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화미각

중화미각

(짜장면에서 훠궈까지, 역사와 문화로 맛보는 중국 미식 가이드)

권운영, 김경석, 김명구, 김명신, 김민호, 김수현, 김지선, 문현선, 송정화, 송진영, 이민숙, 이시찬, 이윤희, 이주해, 이현서, 임대근, 정광훈, 정민경, 최진아 (지은이)
문학동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중화미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화미각 (짜장면에서 훠궈까지, 역사와 문화로 맛보는 중국 미식 가이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사 일반
· ISBN : 9788954658362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9-11-08

책 소개

한국중국소설학회에서 활동하는 인문학자 열아홉 명이 중국 역사와 문학 속 스무 가지 음식 이야기를 풀어낸 책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알면 알수록 당장 근처 중화요릿집으로 달려가고 싶게 만드는 맛있는 이야기가 가득하다.

목차

서문

전채(前菜)
세상의 모든 향신료와 함께: 오향장육(五香醬肉)
위장을 여는 시큼한 맛: 량반황과(凉拌黃瓜)

주요리(主菜)
위풍당당한 멋과 맛: 북경오리구이(北京烤鴨)
천재가 만든 돼지고기 요리: 동파육(東坡肉)
운명을 바꾼 회 한 점: 농어회(鱸魚膾)
다람쥐 모양 생선 칼집 탕수: 쑹수구이위(松鼠桂魚)
마음씨 고운 아주머니의 서민 음식: 마파두부(麻婆豆腐)

식사류(飯·食事類)
온 가족이 한데 모여 빚고 먹는 맛: 만두(饅頭·包子·餃子)
바삭하고 고소한 오랑캐 떡의 여행: 호떡(胡餠)
금가루를 뿌린 듯 포슬포슬: 양주볶음밥(揚州炒飯)
경계를 넘고 넘어 탄생한 유혹의 맛: 짜장면(炸醬麵)

탕(湯)
북경의 뜨거운 겨울을 먹다: 솬양러우(涮羊肉)
맛, 소리, 향의 삼중주: 훠궈(火鍋)

후식(後食)
과거급제의 소망을 담은 과자: 장원병(狀元餠)
첫사랑의 설렘: 광동당수(廣東糖水)
여신의 디저트: 반도 복숭아(蟠桃)

음료(飮料)
향기롭고 뜨겁게 취하다: 백주(白酒)·약주(藥酒)
황제를 총애를 받은 차: 용정차(龍井茶)

간식(小吃)
도성의 밤거리 시끌벅적 야시장: 야식(夜宵)

연회차림표(宴會菜單)
최고의 만찬: 만한전석(滿漢全席)

저자소개

김민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ㆍ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있다. 중국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스탠포드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소(APARC), 하버드대학 페어뱅크 중국연구센터 등에서 방문학자를 지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중국 화본소설의 변천 양상 연구』를 썼고, 화본소설의 주요 배경인 송대 개봉(開封)의 사회ㆍ문화상을 기록한 『동경몽화록』을 번역했다. 『조선 선비의 중국견문록』, 『충절의 아이콘, 백이와 숙제-서사와 이미지 변용의 계보학』, 『중화미각』등의 저서가 있다. 최근에는 연행록과 표해록에 기록되어 있는 중국에서의 조선인과 외국인의 교류 양상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최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 출생.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에서 문학석사를,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문학박사를 취득하였다. 중국사회과학원 문학연구소, 상하이사범대학교 인문학원, 미국 스탠포드(Stanford)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APARC)에서 다양한 해외 중국학을 수학하고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 당나라의 문화와 서사를 연구하며 <전기(傳奇):초월과 환상, 서른한 편의 기이한 이야기>(2006), <환상, 욕망, 이데올로기:당대 애정류 전기 연구(唐代愛情類傳奇硏究)>(2008), <幻想·性別·文化:韓國學者眼中的中國古典小說>(2012) 등의 국내외 저역서를 출간하였다. 박제된 고전이 아니라 살아 숨 쉬는 고전을 공부하고 고전의 생명력이 현재 우리와 어떻게 연계되는지를 예증하는 데에 늘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문현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대 중어중문학과와 같은 대학 통역번역대학원 한중과를 졸업했다. 현재 이화여대 통역번역대학원에서 강의하며 프리랜서 번역가로 중국어권 도서를 기획 및 번역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원청』, 『오향거리』, 『아Q정전』, 『경화연』, 『삼생삼세 십리도화』, 『봄바람을 기다리며』, 『평원』, 『제7일』, 『사서』, 『물처럼 단단하게』, 『작렬지』, 『문학의 선율, 음악의 서술』, 『피아노 조율사』, 『색, 계』 등이 있다.
펼치기
이민숙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중국고전소설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림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서적 읽는 것을 좋아해서 틈틈이 중국 전통 시대의 글을 번역해 출간하고 있다. 특히 필기문헌에 실려 있는 중국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재구성하는 것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한자 콘서트』(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임진기록』(공역), 『녹색모자 좀 벗겨줘』(공역), 『열미초당필기』, 『영환지략』(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지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고려대학교에서 〈위진남북조 지괴의 서사성 연구〉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중국 소설을 비롯하여 중국 고전 전반에 관해 연구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고전이 현대 문화와 만나 변이되는 과정,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주요 저서로 《붉은 누각의 꿈》(공저, 2009), 《수신기―괴담의 문화사》(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시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중문학을 공부했다. 이후 같은 전공으로 대만정치대학에서 석사를, 북경대학에서 박사과정을 마쳤다. 현재 청주대학교 인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번역서로 『취옹담록』(지만지, 2011)이 있으며, 공동저서로 『중화미각』(문학동네, 2019)이 있다. 주로 중국의 문학과 예술을 통해 각 시대의 역사와 철학적 주제를 연구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이현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에서 중국 고대문학을 연구하고, 현재 경인여자대학교 글로벌관광 서비스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춘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열국지 계열의 문학 작품을 연구하고 있으며, 고대 병법서와 중국문화사에도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옮기고 쓴 책으로 「도설천하 손자병법」, 「손자병법」,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 「삼국지사전」(공역)과 「송원화본」(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임대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과 중국, 아시아 여러 지역의 문화가 더욱 건강하고 활기차게 상호 교류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중국영화와 대중문화, 아시아에서의 한류, 21세기 문화콘텐츠, 문화정체성과 스토리텔링 등의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강의, 저술, 번역에 힘쓰고 있다. 『문화콘텐츠연구』, 『한류, 다음』(공저), 『세계의 영화 영화의 세계』(공저), 『한국영화의 역사와 미래』(공저) 등의 책을 지었다. 한국외대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영화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대 인제니움칼리지 교수이자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회장, 사단법인 아시아문화콘텐츠연구소 대표, 전주국제단편영화제 조직위원장,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펼치기
김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만국립정치대학과 대만국립사범대학에서 중국 문학을 연구했으며 지금은 명지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중국 소설과 문화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문학 관련 저서를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접속과 단절-중국 화본소설의 인간과 귀혼??, ??인물과 서사-중국 화본소설의 인물 관계와 인물 변화??, ??중화미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외롭고 쓸쓸한 사람 가운데?? 등이 있다.
펼치기
김경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중국 현대문학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중국문학사에서 1920-1930년대 베이징 시민사회를 가장 생동감 있게 묘사한 작가로 평가받는 라오서(老舍)의 문학 연구를 시작으로 중국의 다양한 문화 현상과 그 내면의 인문적 보편성을 탐구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 『중국현대문학사』와 『중국현당대문학작품선』, 공저 『중화미각』 등이 있다.
펼치기
김명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펼치기
김수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 베이징대학 박사. 저서로 『동아시아 문학 속 상인 형상』(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중국문학 속 상인 세계』(공역) 등이 있다. 「명말청초 중단편 白話소설 삽도의 博古器物 도안 연구」 , 「明末 동성애소설 『宜春香質』・ 『弁而釵』 삽화의 서사 재현과 玩物로서의 특징 연구」 등의 논문을 썼다.
펼치기
송정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
펼치기
송진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펼치기
이윤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중국 현대문학을 연구했으며, 현재 가톨릭대학교와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현대문학의 여러 장르 중 특히 소설 읽기를 좋아한다. 소설의 이야기를 통해 경제사나 사회사, 정치사에서 언급하지 않거나 소홀히 취급한 역사의 접힌 면을 발견하고, 이를 통해 중국을 다시 바라보는 연구의 지향점을 간직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문학으로 ‘현대 지나’ 인식하기??, ??중화미각??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인간 루쉰?? 등이 있다.
펼치기
이주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연구교수
펼치기
정광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통번역학과 객원강의교수
펼치기
정민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제주대학교 중문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소설과 필기를 틈틈이 읽고 있으며 중국 지리와 외국과의 문화 교류에도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옛이야기와 에듀테인먼트 콘텐츠』(공저), 『중화미각』(공저), 『중화명승』(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태평광기』(공역), 『우초신지』(공역), 『풍속통의』(공역), 『명대여성작가총서』(공역), 『강남은 어디인가: 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사치의 제국』(공역), 『(청 모종강본) 삼국지』(공역), 『영환지략』(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접시에 얄팍하게 저민 고기가 수북하게 담겨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54675062