쉰의 무의식과 관련하여」, 『중국소설논총』 제58집, 2019. 「‘현대의 신화’ 창조-중국 애니메이션 『나타지마동강세(哪吒之魔童降世)』의 나타(哪吒) 캐릭터 스토리텔링에 대한 고찰」, 『중어중문학』 제78집, 2019. 「조선 한글소설 『당태종전』의 『서유기(西遊記)』 전유 양상 소고」, 『중국어문학지』, 제71집, 2020.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 서사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제35집, 2020. 「구활자본 한글소설 『홍장군전』의 『수호전』 전유 양상 소고」, 『중국소설논총』 제61집, 2020. 「『봉신연의(封神演義)』 문중(聞仲) 서사의 의미지향 및 그 문화적 함의-도교문화 및 한국 雷神 형상과 관련하여」, 『도교문화연구』 제53집, 2020. 「中國人情小說與朝鮮人情小說比較初探–以<金甁梅>及才子佳人小說的影響爲主」, 2020.05.19. (https://mp.weixin.qq.com/s/Bx96kPndciqJyUqTRoMC4w) 「明代奇書<金甁梅>與朝鮮漢文小說<折花奇談>比較硏究」, 2020.10.26. (https://mp.weixin.qq.com/s/HAfc1hQviytpBowwteVahw)
펼치기
이유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 학사(복수전공)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 석사 중국 남개南開대학교 중국고대문학 박사 연구논문 「試論張良女性化外貌描寫的內涵」, 社會科學究, 2012 「張良俠士形象的文化內涵」, 學術交流, 2013 「張良故事俠主題演變及其文化內涵」, 天中刊, 2014 「張良故事의 한국에서의 수용」, 道文化究, 2014 「明代 情小說에 대한 再認識—『金梅』를 중심으로」, 道文化究, 2018 「身體布施 本生譚의 유교적 專有와 인식의 변화」, 中國文化究, 2020 저서 (공저)『중화명승』, 소소의책, 2021
펼치기
전주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과 중국 푸단대학교에서 중국 고전문학을 연구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와 수원대학교 등에서 중국 고전 문화와 대중문화 등을 강의하면서 중국의 이미지와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1930년대 조선인에게 하얼빈을 포함한 만주의 도시들은 일제의 계획 아래 관광지로 소비되었다. 만주는 조선 학생들의 수학여행지로 특히 인기 있었다. 이광수, 이태준, 함대훈, 김관 등 많은 문인과 예술가들이 만주를 관광한 후 글을 남겼다. 러시아 문학을 전공한 함대훈은 ‘모데른’ 카페에서 여급에게 러시아어로 차를 주문한 뒤 ‘어쩐지 가슴이 울렁거린다’고 했고, 음악평론가 김관은 ‘하르빈에서 볼 수 있는 숭가리(쑹화 강) 빙상의 세례제’를 ‘세계의 명물’로 꼽았다. 동시대 작가 이효석에게 하얼빈은 다소 다른 맥락에서 특별한 도시였다. 향토소설 ?메밀꽃 필 무렵?으로 알려져 있는 그는 사실 구라파(유럽)를 동경한 ‘모던 보이’였다. 그는 ‘백계 로인(러시아인)들의 생활에 비상한 흥미를 가지고 있었고 이 흥미는 쌓이고 쌓여’ 1939년 여름과 1940년 초에 하얼빈을 두 차례 방문한다. [01 이효석이 사랑한 거리]에서


정오가 되면 빡빡머리 소년이 “꽃이요, 꽃! 재스민 꽃을 팝니다!”라고 외쳐대면서 꽃과 향수를 팔러 다닌다. 기녀들은 주렴을 걷고서 앞다투어 꽃과 향수를 산 뒤 자신을 꾸민다. 그러고는 잠시 뒤 백옥 같은 기녀들이 속이 비치는 하늘하늘한 옷을 걸치고, 머리에 재스민 꽃을 꽂은 채 모습을 드러낸다. 기녀들의 진한 화장 내음과 재스민 향이 강남공원으로 퍼지면 응시생의 마음은 여지없이 무너져 내린다. 시험공부로 인한 스트레스, 과거 시험장의 열악한 환경, 합격 소식을 기다리고 있을 가족 생각으로 응시생들은 마음고생이 여간 아니다. 그런데 진회하의 아름다운 풍광과 꽃같이 아름다운 기녀들이 눈앞에서 아른거리니, 어찌 문덕교를 건너 진회하의 기루로 달려가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또한 청운의 꿈을 품고 과거를 보러 온 응시생이 어찌 쉽게 이 다리를 건널 수 있겠는가! ‘군자는 다리를 건너지 않는다. 다리를 건너면 군자가 아니다’라는 말에서 이러저러지도 못하는 응시생들의 당혹감이 엿보인다. 문덕교는 응시생들의 마지막 이성의 끈이자 욕망의 경계를 넘어가는 지표였다. [05 군자는 문덕교를 건너지 않는다]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8941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